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시·수필과 함께하는 겨울연가 - 그라베

함기석의 생각하는 시

  • 웹출고시간2018.12.06 17:28:25
  • 최종수정2018.12.20 10:59:27
[충북일보] 김언희 시의 불온성은 기존의 미학적 질서와 금기(禁忌)를 거침없이 위반하고 모독한다는데 있다. 그녀는 현대인들이 은폐한 욕망의 치부들을 거침없이 폭로한다. 세계와 사물과 인간을 비유로 위장하지 않고 거죽을 과감하게 찢어 참혹한 생살을 보여준다. 살에 묻은 핏덩이를 보여줌으로써 거죽 이면에 은닉된 고통의 실체를 직시하게끔 한다. 돼지의 배를 가르듯 육체를 갈라 비린내 풍기는 몸을 날 것 그대로 보여주는 이유는 남성 중심의 세계에 길들여진 여성의 몸에 은폐된 더럽고 추악한 가부장적 근성들을 폭로하고 배설하기 위함이다. 기존의 미적 가치들을 훼손하는 이미지들이 전시되므로 시는 충격적이고 불쾌할 수밖에 없다. 이때의 그로테스크 불쾌감은 남성 지배적 가체체제를 이탈하려는 시인의 모반의식이 낳는 결과물이다. 그녀의 시에 조각난 머리, 절단된 팔다리 같은 파편화된 신체기관과 피, 똥, 오줌 같은 혐오감을 주는 인체분비물이 자주 등장하는 건 이런 배경 때문이다.

그라베 - 김언희(1953∼ )

그 여자의 몸속에는 그 남자의 시신(屍身)이 매장되어 있었다 그 남자의 몸속에는 그 여자의 시신(屍身)이 매장되어 있었다 서로의 알몸을 더듬을 때마다 살가죽 아래 분주한 벌레들의 움직임을 손끝으로 느꼈다 그 여자의 숨결에서 그는 그의 시취(屍臭)를 맡았다 그 남자의 정액에서 그녀는 그녀의 시즙(屍汁) 맛을 보았다 서로의 몸을 열고 들어가면 물이 줄줄 흐르는 자신의 성기가 물크레 기다리고 있었다 이건 사간(死姦)이야 근친상간이라구 묵계 아래 그들은 서로를 파헤쳤다 손톱 발톱으로 구멍구멍 붉은 지렁이가 기어나오는 각자의 유골을 수습하였다 파헤쳐진 곳을 얼기설기 흙으로 덮었다 그는 그의 파묘(破墓) 자리를 떠도는 갈데없는 망령이 되었다 그녀는 그녀의 파묘(破墓) 자리를 떠도는 음산한 귀곡성(鬼哭聲)이 되었다
그녀의 시는 카니발 사회의 야만적 삶, 자본과 섹스로 물화된 자본주의를 비하한다. 현실의 부조리와 위악, 은폐된 성(性) 욕망의 허위, 현실의 폭력 시스템을 폭력적 진술과 냉소로 조롱하고 공격한다. 현실을 파괴하여 공포에 사로잡힌 현실의 맨얼굴을 사실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그녀의 시는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을 지향한다. 그러나 이러한 파괴 이면에 상생의 정신, 미학의 재건설이 자리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김언희의 시는 갱생을 위한 잔혹시, 건설을 위한 파괴시다. 그녀의 시가 문제적인 것은 이러한 역설 때문이다. 또한 욕망의 대상이 비인간적 사물에게도 전이되고 나아가 욕망의 대상 자체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즉 김언희의 시에서 육체는 가학적 욕망만 남은 황폐한 풍경이고, 인간은 섹스 행위만을 무의식적으로 반복하는 욕망하는 기계, 죽음의 기계가 된다.

이런 충격적 장면은 시 '그라베'에도 나타난다. 그는 여자의 몸속에 매장되어 있는 남자의 시신을 발견하고, 또 다시 그 남자의 몸속에 매장되어 있는 여자의 시신을 발견한다. 서로의 죽은 몸속에서 기생하면서 서로를 탐하는 그로테스크 풍경은 죽음의 풍경이자 영원히 죽지 않은 욕망의 풍경이고 죽음과 욕망이 낳는 폐허의 풍경이다. 이런 점 때문에 그녀의 시는 문학의 형태를 빌린 고문대이자 형틀, 그로테스크한 지옥도, 치유 불가능한 정신질환자의 고통스런 기록 등으로 불리곤 한다.

여기서 잠시 생각해봐야 할 것이 그로테스크 미학의 가치와 윤리다. 그로테스크는 도덕과 윤리, 합리성과 이성의 세계가 와해되면서 등장하는 세계 응시의 한 패러다임이다. 그로테스크한 상황과 사건이 벌어지는 시에서 대상들의 기이한 이미지 자체보다 중요한 것이 이미지들이 환기시키는 미적 충격과 파장이다. 시를 통한 이물감의 체험 이후 몸에 찾아오는 변화들이 세계를 보는 시선, 즉 나의 감각과 사고와 인식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가 중요하다. 시각적 충격에 의한 통념의 해체와 미에 대한 가치전복의 모티프는 무엇이고, 시인은 무슨 목적으로 그런 혐오스럽고 불쾌한 이미지들을 지속적으로 구현하는가.

흔히 이질적인 오브제 간의 결합, 모순의 공존, 낯설고 기형적인 괴물체, 성적 금기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시각적 이미지들을 그로테스크 이미지와 동일하게 취급한다. 그로테스크를 논할 때 우리가 놓치기 쉬운 점은 괴기함 그 반대편에 위치한 경외와 숭고의 미학 정신이다. 낯설고 끔찍한 이미지와 검은 웃음이 부조리한 사회체제, 죽은 통념들을 전복시키는 힘으로 확산되지 못한다면 진정한 의미의 그로테스크 미학을 담보한 시라고 할 수 없다. 흑과 백, 광기와 괴기, 고통과 유머가 혼합된 사물들을 통해 현실과 인간의 폐부를 찌르고 자극하는 전위적인 눈동자가 도사리고 있어야만 한다. 21세기 우리 시대 전위시가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다시 한 번 심도 있게 고찰해야할 시점이다.

/ 함기석 시인

그라베Grave

아주 느리게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