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없던 추억도 회상하게 하는 정겨운 모습이다. 청주 봉명동 골목을 지나다 보면 눈에 띄는 초가집을 발견한다. 정갈하게 엮은 지푸라기가 어엿한 처마를 만들었다. 나무 틀에 종이를 바른 창문부터 황토를 덧바른 듯한 벽면, 좁지만 앉아볼 수 있는 마루 밑 장작까지 그럴듯하게 꾸몄다. 메줏덩어리와 줄에 엮어 매단 감, 항아리와 몇몇 농기구도 분위기를 만든다. 소반 위에 가지런히 올린 작은 고무신도 귀여운 포인트다. 가끔 전통주를 파는 전집으로 착각하고 들어오는 손님도 있을 수밖에 없다. 시옷집은 냉동 삼겹살에 대한 편견을 허물고 싶어 냉동 삼겹살 전문점을 선택한 고석민 대표의 도전이다. 조금씩 달라지고는 있지만 생삼겹살보다 저렴하고 맛이 없다는 막연한 인식이 많은 냉동 삼겹살이다. 맛있게 구워 제대로 먹으면 어떤 고기에도 뒤지지 않는 냉동 삼겹살의 참맛을 대중적으로 알리고 싶었다. 시옷집의 고기는 1등급 국내산 암퇘지를 급랭해 사용한다. 신선한 고기는 눈으로도 보인다. 불판에 오르기 전 겹겹의 선명한 결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숙성 삼겹살을 냉동해 특유의 고소함도 그대로 살렸다. 4mm로 자른 고기는 0.5mm의 차이까지 정확하게 찾아내고자 여러
[충북일보] 2층 계단을 올라 문을 열고 들어선 손님이 좋아하는 메뉴를 주문한 뒤 익숙한 듯 자리에 앉는다. 메뉴를 고르는 순간의 망설임조차 없다. 긴 창문 너머로 오랜 세월 건너편 길가를 지키고 있는 플라타너스가 눈을 맞춘다. 가방에서 문구류와 노트북 등을 꺼내 자신만의 작업에 몰두하는 순간까지 물 흐르듯 자연스레 이어지는 해호미의 시간이다. 짙은 나무색 탁자와 의자, 공간 일부를 채우고 있는 책들이 분위기를 만든다. 도서관 같기도 하고 서점 같기도 한 정적인 순간에 적당한 음악이 섞여 흐른다. 가져온 책을 보거나 다이어리를 정리하는 이들 사이 유쾌한 대화를 나누는 이들도 있다. 탁자마다 자연스레 놓인 몇 권의 책은 딱히 책 생각이 없던 손님들도 책장을 넘기게 하는 장치다. 책과 어울리는 해호미의 분위기에 관심이 생긴 손님들은 자연히 카페 한편의 책더미로 걸음을 옮긴다. 벽면의 책장과 가운데 놓인 책상을 가득 채운 여러 책은 일반 서점에서 만나보기 어려운 책이 대부분이다. 해호미 안에 마련된 5평 남짓의 독립 서점이다. 책을 소중히 만져달라는 당부와 함께 책 표지에 붙은 한 장의 글이 빼곡하다. 책을 먼저 읽어보고 가져온 이흥기, 고은별 대표의 친절한
[충북일보] '달그락','달그락' 리듬을 타듯 경쾌한 소리가 꿀삼겹의 주방에서 새어 나온다. 무언가를 씻는 소리가 조금씩 달라진다. 설거지와는 엄연히 다르게 들리는 이 소리의 주인공은 각종 해산물이다. 삼겹살 전문점의 주방에서 선뜻 상상하기 어려운 재료가 속속 등장한다. 심지어 계속 꺼내 담는 재료는 한 두 가지가 아니다. 가리비, 홍합, 꽃게 등 신선한 해물들이 모습을 드러낸다. 오픈 시간을 한참 앞둔 시간부터 주방이 시끄럽고 바쁘다. 준비된 재료가 많아 손질 작업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순서대로 깨끗해진 모습의 해산물이 차곡차곡 제자리에 쌓인다. 두꺼운 껍데기가 없는 재료도 많다. 고니, 새우, 낙지 등 푸짐한 해물이 각각의 방법으로 바다의 흔적을 지운다. 2018년부터 운영 중인 청주 가경동 '꿀삼겹'의 대표 메뉴는 삼겹살과 해물전골이다. 흔히 고깃집에서 생각하는 김치찌개나 된장찌개 대신 손님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고기와의 조합을 고심하다 찾아낸 메뉴다. 서비스 개념의 찌개류와는 크기와 구성부터 다르다. 여러 해물의 풍성하고 시원한 맛을 조화롭게 끌어올린 국물이 널찍한 냄비에서 끓어오른다. 가리비, 홍합, 새우, 꽃게와 낙지를 중심으로 갖은 채소와 두부
[충북일보] 청주의 상징 두 가지가 한눈에 들어온다. 마주 보이는 우암산과 아래로 흐르는 무심천이 창문 너머를 가득 채운다. 계절마다 달라지는 바깥의 풍경이 지루할 틈 없다. 일행과 함께 온 손님들도 서로의 얼굴이 아닌 밖을 보며 이야기를 나누기 일쑤다. 날씨가 맑으면 맑은 대로, 흐리면 흐린 대로 다른 색채의 청주를 들여다볼 수 있다. 2022년 청주 모충동에서 문을 연 베이커리카페 겸하당은 무심서로를 지나는 사람들의 시선을 단박에 사로잡았다. 무심천 가까이에 들어선 4층 건물은 그해 청주시 아름다운 건축물 우수상을 받았을 만큼 눈에 띄는 외관을 갖췄기 때문이다. 벚꽃이 피는 계절이면 무심천 주위 대부분 카페가 붐비지만 이곳의 첫봄은 발 디딜 틈 없을 만큼 사람들로 가득 찼다.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었던 이겸하 대표와 직원들도 정신을 차리기 어려울 만큼 많은 이들의 방문이 이어졌다. 청주의 봄날을 한눈에 바라본 경험은 입소문을 타고 더욱 널리 퍼졌다. 봄날의 풍경이 사라진 뒤에도 루프톱까지 개방하는 4층 건물을 찾아오는 손님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머무르지 않더라도 양손 무겁게 빵을 사 들고 나가는 손님들의 행렬이다. 베이커리 카페에서 '베이커리' 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