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매일 새벽부터 나와 일을 해도 두부 만들 때가 너무나 행복합니다." 가경터미널시장에 가마솥손두부 가게는 손님들에게 행복한 두부를 판매하는 김인호(60)·하봉희(56) 부부가 8년째 운영중이다. 가게의 불빛은 매일 새벽 5시부터 전날 불려둔 콩을 갈고, 끓일 인호씨가 켠다. 봉…
[충북일보] "한 번도 안 해본 생선장사에서 온 가족이 경력자가 됐습니다." 대구에 있던 라인옥(54)씨가 청주 가경터미널 시장에서 '신선수산'을 운영한 지 10여년이 됐다. 지금은 회사를 퇴직한 남편 이관희(58)씨와 함께 손님들을 맞이하고 있다. 당시 아이를 키우며 떡가게를 운영하고 있던 동…
[충북일보] "어린시절부터 바늘만 잡으면 마음이 차분해지는 걸 알았어요." 청주 가경터미널시장 주차장 후문서 시장으로 이어지는 골목 바로 앞에 위치한 '장미혼수'에는 늘 손님맞을 준비가 된 김효자(67)·박경수(47) 모자가 있다. 효자씨는 어린시절부터 원단과 바느질이 좋았다. 초등학교…
[충북일보] "가족같이 내 걱정 해주는 손님들 덕분에 이때까지 가게를 운영할 수 있었습니다." 박영신(66)씨가 사창시장서 자리를 잡고 '꿀꿀이연탄가게'를 시작한 건 20년 전이었다. 먼저 시장에 자리잡고 있던 언니의 순대가게 옆에서 연탄고깃집을 열면서다. 연탄에 생고기를 구워 기름기는 쏙 빠…
[충북일보] "어머니께 배워서 직접 솥으로 두부 만든 세월이 22년이네요." 사창시장 초가집두부는 김진묵·이은미(59)부부가 매일 아침 콩 삶는 구수한 냄새로 문을 연다. 서울서 직장을 하던 진묵씨가 IMF 이후 어머니가 계신 청주로 내려와 가게를 운영한 지 22년이 흘렀다. 건설회사를 다니…
[충북일보] 새벽 2시, 사창시장의 터줏대감인 안병협(69), 김정숙(66) 부부의 '충주야채가게'에 불이 켜진다. 야채도매시장 경매가 시작되는 3시 전 구입할 야채들을 미리 둘러봐야 하기 때문이다. 병협씨는 38년 째 매일 아침 도매시장에 나가 직접 야채들을 확인하고 구매해 오고 있다. 그는…
[충북일보]"북부시장 이 자리에서 떡판매로 다섯 자매를 키웠어요. 늘 감사한 마음입니다." '건강떡집'은 청주 북부시장에서 30년 가까이 한 자리를 지키며 운영되고 있다. 박경순(68)씨와 남편은 북부시장 사거리 코너에서 장사하던 시어머니와 큰형님 내외에 이어 1994년부터 지금까지 떡집을…
[충북일보] "손님들 입소문으로 알려진만큼 방문하는 모든 손님들에게 최선을 다합니다." 서문시장 순대·곱창 골목에 위치한 '동호순대'는 20년째 한 자리를 지키고 있는 김종길(63)·송현자(61)부부가 운영하는 식당이다. 일찍이 부산에서 사업을 해온 부부는 갑자기 어려워진 상황에 청주로 내…
[충북일보] "야채 식자재장사로 시작해 삼겹살 식당까지 30년 역사를 함께하고 있어요." 서문시장의 '삼남매생삼겹살'은 시장에서 30여년 세월을 지켜온 곽병일(65)·신해순(64)씨가 운영하는 식당이다. 병일·해순씨 부부는 어머니부터 이어온 야채를 비롯한 식자재 유통을 20여년간 운영해왔…
[충북일보] "뒤끝없이 쿨한 성격부터 음식 만드는 큰손까지 똑같은 세월이 10년이 지났네요." 원마루시장의 낭성곱창은 김명덕씨가 둘째 아들 이재호(35)·김은혜(35)씨 내외와 함께 26년째 운영하는 순대·곱창 전문점이다. 서울에서 청주로 남편과 내려온 명덕씨가 처음 자리를 잡은…
[충북일보]"지금까지 청춘과 세월이 이 자리에 녹아있습니다." '북일곰탕'은 청주 북부시장에서 이도화(64)씨 부부와 아들 길민준(41)씨 부부가 정육점과 함께 운영하는 맛집이다. 북일곰탕의 시작은 도화씨와 남편 길선복씨가 운영 중인 '북일정육점'부터다. 도화씨가 정육점 일을 시작한 것는…
[충북일보]" 저희도 손님들도 40년 간의 추억을 이어 가는 곳입니다." '삼미족발'은 청주 북부시장에서 1977년 장사를 시작한 시어머니부터 황연옥(66)씨, 김진성(38)씨까지 3대가 이어오는 맛집이다. 삼미족발의 족발은 일반 족발집과 달리 '단족발'을 사용한다. 족발을 삶는 방식은 처음 할머니…
[충북일보] "이제는 눈빛만 봐도 마음을 알 수 있어요." '충북방앗간'은 청주 육거리종합시장에서 25년째 대를 이어 운영중인 방앗간이다. 어머니인 전화선(70)씨는 착유기(기름짜는 기계)와 고추방아 등 방앗간 기계 3~4대로 25년 전 장사를 시작했다. 화선씨는 "처음에 장사를 시작할 때 이웃…
[충북일보] "서로가 가장 든든한 지원군이죠." '호진이네 반찬가게'는 청주 육거리종합시장의 살짝 뒷골목에 위치한 작은 반찬가게다. 장선주(52)씨와 오호진(29)씨 모자(母子)는 지난해 3월 함께 반찬가게 문을 열었다. 육거리시장은 선주씨의 어머니가 지난 30년 간 육거리시장에서 노점 생…
[충북일보] 속보=민선 8기 세종시의 'KTX 조치원역 정차' 추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국회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등에 따르면 현재 경부·호남KTX는 서울역 또는 용산역에서 출발해 광명역과 천안아산역, 오송분기점을 통해 대전방향 또는 공주 방향으로 운행되고 있다. 또 지난 2010년 11월부터 경기도민들의 편의를 위해 하루 8회(상행 4회·하행 4회) KTX가 수원역을 출발하거나 경유하고 있다. 기존 국철을 통해 운행되는 수원역 출발 KTX는 현재 수원~대전 구간까지 최대 시속 300㎞까지 가능한 고속철도 연결 선로가 없어, 기존 새마을호와 무궁화호 등이 이용하던 경부선(국철)을 활용하고 있다. 이 KTX는 대전역에 정차한 뒤 대전 이남지역은 국철에서 벗어나 고속철로에 합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원역 이후 다음 정차역은 대전역이다. 수원에서 동대구까지 1시간 51분가량 소요된다. 이런 가운데 국가철도공단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수원 연결선'의 기능을 제대로 파악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등포~수원역을 거친 KTX가 평택고속연결선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이 사업은 오는 2024년 완공 예정이다. 앞서 'KTX 조치원역
