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충주 7.4℃
  • 맑음서산 8.3℃
  • 맑음청주 8.8℃
  • 맑음대전 10.1℃
  • 맑음추풍령 8.6℃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홍성(예) 7.7℃
  • 맑음제주 13.0℃
  • 맑음고산 11.0℃
  • 맑음강화 4.8℃
  • 맑음제천 6.9℃
  • 맑음보은 9.5℃
  • 맑음천안 8.5℃
  • 맑음보령 9.2℃
  • 맑음부여 9.6℃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8.07.26 17:58:08
  • 최종수정2018.07.26 17:58:08

임미옥

청주시 1인1책 프로그램 강사

그날따라 초여름 햇살이 별처럼 반짝였다. "야 바다다!" 누군가 외쳤다. 바다는 늘 설렘을 준다. 차에서 내렸는데, 바다는 저만치 있고…. 시멘트 둑 너머로 출렁대는 물결로 인하여 가슴이 탔다. 바다는 언제 찾아오든 한 번도 실망시킨 적 없었지. 오늘처럼 멀면 먼대로 바라만 봐도 충만함을 선사한다. 바다를 더 가까이 느끼고 싶어 허리높이보다 높은 두툼한 둑에 올라앉았다. 적당히 불어오는 바람이 온 몸의 세포를 자극한다. 지금 이대로라면 잠시 시간이 정지되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때, 환호성이 터졌다. 고개를 돌리니 그늘 막에서 쉬는 사람들을 관중삼아 한낮에 해변의 무도회가 열렸다. 이때를 위하여 준비라도 한 듯이, 각기 다른 동아리에서 스포츠댄스를 하신다는 점잖으신 은발의 남녀 두 분이 유려하게 미끄러진다. 한 쌍의 새다. 춤사위는 파도를 타는 갈매기요, 형상은 극히 몽환적이다. 고요하게, 가끔은 얼굴이 포개질 것처럼 아찔하게 긴장감을 주면서 사람들의 정서를 압도한다.

어린 시절로 기억이 달려간다. 고향의 약수터 옆에 무도장이 있었다. 사람들은 그곳을 방갈로라고 불렀다. 방갈로어원은 인도벵골 지방의 독특한 주택양식에서 비롯됐단다. 산기슭이나 호숫가 또는 바다가 보이는 곳에 지은, 처마가 깊숙하고 베란다가 있는 곳을 말한다. 풀이나 기와로 지붕을 올린 목조건물로 여름철 피서용으로 쓰인다니 별장의 개념이다. 무도장은 방갈로라고 불릴 조건이 아니었다. 바다나 호수가 보이기는커녕 나지막한 산조차도 없는, 곡식저장 창고처럼 생긴 그곳을 왜 방갈로라고 불렀는지 모르겠다. 암튼 아이들 금지구역으로 규정했던 그곳을 지날 때면 잔잔한 음악이 흘러나오곤 했다. 난 홍등이 켜졌던 그 안의 세계가 궁금했었다.

그 후 10년 뒤, 내가 고향에 있는 유치원에 근무할 때였다. 보육교사 세미나에 갔더니 포크댄스를 가르쳐주며 자모회 운영할 때 활용하라고 했다. 나는 꼬마들을 보내고 녹음테이프에 가득 담긴 서양의 각 나라 민속경음악들을 듣곤 했다. 음악들은 어릴 적에 무도장을 지날 때마다 흘러나오던 그 음악들과 비슷한 느낌이었다.

한번은 교회 청년모임에 그 포크댄스들을 활용했다. 짝을 이뤄 춤을 추다 한 칸씩 밀려가 짝을 바꾸는 묘미라니, 춤 한번 추고 싶은 이와 짝이 되려면 아직 인데 음악이 끝날까봐 조바심 하는 표정들 이라니, 마음에 둔 이와 만나기 직전에서 하필 음악이 끝나버리다니…. 40여 년이 지난 지금 들어도 빠져들고야 마는 그 음악, 몇 트랙을 돌아도 끝나고 나면 "아이!" 하는 아쉬움의 합창이 일제히 터지곤 했다.

이튿날, 나는 교회 안에서 풍기문란을 조장助長한 사탄이 되어 있었다. 당연히 목사님께 불려가 혼쭐이 났다. 그 후 그 시간을 찬양으로 대체했더니 다시 그 춤을 추자고 청년들의 원성이 컸던 추억이 있다. 4박자나 3박자 왈츠지만 마지막엔 남녀가 부둥켜안고 호흡을 쉬며 천상을 거닐 듯 도니 방갈로 무희와 다를 게 없는 것을, 피 끓는 청년들에게 전수하다니…. 철모르고 반짝이던 그 시절 열정이 그립다.

해변의 춤은 이어진다. 중력과 관성의 법칙처럼 밀고 당겼다 끊어질듯 잇는 것이 원을 그리듯 모나지 않는다. 저 분들은 아는 사이일까· 춤 한번 추자는데 너무 심오할 필요는 없겠다. 지금의 감정을 오롯이 몸으로 표현할 뿐, 일상으로 가면 모르는 사이여도 좋으리. 그저 자유롭게 이 순간을 즐기면 된다. 음악도 없이, 약속도 없이, 악보라곤 관중이 보내는 음표 없는 손뼉리듬 뿐이다. 그럼에도 호흡을 맞추며 하늘하늘 날렵하게 동작들을 구현하니, 오늘 이 해변에 춤신神들이 임했나 보다.

두 분 사이에 흐르는 일정한 리듬을 들으며, 리듬의 기원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리듬, 그 기원은 어디일까. 공허와 혼돈뿐이던 태초부터 존재했고, 심장박동을 듣는데서 부터 해와 달의 움직임까지 온통 리듬 속에서 살다 간다. 그렇게 온 우주가 리듬으로 가득하듯, 사람과 사람사이에도 리듬이 있거늘…. 저처럼만 유연하게 맞추며 살 수 있다면 참 좋겠다. 몸으로 환희를 말하는 춤, 하늘과 땅 사이에서 춤처럼 사람을 매혹시키는 예술도 드물게다. 해변 춤신神들의 몸짓은 계속 이어진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도민들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은행으로"

[충북일보] "올해도 금융지원 본연의 역할은 물론 지역금융 전문은행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임세빈(55) NH농협은행 충북본부장은 취임 2년차를 맞은 소회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끼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일반 은행과 달리 농협은행은 농민과 고객에 대한 서비스와 책임을 지고 있다. 100% 민족자본으로 설립된 은행으로의 기업가치를 지켜야하기 때문이다. 임 본부장은 "금융의 측면에서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인정받는 리딩뱅크 운영을 목표로 삼고 있다"며 "농협의 기본 가치인 농업·농촌을 살릴 수 있는 지역사회 공헌과 농산물 소비촉진 등 공익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도시와 농촌을 연결할 수 있는 허브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농협은행의 목표는 '금융을 고객 성장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칙을 재정립하고 고객 신뢰를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임 본부장은 은행의 중점 추진사업으로 네 가지를 꼽았다. 먼저 고객과의 동반 성장을 실현한다. 고객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맞춤형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둘째, 규정과 원칙을 확립해 고객이 믿고 거래할 수 있는 금융환경을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