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젓가락, 본래는 중국서 제사 때만 사용했다

춘추전국시대 신께 바치는 공물 옮기기 위해 첫 사용
젓가라 사용 유무에 따라 정인·부정인 개념 구분
한국 삼국시대에 첫 등장… 후에 일본으로 확산
현재 우리나라만 숟가락·금속제 젓가락 병용

  • 웹출고시간2015.07.06 16:08:49
  • 최종수정2015.07.06 20:41:06
[충북일보] 2015 동아시아문화도시 조직위원회는 오는 11월 11일을 '젓가락의 날'로 정하고 다양한 문화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중국 은나라 때의 한자 '鄕'으로 모습이다. 두 사람이 수저가 아닌 손가락으로 밥을 먹고 있다(논문 55쪽)

세계 여러 나라 가운데 한·중·일 등 동북아시아 3국에서만 젓가락 문화가 유독 발달한 것일까. 미리 말하면 동북아시아에서의 젓가락 등장은 식사가 아닌 제례의식과 관련된 것이고, 그 발생국은 중국이다.

갑골문에 등장한 한자 '鄕' 자는 두 사람이 마주 앉아서 손가락으로 밥을 먹고 있는 모습이다.(그림참조) 이는 갑골문 사용되던 시기, 즉 중국 은나라 시기에는 젓가락이 사용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중국 역사에 있어 젓가락이 처음 등장한 것은 춘추전국시대(BC 770~BC 440년)였다. 당시 제관(祭冠)은 신에게 바치는 공물(供物)을 옮길 때 정결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반드시 젓가락을 사용했다.

이후 중국의 지배층들이 이 같은 모습을 모방해 젓가락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때부터 젓가락을 사용하면 정인(淨人·깨끗한 사람), 그렇지 않은 경우는 부정인(不淨人)의 개념이 생겨났다.

중국의 젓가락 문화는 전한(前漢)시대에 이르러 일반인에게도 보급되었고, 후한시대에 전국으로 급속히 확산됐다.

예기 곡례(曲禮)에는 '국에 채소가 들어 있는 경우 젓가락을 사용하되, 채소가 없는 경우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는다'라는 표현이 보인다.

이렇게 발생한 중국의 젓가락 문화는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확산되었다. 그러나 동북아 3국의 젓가락 문화는 비슷한 것 같지만 적지 않은 차이도 지니고 있다.

현재 중국은 젓가락을 식사의 중심도구 사용하면서 '렝게'(도기 숟가락)를 병용하고 있다. 일본도 처음에는 손가락으로 밥을 먹다가 지금은 젓가락 하나만을 식사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삼국지 위서에는 일본의 고대 식문화와 관련해 '食飮用邊頭 手食'라는 문장이 보이고, 이때의 邊頭는 죽과 목제품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위서 시기까지 일본도 숟가락을 밥을 먹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신숙주(1417~1475)가 일본을 방문하고 돌아와 쓴 해동제국기(1471)에 '有竹+助(저)無匙', 즉 젓가락이 있으나 숟가락은 없다라는 표현이 보인다. 竹+助는 젓가락, 匙는 숟가락을 의미하고 있다.

우리나라 수저 변천사의 모습이다. 좌로부터 삼국시대(백제),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의 수저 모습이다. 젓가락은 삼국시대부터 등장했다.(논문 61쪽)

이와 달리 한국은 본래 숟가락 문화였으나 이후 젓가락 문화가 병용되었다. 고고학적 발굴로 보면 한성백제기의 청주 신봉동 백제고분군에서는 금속제 숟가락만 출토되었다.

이후 백제 무령왕릉 시기에 이르러서 금속제 젓가락과 숟가락이 함께 나왔다.(그림 참조) 이처럼 한국은 삼국 가운데 유일하게 지금도 중국·일본과 달리 유일하게 수저를 병용하고 있고, 또 목제가 아닌 금속제 젓가락을 사용하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은 정미선(무사시노 미술대학교) 씨의 논문 '동아시아 3국의 공통 식사도구의 전파·수용 및 변화에 대하여' 논문에 실려 있다.

/ 조혁연 대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