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임미옥

수필가

부셔버리고 싶은 사람, 그 사람 생각만 해도 미움이 북받치는 사람, 신이 계시다면 그를 지구에서 데려가 버렸으면 좋겠다. 아니지, 그 정도는 아니야, 진짜 이 말대로 이루어지는 건 아니겠지, 그가 잘못되면 내 탓으로 여겨지니 내안이 지옥일거야. 누군가를 향하여 저주의 말을 하다 문득 이 부분에서 멈추어지는 그런 사람….

살면서 이런 미움의 대상이 한 번도 없다면 축복이리. 부끄럽지만 나는 마음으로 오래 미워한 사람이 있었다. 도덕관념하나는 철저한 분위기에서 자란 내게 치욕스런 일이 있었다. 직장동료 자취방에 놀러 갔던 하필그날, 그녀 월급봉투의 절반이 사라지는 일이 생긴 거다. 유일한 방문자였던 나를 의심한다는 말을 동료로부터 전해 들었다. 혈기가 들끓던 시절이니 치솟는 화를 잠재우기 버거웠다. 모멸감으로 몇날 며칠 잠을 설쳤다. 그러나 그녀를 저주하며 나를 볶을 뿐, 싸울 용기는 없었다.

불과 서너 명의 직원이 다였는데, 나를 알만큼 아는 그들이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 했지만 변명하는 일조차 자존심 상해 함구한 채로 지옥 같은 일주일이 지났다. 그리고 다음 월요일 아침조회 때였다. "박 선생 받아. 유치원사정이 어렵다 보니 친척이란 이유로 임의대로 봉급을 반만 주었네." 원장이 자신의 조카였던 그녀에게 추가로 주는 게 아닌가. 나는 울음이 터져 그 자리를 뛰쳐나왔던 아픈 기억이 있다.

그때부터 마음 깊은 곳에 미움의 씨앗이 심겨지면서 새로운 지옥이 내안에 형성됐다. 안색이 변한 내게 그녀가 사과했고, 쿨 하게 사과를 받아들였다. 그런데 용서를 했음에도, 그녀를 보면 끈질기게 그 일이 생각났다. 좋아 널 용서했으니 이제 다 괜찮아 라고 말해서 되지 않는 것이 용서다. 어떤 설교를 들어도 전혀 그녀와 화평해지고 싶지 않았다. 화평해지기는커녕 안볼 수만 있으면 그러고 싶었다. 그녀가 결혼을 하여 떠날 때까지 좁은 공간에서 안 볼 수 없어 데면데면 하다가 헤어졌다.

눈에 안 보이자 그 일을 잊게 됐고, 마음이 평화로워져 해결 된 것으로 생각했다.

그런데 착각이었다. 쓴 뿌리상처는 툭하면 무의식중에 튀어 나오곤 했다. 비슷한 상황을 보면 불쑥 화가 치밀어 객관적 판단이 서지 않았다. 가령, 내 아이들이 친구와 엉킨 일들을 내게 토설하면 과민하게 화를 내며 본적도 없는 남의 아이 편을 들어 야단을 치곤했다. 아이들에게 심하게 대한다고 남편이 책망해도 틀린 말 했냐면서 발끈하곤 했다. 집안 분위기를 망쳐도 내가 화내는 이유가 정당하다며 당당했다.

그런 부분이 치료할 나의 상처인 걸 깨닫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내적치료에 관한 책을 읽을 때였는데, 조용히 눈을 감고 내게 상처 준 사람을 떠올려 용서하라고 말하는 거다. 아무리 생각해도 용서씩이나 할 만큼 상처를 준 사람은 없었다. 그런데, 이어지는 말이 나의 어떤 점을 건드리면 과민하게 반응하는지, 그것으로 인해 타인을 괴롭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을 해결하라고 종용하는 게 아닌가. 그랬다 내안에 도사리고 있는 오래된 그 사건이 보였다. 끔찍했다. 그럴 수 있는 상황이었지, 하고 그녀의 사과를 받고선 오래 그녀를 미워한 내가 보였다. 그녀가 결혼할 당시 안보고 살아도 되게끔 먼 곳으로 시집가는 것을 다행으로 여기기까지 했던 나였다.

뜨거운 눈물이 흘렀다. 오래 똬리 틀고 있었던 독항아리를 부셔버리는 눈물이다. 이젠 비슷한 상황으로 꼬인 사람들을 봐도 화나지 않고 객관적자세가 된다. 우리는 마음을 숨기고 고상한척 하는 일에 전문가들이다. 내안의 쓴 뿌리는 자신을 괴롭게 하고 타인에게 상처를 준다. 멸균 공간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우리는 모두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으며, 서로 상처주고 상처받고 살아간다. 그 상처를 돌파하고 치유하는 건 용서, 형식이 아닌 진정한 용서뿐이다. 용서는 나를 위함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