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시·수필과 함께하는 봄의 향연 - 스프링

함기석의 생각하는 시-112

  • 웹출고시간2021.05.06 10:49:16
  • 최종수정2021.05.06 10:49:16
오은의 시는 발랄하고 경쾌하다. 권위적인 치장을 하지 않고 고상한 내숭도 떨지 않으며 겉치레 폼도 잡지 않는다. 장난기 많은 영리한 아이가 장난감 퍼즐을 갖고 노는 것처럼 말을 가지고 까불까불 수다스럽게 장난을 친다.

말로 말 비틀기, 연상으로 말 이어가기, 속담이나 관용구 삽입하기. 끝말잇기, 말과 말 충돌시키기 등 운용 측면에서 보면 오은의 시는 쾌락의 욕망을 토대로 펼쳐지는 말놀이 공연, 말놀이 애드리브에 가깝다. 말 자체에 내재된 물성과 소리, 말에 대한 즉흥적 감각과 반응에 따라 시가 예측불허의 방향으로 전개된다.

첫 시집 '호텔 타셀의 돼지들'(2009)은 다양한 말놀이 유희가 펼쳐지는 무대다. 음악, 영화, 철학, 수학, 과학 등 다양한 장르가 꽈배기처럼 뒤섞이면서 현대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을 희롱하고 욕망에 굶주린 자본문명 속의 현대인들을 식충들로 묘사한다.

말이 구성하는 사회적 조건과 가치를 의심하는 이런 시선은 두 번째 시집 '우리는 분위기를 사랑'(2013)에서도 이어진다. 블랙유머가 깃든 장난스런 말들로 문명사회의 모순과 위악을 비판한다.

세 번째 시집 '유에서 유'(2016)에서는 말놀이의 위트와 농담은 다소 옅어지고 부조리 의식이 짙어진다. 현대도시를 살벌한 서바이벌 게임이 벌어지는 생존 사냥터로 보면서 현대사회의 절대적 수직구조, 그것의 폐허를 주목한다.

스프링 오은(1982~ )

더블린은 지금

텀블링하기 좋은 날씨

방과 후의 아이들이

봄처럼 튀어올랐다

해바라기가 고개를 뒤로 젖히고

씨들을 발사하기 시작했다

주근깨를 볼에 심은 아이들이

발끝을 모으자

해를 향해

자신들의 경쾌한 근원을 향해

스프링, 스프링

튀어오를 때

스카이가 다른 이유를

불가능이란 아무것도 아님을

열심히 일한 자들이 왜 떠나는가를*

방과 후 학습에서/비로소 이해할 때

아이들은

샘물 위에 피어난

마블링처럼 웃으며

고블린보다 신나게

더블린 한복판에서

텀블링, 텀블링

이 모든 도약이 꽈배기 한 입에서 시작되었다

*미국의 수학자 존 내시(John Nash)는 소련 간첩들이 '이것'을 통해 내통한다는 망상에 사로잡혀 있었다.
오늘 소개하는 '스프링'은 첫 시집 '호텔 타셀의 돼지들' 맨 앞에 수록된 시다. 음성연상을 통해 더블린, 텀블링, 마블링, 고블린 등으로 옮겨가면서 아이들과 해바라기가 호환되는데, 아이들의 튀어 오름 행위가 존재의 근원, 시간의 기원, 빛의 기원을 향한 운동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불가능이란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 가능한 세계로의 가벼운 도약이 꽈배기 한 입에서 시작되었다는 상상력도 재미있다. 또한 가능 세계로의 이행이 방과 후 학습을 통해 가능해진다는 시각은 정규시간의 교육 현실에 대한 비판적 상상을 촉발한다. 그럼 시인은 왜 말들을 장난감처럼 운용할까? 부조리한 세계를 모반하는 힘은 말의 쇄신에서 비롯되고 말의 기능과 역할, 말의 사용 방법과 배치 방식, 의미의 산출 프로세스 등이 바뀌면 기존의 무겁고 심각한 세계 해석들과 다르게 현실을 재인식하고 통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인이 유아적 말장난을 통해 정반대편의 세계, 규격화되고 질서정연한 어른들의 세계를 희화화하고 비판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는 곧 어른이 되는 과정에서 잃어버린 순수의 세계, 자기 존재의 근원에 닿으려는 시인의 사색하는 마음과 다르지 않다.

함기석 시인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