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충주 7.4℃
  • 맑음서산 8.3℃
  • 맑음청주 8.8℃
  • 맑음대전 10.1℃
  • 맑음추풍령 8.6℃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홍성(예) 7.7℃
  • 맑음제주 13.0℃
  • 맑음고산 11.0℃
  • 맑음강화 4.8℃
  • 맑음제천 6.9℃
  • 맑음보은 9.5℃
  • 맑음천안 8.5℃
  • 맑음보령 9.2℃
  • 맑음부여 9.6℃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9.04.23 15:46:06
  • 최종수정2019.04.23 15:46:06
[충북일보] "그때도 갈기에 리본을 매고 다닐 수 있을까요?"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은 인간의 지배를 벗어나고자 했던 동물들의 혁명을 그린 소설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흰 암말 몰리는 혁명 후에도 인간들이 달아준 리본을 아쉬워한다. '파란가게' 김은영 대표는 각설탕의 달콤함을 잊지 못하고 또 다른 농장에서 일하는 몰리에게서 자신을 읽었다. 10여 년 일했던 직장의 시스템 속에서 망설임이 앞서던 시기에 몰리를 만난 은영씨는 과감하게 직장 생활을 청산했다.

은영씨는 건축사무소에서 삶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일을 했다. 설계와 도면대로 공간이 완성되는 일에 기쁨을 느꼈던 그는 오랜 기간 일 속에 갇혀 살게 되자 막연히 삶에서 소외되는 기분을 느꼈다.
'몰리'를 계기로 1년쯤 재충전의 시간을 가졌다. 발길이 닿는 데로 걸어보기도 하고 서울살이에 지친 몸을 자연 속에서 달래보기도 했다. 서울에서 그렸던 고향의 자연은 10년 새 많이 달라져 있었다. 어느 날은 시골집에서 흔히 들리던 새소리조차 잦아들어 한동안 울기도 했다. 생태건축을 위해 찾아 읽었던 '침묵의 봄'이 눈앞에 있는 것 같았다.

그럴수록 자연을 찾았다. 책 속에 그려진 자연에 위로를 얻기도 하고 어느 비 오는 날 다시 크게 지저귀는 새소리에 귀가 번쩍 트이기도 했다. 유난히 무더웠던 여름, 건물 안 에어컨 바람에 시리던 몸이 나무 그늘에서 치유되는 것을 느끼기도 했다.
ⓒ 파란가게 인스타그램
다시 시작할 용기를 얻은 건 강릉의 어느 바다에서다. 안목해변에 도착해 해안선을 따라 걷다 강문해변에 도착했을 때 바다의 파란색이 마음에 담겼다. 우주에서 바라본 푸른 지구처럼 여전히 삶이 푸르름을 느꼈다. 그 파란색을 품고 돌아와 추억이 담긴 거리를 걷다 충동적으로 '파란가게'를 열었다.

파란 천과 파란 문틀, 파란 글씨의 간판이 있는 '파란가게'는 동네서점이다. 책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쉽게 문턱을 넘을 수 있도록 커피와 차도 준비했다. 처음에는 은영씨의 관심사였던 자연과 과학이 주제였다. 은영씨의 관심사가 넓어지면서 파란가게 속 책의 영역도 확장됐다. 감성적인 일러스트가 담긴 엽서나 달력 등의 소품도 가져왔다.

한쪽 선반에는 파란가게를 상징하듯 푸른 계열의 표지들로 가득하다. 모두 파란색을 주로 사용했지만 같은 파란색은 없다. 책 표지의 소재와 질감, 디자인 등이 다르다. 수동 인쇄 거리에 위치하다 보니 인쇄물로서 책의 매력이 보였기 때문이다.

파란가게는 얼마 되지 않았지만 책을 매개로 자발적으로 모이는 독서모임이나 낭독회도 여럿이다. 이는 은영씨가 기획하거나 의도한 것이 아니라 '파란가게'라는 공간을 통해 만들어진 콘텐츠다. 어떤 기대를 가지고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날수록 공간이 가진 가능성과 잠재성에 놀라는 중이다.

오랜 시간 몸담아온 건축에 대한 마음도 놓지 않았다. 향후 파란가게를 채워갈 책의 분야에는 도시와 건축도 당연히 포함돼있다.

건축은 은영씨의 의미 있는 시간이 담긴 자산이면서 가장 자신 있게 소개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파란가게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만나고 이야기를 나눌수록 청주라는 도시에 관한 이야기를 담아낼 자신이 생긴다고 했다. 단순한 서점이 아니라 도시와 건축의 담론이 있는 공간으로 꾸미는, 아직 먼 꿈이라고 말하는 은영씨의 눈빛에는 확신이 차있다.

땅의 가장자리에서 떠올려 파란 문을 열고 들어왔다는 은영씨의 파란가게는 청주의 가장자리에서도 조금씩 가운데로 나아가고 있는 듯하다.

/ 김희란기자 khrl1004@nate.com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도민들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은행으로"

[충북일보] "올해도 금융지원 본연의 역할은 물론 지역금융 전문은행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임세빈(55) NH농협은행 충북본부장은 취임 2년차를 맞은 소회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끼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일반 은행과 달리 농협은행은 농민과 고객에 대한 서비스와 책임을 지고 있다. 100% 민족자본으로 설립된 은행으로의 기업가치를 지켜야하기 때문이다. 임 본부장은 "금융의 측면에서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인정받는 리딩뱅크 운영을 목표로 삼고 있다"며 "농협의 기본 가치인 농업·농촌을 살릴 수 있는 지역사회 공헌과 농산물 소비촉진 등 공익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도시와 농촌을 연결할 수 있는 허브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농협은행의 목표는 '금융을 고객 성장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칙을 재정립하고 고객 신뢰를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임 본부장은 은행의 중점 추진사업으로 네 가지를 꼽았다. 먼저 고객과의 동반 성장을 실현한다. 고객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맞춤형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둘째, 규정과 원칙을 확립해 고객이 믿고 거래할 수 있는 금융환경을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