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시·수필과 함께하는 여름의 추억 - 배롱나무 꽃

  • 웹출고시간2018.07.19 17:18:15
  • 최종수정2018.07.19 17:18:15
[충북일보] 여름은 배롱나무 꽃과 함께 시작된다. 석 달 열흘 피고 지고, 지고 피는 나무, 목 백일홍, 배롱나무 꽃이 지면 여름도 끝난다. 내둔리 진입로에 배롱나무 꽃이 화르르 피어있다. 발가벗은 알몸에 간지럼을 태우면 까르르 꽃잎들이 웃으니 간지럼나무 라고도 한다. 위초리마다 붉은 색을 끝없이 토해내는 꽃들은 어딜 가나 웃고 있다. 무더운 여름 내내 눈을 맞추고 잠시나마 더위를 잊게 해 주는 꽃은 단종을 향한 일편단심을 표식 하는 꽃으로 성삼문을 비롯 사육신의 무덤가에도 심은 꽃이기도 하다.

삼굿 같은 무더위도 저녁 무렵이면 제풀에 지쳐 그 기세를 멈추고 옅은 한숨을 내쉰다. 그 단내 나는 한숨에 몸을 떠는 베롱나무 꽃잎은 이 여름 나를 품에 안았다. 가녀린 허리를 흔들며 불꽃같은 추억을 간직한 그 꽃잎은 더워도 여운의 붉은 무희복을 벗지 아니했다. 그해 여름 그가 그렇게 빨리 떠나지만 않았어도 내가 해 줄 수 있는 것이 많았을 것이다. 베롱나무 아래서 짧은 추억을 남기고 떠나간 그가 그리워 지금도 타오르는 지방(紙榜)처럼 재가 되어 허공으로 흩어진다.

그 그리움에 이맘때가 되면 나는 근교에 있는 절간에 가고 싶어진다. 절간에 배롱나무 꽃이 많은 까닭은 스님들이 온다 간다는 하직 인사 없이 배낭 하나 걸머지고 홀연히 떠나가는 경우가 많다보니 말없이 떠난 도반을 그리워하며 텅 빈 마음으로 배롱나무 꽃을 바라보며 마음을 달래기 때문이란다. 그래서 꽃말이 '떠나간 벗을 그리워함' 이던가,

늦은 오후, 절간에 도착하니 저녁 예불을 시작하는 목탁소리와 낮은 염불소리가 들려왔다. 절간 마당은 늙은 느티나무들이 사찰의 역사를 품고 있는 듯 병풍처럼 서 있다. 폭염이 절정을 이룬 산은 산이 낼 수 있는 모든 빛깔로 모자이크를 만들어 빛내고 있다. 음수대에서 바가지 한 가득 물을 받아 마셨다. 시원한 물 한 모금이 더위를 씻어주며 마음을 정화시켜주었다.

경내에는 지난해 보았던 배롱나무 꽃이 만발하여 절간 마당을 압도하고 있었다

세석평전에 앉아 배롱나무 꽃과 마주한다. 절간에서는 어느 것 하나도 성채를 보는듯한 신묘함이 있다. 수령이 기백 년 넘은 베롱나무는 몸통뼈와 가죽으로 뒤틀려 있어도 노거수답게 꿋꿋이 하늘을 향하고 있었다. 실타래처럼 올라가는 곁가지는 수도를 하듯 느리게 뻗어가고 있다. 깡마른 북어 같은 몸통에서 맨발의 탁발 스님의 고행을 본다. 그 가지 끝에 달린 소담한 붉은 꽃은 성불로 깨달음의 실체인 양 성스럽기까지 하다. 요사채 앞에 어린 베롱나무 한그루도 예사롭지 않은 붉은 꽃을 피우고 있다.

꽃을 보고 있노라면 안드리아 보첼 리가 떠오른다. 그의 노래 중 'mai piu. cosilontano' 가 들려오는 듯하다.

선천적인 녹내장으로 12세 때 시력을 잃은 안드리아 보첼리의 달콤한 목소리에는 애수에 젖은 애련함으로 다가와 더욱 심금을 울린다. 그의 음악은 베롱나무 꽃의 전설과 오버랩 되어 절실한 그리움이 더욱 솟구치게 한다. 보첼리의 불꽃같은 두 눈이, 그의 심장이 여기에 살아 숨 쉬고 있는 것만 같다. 저녁 예불 이 끝날 무렵 내 의식에서 시류에 동행하지 못했던 혼란스러움이 잠잠해져왔다.

사람은 저마다 꽃을 피웠다가 진다. 누구는 한 여름 같은 화려한 삶을 살다가는 사람도 있고, 잠시 동안이지만 폭풍의 한가운데를 사는 사람도 있다. 화양연화였든, 상처투성인 사바의 세계였든, 피고 진다는 것은 일대기를 채워가는 각자의 운명이고 숙명이다. 다만 부끄럽지 않게 산다는 것이 아름다움 이라 생각한다.

배롱나무 꽃은 질 때도 제 색깔로 화려하게 진다. 기세등등하게 색깔을 내며 피를 토하듯 우르르 떨어진다. 이 모습을 나는 좋아한다. 인간은 시시각각 변하는 갈대와 같은 모순적인 존재이다. 그렇게 나약한 갈대 같지만, 그 모순 사이에 누군가에게 간절한 여운을 남길 수만 있다면 제 색깔을 가졌다 할 수 있지 않은가,

아직도 귓가에서 보첼리의 노래가 맴돈다. '이제 다시 헤어지지 말아요, 당신은 내가 필요로 하는 단 한사람 오직 당신입니다.' 안드리아 보첼리는 세상에서 가장 부드럽고 가장 달콤한 꽃이다. 내려오는 길이 한 장 한 장 페이지가 넘어가듯 새로운 풍경에 공기마저 달다.'

김민정

2008년 수필춘추 '수필' 등단

2017년 문학미디어 '시'등단

저서: 여백에 핀 꽃

현)여백문학회 회장

청주문인협회회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