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9.7℃
  • 맑음강릉 12.4℃
  • 연무서울 12.1℃
  • 맑음충주 10.4℃
  • 맑음서산 10.7℃
  • 맑음청주 12.7℃
  • 맑음대전 13.7℃
  • 맑음추풍령 14.8℃
  • 맑음대구 15.5℃
  • 맑음울산 17.7℃
  • 연무광주 11.5℃
  • 맑음부산 16.7℃
  • 맑음고창 13.1℃
  • 연무홍성(예) 12.0℃
  • 맑음제주 20.5℃
  • 맑음고산 14.7℃
  • 맑음강화 10.4℃
  • 맑음제천 9.9℃
  • 맑음보은 9.4℃
  • 맑음천안 12.2℃
  • 맑음보령 14.7℃
  • 맑음부여 8.1℃
  • 맑음금산 10.9℃
  • 맑음강진군 10.3℃
  • 맑음경주시 14.3℃
  • 맑음거제 15.2℃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시·수필과 함께하는 겨울연가 - 죽음에 관하여

  • 웹출고시간2018.03.08 17:48:09
  • 최종수정2018.03.08 17:48:09
[충북일보] 오탁번의 시는 섬세한 언어 조탁, 명징한 이미지, 풍자와 해학의 유머의식 등이 주요 특징이다. 투명하고 명징한 이미지를 살려내기 위해 그는 보석 세공사처럼 섬세한 언어조탁에 공을 들이고 비유와 상징을 사용한다. 그 결과 이국적인 정조와 감각적인 이미지가 조화를 이루면서 독특한 시의 분위기가 창출된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그는 비유적 언어사용을 줄이고 시대상황에 대한 분노와 울분을 직접적으로 토로한다. 타락한 현실의 타락한 인간, 타락한 문단을 아유하고 질타한다. 흥미로운 건 현실의 음지와 어둠을 정반대로 굴절시켜 유머의 해학으로 역설적으로 표현한다는 점이다. 시 '폭설', '굴비', '동치미' 등에는 시인의 이런 풍자의식이 잘 드러나 있다.

오탁번의 시는 크게 보아 죽음과 생명 사이, 타락과 순수 사이, 절망과 희망 사이에서 발아한다. 존재의 근원을 탐색하는 시, 현실을 비틀어서 풍자하고 비판하는 시, 에로티시즘의 세계를 추구하는 장난기 넘치는 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근원을 탐색하는 시들은 주로 생명의 탄생과 죽음, 자연에 대한 경외감과 신비감, 사랑의 대상에 대한 그리움과 갈망을 드러낸다. 중요한 것은 시인의 내적 갈망의 뿌리에 어머니가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어머니는 육친의 대상을 넘어서서 생명의 토대이자 발원지라는 상징적 의미에서의 어머니, 즉 그의 시의 발아 탯줄이자 성장의 자궁이다. 그에게 어머니는 인간의 탄생과 죽음의 처소이자, 자연의 생명적 근원지인 셈이다.

그가 모국어의 질감과 날것의 육감을 추구하는 것은 이러한 모성지향 의식이 밑바탕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모성의 언어를 통해 그는 존재의 근원을 탐색하고 삶과 죽음을 사색한다. 이런 시선 때문에 죽음에 대한 사색은 미움과 눈물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하고 인간의 본능과 자연스럽게 연계된다. 육체적 관능의 아름다움과 생명력에 대한 모성적 관심이 여성성 나아가 인간의 육체성 전체로 확장된다.

시인의 말대로 인간은 누구나 "파도에 휩쓸리는 갸울은 목숨" 아닐까. 세모에 링거를 꼽고 병실에 누워 있었을 화자(시인)의 모습이 그려진다. 죽음과 생명 사이를, 절망과 희망 사이를 오갔을 시인의 불안한 눈동자가 떠오른다. 어둠의 시간이 지나고 어둠 속에서 터오는 한 줄기 관능의 빛을 통해 그는 자신이 꿈꾸던 순수한 사랑, 생명의 신비를 살려내려 했을 것이다. 죽음과 관능은 동전의 양면이라는 점에서, 아픈 육체에서 싹트는 관능의 촉은 결국 사랑의 근원에 가 닿으려는 시인의 애절한 몸짓일 것이다.

/ 함기석 시인

죽음에 관하여 - 오탁번(吳鐸藩 1943~ )

1

왼쪽 머리가

씀벅씀벅 쏙독새 울음을 울고

두통은 파도보다 높았다

나뭇가지 휘도록 눈이 내린 세모에

쉰아홉 고개를 넘다가 나는 넘어졌다

하루에 링거 주사 세 대씩 맞고

설날 아침엔 병실에서 떡국을 먹었다

수술 여부를 결정하는 의사가

첩자처럼 병실을 드나들었다

수술 받다가 내가 죽으면

눈물 흘기는 사람 참 많을까

나를 미워하던 사람도

비로소 저를 미워할까

나는 새벽마다 눈물지었다

2

두통이 가신 어느 날

예쁜 간호사가 링거 주사 갈아주면서

따듯한 손으로 내 팔뚝을 만지자

바지 속에서 문뜩 일어서는 뿌리!

나는 남몰래 슬프고 황홀했다

다시 태어난 남자가 된 듯

면도를 말끔히 하고

환자복 바지를 새로 달라고 했다

-바다 하나 주세요

내 입에서 나온 말은 엉뚱했다

-바다 하나요

바지바지 말해도 바다바다가 되었다

언어 기능을 맡은 왼쪽 뇌신경에

순식간에 오류가 일어나서

환자복 바지가

푸른 바다로 변해 버렸다

아아 나는 파도에 휩쓸리는

갸울은 목숨이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