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충주 7.4℃
  • 맑음서산 8.3℃
  • 맑음청주 8.8℃
  • 맑음대전 10.1℃
  • 맑음추풍령 8.6℃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홍성(예) 7.7℃
  • 맑음제주 13.0℃
  • 맑음고산 11.0℃
  • 맑음강화 4.8℃
  • 맑음제천 6.9℃
  • 맑음보은 9.5℃
  • 맑음천안 8.5℃
  • 맑음보령 9.2℃
  • 맑음부여 9.6℃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11.12 14:57:39
  • 최종수정2015.11.19 10:13:07
색색으로 물드는 단풍이 누구에게나 고혹적이듯이, 우우우 떨어지는 낙엽은 누구에게나 쓸쓸한 느낌을 준다. 즐거움은 누구에게나 순간이고, 고통은 누구에게나 길다. 그게 인생이다. 그 고통을 어떻게 견뎌내느냐에 따라 삶의 품격이 결정된다. 고통 중의 가장 큰 고통은 자식을 잃은 슬픔이다. 부모는 평생 창자가 끊기는 아픔으로 가슴에 묻어두고 살아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슬픔을 애도로 이겨낸다면, 작가와 시인은 작품으로 승화시켜 이겨낸다. 상실 후의 비통한 심정을 문학적 형상화 과정을 통해 극복한다. 그들의 작품은 개별적인 경험을 누구나 다 경험하는 것처럼 보편적인 정서로 표현하기 때문에 독자의 공감을 얻는다. 주관적인 경험을 보편적인 정서로 풀어내는 치유의 한 방식이 되는 셈이다.

<유리창>은 시인이 29세 되던 해 잃어버린 자식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을 절제된 언어와 견고한 이미지로 그려 낸 작품이다. 시적 자아(시인)은 밤에 홀로 유리창 앞에서 잃어버린 자식을 그리워한다. 어린 자식이 유리창에 붙어 날개를 파다거리다 사라지는 연약한 새가 연상되는가 하면, 허전하고 쓸쓸한 마음은 유리창 너머에서 어둠이 파도처럼 반복적으로 밀려오는 이미지로 그려진다. 그러다가 어느 새 어린 자식은 저 멀리 눈물어린 별로 반짝인다.

반짝이는 별, 어쩌면 산새처럼 날아간 어린 자식의 영혼인지도 모른다. 어쩌면 어린 자식이 별나라에 도달하였다고 생각하며 시인 스스로 위안을 얻는 심리인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이 외롭고도 황홀한 심사란 역설이 가능한지도 모른다,

작가나 시인이 아니더라도 글쓰기를 통해 고통도 슬픔도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습니다. 자, 독자 여러분 필기구와 노트 한 권 준비하시고 마음 속에 독으로 남아 있는 미움, 슬픔, 아픔, 억눌린 감정 하나만 붙잡아 보세요. 그리고 그 때의 사건을 떠올려 보세요. 자신에게 고통을 준 당사자에 대한 감정을 지금부터 글로 써 보세요. 띄어쓰기 맞춤법 일체 필요 없습니다. 감정의 흐름을 따라 20분 정도 써 보십시오. 속이 후련하실 겁니다. 그렇게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의식을 치르듯 4일 정도 써 보세요. 정말로 신통하게 치유되시는 걸 느끼실 겁니다. 글을 쓰다 생각(감정)이 막히면 다른 주제로 옮겨가도 좋습니다. 여러분이 쓰신 노트는 비밀 노트이니까 절대 타인에게 보여드리지 마십시오. 그 노트 불살라버리면 더욱 좋습니다.

/ 권희돈 시인

유리창 / 정지용(1902 - 1950)

유리(琉璃)에 차고 슬픈 것이 어른거린다.

열없이 붙어 서서 입김을 흐리우니

길들은 양 언 날개를 파다거린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새까만 밤이 밀려나가고 밀려와 부딪히고

물 먹은 별이, 반짝, 보석처럼 박힌다

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은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고운 폐혈관(肺血管)이 찢어진 채로

아아, 너는 산새처럼 날아갔구나!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도민들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은행으로"

[충북일보] "올해도 금융지원 본연의 역할은 물론 지역금융 전문은행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임세빈(55) NH농협은행 충북본부장은 취임 2년차를 맞은 소회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끼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일반 은행과 달리 농협은행은 농민과 고객에 대한 서비스와 책임을 지고 있다. 100% 민족자본으로 설립된 은행으로의 기업가치를 지켜야하기 때문이다. 임 본부장은 "금융의 측면에서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인정받는 리딩뱅크 운영을 목표로 삼고 있다"며 "농협의 기본 가치인 농업·농촌을 살릴 수 있는 지역사회 공헌과 농산물 소비촉진 등 공익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도시와 농촌을 연결할 수 있는 허브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농협은행의 목표는 '금융을 고객 성장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칙을 재정립하고 고객 신뢰를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임 본부장은 은행의 중점 추진사업으로 네 가지를 꼽았다. 먼저 고객과의 동반 성장을 실현한다. 고객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맞춤형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둘째, 규정과 원칙을 확립해 고객이 믿고 거래할 수 있는 금융환경을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