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시·수필과 함께하는 여름의 추억 - 불혹(不惑)의 추석(秋夕)

함기석의 생각하는 시 17

  • 웹출고시간2016.09.12 14:55:25
  • 최종수정2016.09.12 14:55:25
천상병은 천진한 아이 같은 눈과 마음을 지닌 순수한 시인이다. 대표작 '귀천(歸天)'으로 국민들에게 널리 사랑받는 시인이다. 그는 동심(童心)으로 세상을 바라보면서 가족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을 시로 표현했으며, 삶과 죽음을 초월하는 마음으로 세계를 아름다운 소풍의 공간으로 그려냈다. 그에게 죽음은 삶의 끝이 아니라 지상에서의 짧은 소풍을 마치고 다시 하늘로 돌아가는 것, 천상의 삶의 새로운 시작이었다. 그가 죽음에 대한 이런 내세관을 갖게 된 것은 종교적 영향이 컸다. 그러나 아름다운 소풍이 시인의 염원 또는 갈망이었다는 점에서 역설적으로 그에게 삶은 고통의 연속이었다.

시인의 고통의식은 가난, 외로움, 새 등의 어휘를 통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외로움은 인간의 본질이자 시인 자신의 실존을 대리하고 새는 삶과 죽음의 접경지대를 향해 날아간다. 왜 그럴까· 시적 자아가 겪는 지상의 삶이 그만큼 견디기 힘들고 고달프기 때문이다. 새는 지상과 천상을 연결하는 소재로 자유가 억압된 삶에서 벗어나서 하늘에 닿고자 하는 시인의 갈망이 담겨 있다. 고통으로 점철된 지상의 시간으로부터 벗어나 죽음에 닿고자 하는 욕망의 대리물로 시인 자신의 초상인 셈이다.

'불혹의 추석'은 천상병의 후기 작품이다. 마흔의 나이에 홀로 추석을 맞이한 시인의 고독감과 고통의식이 드러나 있다. 무지한 자가 말이 많다는 노자(老子)의 말씀을 가슴에 새기면서 시인은 빈촌(貧村)의 대폿집에서 어버이의 제사를 지낸다. 찌그러진 상 위에 막걸리 한 사발 따라놓고 돌아가신 부모님을 그리워하며 깊은 상념에 잠긴다. 지나온 인생을 반성적으로 되돌아보면서 이제는 말보다 침묵의 자세로 나머지 삶을 살겠다고 다짐한다. 이처럼 천상병의 후기 시에는 일상을 소재로 삼아 인생에 대한 철학적 사유, 실존적 자아성찰이 펼쳐진다. 자연의 세계에서 자신의 삶을 조용히 관조한다. 자아의 투영을 가능한 억제해 있는 것을 있는 것 그대로 살려내려 한다. 즉 일상의 소박한 것들 속에서 시인은 삶의 비의를 발견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침묵으로 사색한다. 이에 따라 시의 형식 또한 하강구조를 취한다.

천상병의 시 전반에 나타나는 공간은 크게 상승구조와 하강구조로 양분된다. 상승구조는 시인의 갈망 또는 의식이 지상에서 천상으로 날아오를 때 나타나고, 하강구조는 천상에서 지상으로 추락할 때 나타난다. 중요한 것은 시인의 의식이 상승보다 하강할 때가 훨씬 많고 이런 하강구조는 형식 자체로 시인이 인생에서 겪은 비애와 질곡, 번뇌와 절망을 반영한다는 점이다.

불혹(不惑)의 추석(秋夕) / 천상병(千祥炳 1930~1993)

침묵은 번갯불 같다며,

아는 사람은 떠들지 않고

떠드는 자는 무식이라고

노자(老子)께서 말했다.

그런 말씀의 뜻도 모르고

나는 너무 덤볐고,

시끄러웠다.

혼자의 추석이

오늘만이 아니건마는

더 쓸쓸한 사유는

고칠 수 없는 병 때문이다.

막걸리 한 잔,

빈촌 막바지 대포집

찌그러진 상 위에 놓고,

어버이의 제사를 지낸다.

다 지내고

음복을 하고

나이 사십에,

나는 비로소

나의 길을 찾아 간다.
그러기에 동심으로 채색된 그의 시 이면에 깔린 뼈아픈 고통과 비극의 서사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시인이 마흔의 나이에 추석을 맞이하며 쓴 또 다른 시 '소릉조(小陵調)-70년 추석에'에도 하강구조가 나타난다. 인간의 실존적 고뇌와 가족애가 가슴 아프게 새겨져 있다. 삶의 비애와 연민과 경이로움이 함께 느껴지는 시다.

'아버지 어머니는/ 고향 산소에 있고// 외톨배기 나는/ 서울에 있고// 형과 누이들은/ 부산에 있는데// 여비가 없으니/ 가지 못한다.// 저승 가는 데도/ 여비가 든다면// 나는 영영/ 가지 못하나?// 생각느니, 아,/ 인생은 얼마나 깊은 것인가.'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