청주 의료시설·병원 연쇄감염 지속
음성 육가공업체 관련 100명 확진
병상 포화 위중증·준중증 병상 1개뿐
생활치료시설 병상 '0'개
[충북일보] 한전KDN이 서울을 떠나 전남 나주 혁신도시에 둥지를 튼 지도 벌써 7년이 지나간다. 황량한 배 밭에 혁신도시가 건설되고 그 한 복판에 18층 높이의 한전KDN이 우뚝 서 있다. 30년 '한전인'으로 살아온 충북 청주 출신의 김장현 사장. 그가 한해 6천400억여 원(지난해 기준)의 매출을 올리는 KDN을 이끄는 CEO다. 그의 집무실에서 1시간30분 동안 진행된 인터뷰는 마치 15분 같았다. 배려가 몸에 밴 그에게서 사람을 끌어당기는 마력을 느꼈다. ◇ 한전KDN은 일반에 생소한 기업이다. 어떤 일을 하는 기업인가 국내 유일의 에너지ICT 공기업입니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에서부터 급전, 송변전, 배전, 판매에 이르는 전력 전 주기의 정보통신(ICT) 전반을 관리하고 있으며, 탄소중립을 위한 신재생에너지부터 4차산업의 핵심인 AICBM(AI, IoT, Cloud, Big Data, Mobile) 기반의 공공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전남 나주 혁신도시에 있으며 서울·제주 등 전국 14개 사업소가 산재해 있고, 청주에는 충북지역사업처가 있는데 동남택지개발지구 내에 신사옥 건축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5년 상반기 이전을 계획하고 있습
[충북일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191㎞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 강동구 길동, 명일동, 고덕동 일대 지하를 대형 터널을 통해 관통한다는 계획으로 강동구 주민들이 고속도로 우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17년 예산안에 서울~안성 구간의 건설보상비 1천억원이 편성됐으며 전체 예산규모는 6조7천억 원이다. 정부는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서울~안성 구간(71.1㎞)은 도로공사에서 착수 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고, 안성~세종(57.7㎞)은 처음부터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지난 2009년 건설계획이 최초로 제시됐으나 주민 반대와 사업방식에 대한 정부 내 이견으로 수차례 지연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11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가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진행 방식 자체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이는 당장 오는 2017년 관련 예산 편성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착공 자체도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대목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7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책자를 통해 "설계비·공사비
[충북일보] 전국 한파속에 옥천지역 일부 도로가 제설작업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아 차량통행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지난 17일 운전자들에 따르면 오후 5시 넘어서부터 옥천과 영동지역에 0.5cm 정도의 눈이 내렸다. 이날 눈은 이미 기상 당국이 강추위와 함께 눈이 내릴 것이라고 예보를 한 상태였다. 그러나 옥천지역 4번 국도는 오후 5시 30분이 넘었어도 제설작업이 이루어지지지 않아 차량들이 거북이 운행을 했다. 국도를 관리하고 있는 보은국토관리사무소는 지난 11월 15일부터 2022년 3월 15일까지 제설작업을 위해 용역업체와 위탁계약을 한 상태다. 하지만 적설량이 0.5cm의 적은 량에도 불구 날씨가 영하권으로 내려가면서 빙판길로 변해 고갯길, 커브길, 교량위 등에서는 서행을 해야 했다. 특히 옥천군 이원면 구짐티 고갯길은 눈만 오면 상습빙판길로 변하는 곳이다. 이날도 이 구간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은 교통사고 우려 때문에 거북이 운행을 해야 하는 불편을 겪었다. 운전자 A모(61·영동읍) 씨는 "오후 5시 45분께 영동에서 업무차 옥천을 가기위해 국도4호선을 이용했으나 눈이 내린데다 제설작업까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원고개 등 빙판길
[충북일보] "궁긍적으로는 국민들의 편익이 향상됩니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 충북지역본부가 추진중인 지적재조사 사업은 '기관을 위한 사업'이 아니다. 토지를 이용하는 주체, 즉 국민·주민들을 위한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 국토의 14.8%는 토지의 현황과 지적이 다른 불부합지다. 이를 최신기술로 정확히 측량해 바로잡는 게 지적재조사다. 이익기 충북지역본부 지적재조사추진단장은 지적재조사가 '땅의 가치 상승'을 이끈다고 설명한다. 이 단장은 "토지 경계를 바로잡게 되면 진입로가 없던 토지에도 이웃 간 경계 조정을 통해 도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건물도 증축할 수 있게 돼 지가가 상승할 개연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적재조사를 통해 소유권 문제가 정리되면 도시재생 뉴딜을 적극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이 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지적재조사에 대한 시선은 곱지만은 않다. 우선 '비용'에 대한 잘못된 인식의 영향이 크다. 지적재조사는 주민설명회와 토지소유자의 동의를 거쳐 진행된다. 국책사업으로 진행되는만큼 측량 등에 소요되는 비용은 전액 국가가 부담한다. 이 단장은 "사업진행과 측량 등기정리 등에 있어 토지소유자가 부담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