[충북일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191㎞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 강동구 길동, 명일동, 고덕동 일대 지하를 대형 터널을 통해 관통한다는 계획으로 강동구 주민들이 고속도로 우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17년 예산안에 서울~안성 구간의 건설보상비 1천억원이 편성됐으며 전체 예산규모는 6조7천억 원이다. 정부는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서울~안성 구간(71.1㎞)은 도로공사에서 착수 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고, 안성~세종(57.7㎞)은 처음부터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지난 2009년 건설계획이 최초로 제시됐으나 주민 반대와 사업방식에 대한 정부 내 이견으로 수차례 지연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11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가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진행 방식 자체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이는 당장 오는 2017년 관련 예산 편성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착공 자체도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대목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7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책자를 통해 "설계비·공사비
[충북일보] 충북도내 4년제 대학 가운데 사립대 대부분이 2023학년도 신입생 선발 수시전형 비율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신입생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은 제천 세명대와 괴산 중원대는 전체 신입생 선발인원을 줄이면서 수시전형 비율을 늘렸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운영하는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 따르면 도내에서 수시전형 비율이 가장 높은 대학은 서원대로 전년도 94.3%에서 올해 98.1%로 높였다. 수시비율 확대 폭이 가장 큰 대학은 청주대로 전년도 77%에서 88%로 11%p 늘렸다. '어디가'에 최근 등록된 대학별입시정보 분석결과 전년보다 수시비율을 늘린 대학은 서원대를 비롯해 청주대, 세명대, 극동대, 중원대 등 대부분 사립대다. 건국대 글로컬 충주는 전년과 같은 수준이었다. 서원대는 전년보다 133명 증가한 1천933명을 뽑으며, 이 가운데 1천897명(98.1%·전년 94.3%)을 수시로 선발한다. 이 대학은 학생부 종합전형을 시행하지 않는다.모든 전형이 학생부교과 전형 또는 실기전형이다. 면접문제와 실기문제를 사전에 공개한다. 청주대는 전년도보다 19명 증가한 총 2천820명을 뽑는다. 이 중 2천492명(88%·전년도 77
[충북일보] 민선8기 청주시정을 이끌 이범석호 출범이 며칠 남지 않았다. 이범석 당선인은 지난 2021년 8월 청주시장 출마를 위해 정년을 6년 남겨놓고 공직을 떠났다. 지난 3월 청주시장 출마를 선언했고, 6월 1일 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청주시민의 선택을 받았다. 공직을 떠난 지 10개월만에 55세의 나이로 '역대 최연소 청주시장' 타이틀을 거머쥐게 됐다. 4개 분과로 구성된 청주시장직 인수위원회와, 현안을 다룰 인수위 산하의 3개 TF팀은 '현안 원점 재검토'를 천명한 이 당선인이 만들어갈 청주시의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이 당선인을 만나 시정 구상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청주시장 당선 소감은. "먼저 성원해주신 청주시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깊은 감사 드린다. 시민들께서 고향 청주를 위해 일할 기회를 주신만큼, 항상 소통하면서 약속을 실천하고 시민이 원하는 것을 시원하게 해결하는 시장이 되겠다고 굳은 다짐을 하고 있다. 어려서부터 할머니와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지역과 나라를 위해 큰일을 해야겠다는 꿈을 가졌고, 꿈을 이루기 위해 행정고시를 통해 공직에 입문했다. 청주시장 권한대행과 부시장을 지냈고 충북도청에서 사무관으로 다양한 업무를 두루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