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시·수필과 함께하는 봄의향연 - 낫을 갈던 어느 여인

  • 웹출고시간2016.04.21 16:13:27
  • 최종수정2016.07.07 17:15:29
비단같이 흐르는 햇살이 눈부시다. 떨어지는 꽃잎은 바람을 타고 춤을 추며 꽃잎세상을 만든다. 밝으면서 부드럽게 그리고 따뜻하게 마치 왈츠를 추듯이 돌고 돈다. 어르신 한분이 "이렇게 예쁜 세상은 어디에도 없을 거야, 너무 좋다"라고 하신다. 이렇게 감정을 길게 이야기 하시는 일이 처음인 어르신이다. 나는 노인을 꼭 껴안고 어르신이 더 예쁘다고 했다. 한 숨을 길게 들이 신 어르신은 비단자락 풀리듯 어느 봄날 이야기를 회상하신다.

예전에 봄바람이 시린 날이 있었지. 4월 어느 날 남편은 소를 몰고 나가 논을 갈고 점심을 먹으로 들어왔어. 누가 찾으면 없다고 하라고 하며 윗방으로 올라갔지. 그 뒤를 따라 반장하고 하얀 두루마기를 입은 남자 서너 명이 마당에서 서서 남편이름을 불렀어. 없다고 해도 들어오는 거 봤다며 신발도 있으니 나오라 다구 쳤어. 남편은 점심도 못 먹고따라 나간 후 돌아오지 않았어. 그렇게 그가 넘어간 뒷산을 바라보며 한여름을 밭고랑에 앉아 등줄기에 흐르는 땀보다 많은 눈물을 흘렸고, 겨울은 얼음장같이 얼어붙은 가슴을 부여안고 베개를 적시며 지냈지. 그 후로는 사월의 봄이 싫었지. 구석구석이 어두운 그림자가 도사리고 있는데, 꽃샘바람을 잡고 늘어지는 찬바람만이 내 살 속으로 파고들었지. 남편이 곱다며 입던 누비 적삼을 반닫이에서 꺼내보지도 못했어. 고우면 안 되는 날들의 연속. 햇살이 아름다우면 안 되는 날들이 흐르는 동안 뱃속의 아이는 태어났지. 내 귀여운 둘째 딸. 분신처럼 심어놓은 씨앗을 남편도 모르고 나도 몰랐지. 내 삶이 되어 버린 불쌍한 유복자. 살아보니 모든 것은 다 정해진 인연 따라 만나고 헤어지는 것이더군. 내 인연도 그거까지였다면 유복자 딸은 남편의 선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지. 일곱 살이 된 큰딸을 그늘삼아 봄 햇살이 아름다운지, 여름이 무더운지. 가을이 외로운지, 겨울이 오는지 가는지도 모르는 삶을 살게 되었어.
그러고 보니 나는 평생을 낫을 갈며 살았던 거야. 내 남편을 데리고 나가 혼자 돌아온 반장을 향해 나는 늘 낫을 갈았거든. 그렇게 가기 싫다는 사람을 데리고 갔으면 같이 와야지. 저 혼자만 살아서 활보하는 꼴을 보면 손발이 떨렸어. 한양 조 씨 양반가에서 태어나 곱다는 소리를 한 몸에 받으며 자란 나였어. 딸 만 둘 데리고 사는 우리 집을 누구라도 허투루 대할까 나는 밤에도 낫을 머리맡에 두고 살았지. 지금 생각하니 내 외로운 팔자가 싫어 상대 없는 세상을 향해 낫을 휘두르고 살아온 꼴이 됐어.

나를 지킨다는 명목으로, 반장을 향한 미운 마음이라는 명분을 세웠지만 사실은 내 고단한 삶을 향해 날을 세웠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네. 딸들이 출가하고도 나는 낫 가는 것을 멈추지 않았지. 그 낫이 나를 향해 있는 것을 알 수 없었어. 날을 세우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고행스러운 삶인지, 일찍이 정신 줄을 놓고 나서야 비로소 알게 되었지. 지금 창밖의 햇살이 찬란한 것은 낫 가는 마음을 멈춰서 일거야. 이곳에 온지도 근 15년이 되었으니 나는 평생을 낫을 가느라고 누구하고도 가까이 할 수가 없었어.

어제는 큰딸이 하루종이 내 옆에 앉았다 갔어. 예쁜 것들. 고마운 것들. 이번에 열이 오르고 몸이 많이 아팠을 때, 그만 가고 싶었어. 구십이 넘어 병원에 누워있는 어미를 잃을까 매일 찾아오는 내 딸들. 어제는 칠순이 넘은 큰딸이 먼 길 버스를 몇 번씩 갈아타고 와 점심을 먹이고 바라보다 돌아갔지. 어찌 닮지 않아도 되는 팔자를 닮았을꼬. 고생하지 말라고 부자 집으로 시집보냈더니 일찍이 혼자되어 일을 소같이 하여 아이들을 키웠지. 그 모습을 바라보면 내 탓 같아딸이 밭고랑을 매면 갈퀴손으로 내 심장을 긁는 것 같았어. 그러더니 그 아들 또한 일찍이 가버리고 쌍둥이 손녀까지 거두게 되었지. 이번에 시집보낸다고 고손자 보고 가라네. 이렇게 햇살이 고울 때 가야 하는데…. 영감이 이렇게 할망구가 되어 버린 나를 못 알아보면 어쩔꼬.

요양원에서 우리는 어르신을 '조마님'이라고 부른다. 맑은 미소를 띠고 눈웃음 짓는 반달눈은 본연의 모습이건만, 평생 낫을 갈며 살았다고는 믿기지 않는 고운 자태가 더욱 처연하다. 한 많은 인생을 반듯하고 아름다운 여인의 모습으로 살기위해 가슴에 얼마나 많은 피눈물을 흘렸을까. 지금은 바람에 날리는 꽃잎처럼 다 날려 보내고 피안의 세상을 사시는 어르신은 진정 우리들의 어머니다. 가슴이 뭉클하여 다시 어르신을 껴안았다. 나도 눈물이 흘러내렸다.

양승복 수필가

-충북대학교 평생교육원 수필창작수강

-2회 효동문학상 대상 수상

-푸른솔문학 신인상 수상

-푸른솔문학 작가회 회원

-초정노인복지재단 요양병원 간호사 팀장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