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08.24 14:50:32
  • 최종수정2016.08.24 14:50:32

이태근

(사)흙살림 연구소

올 여름 기록적인 폭염이 한 달째 지속되고 있다. 유래 없는 무더위와 열대야에 인간은 물론 자연도 신음하고 있다. 이 맘 때쯤이면 한반도를 달구었던 여름 더위를 물러나게 해 줄 태풍 소식도 들려올 때가 되었건만 올 해는 더위의 텃세가 너무 강력한 탓인지 한반도 근처로는 얼씬도 않은 채 지나가버린다고 한다. 이런 비정상적인 날씨는 올 해, 우리나라에서만 벌어지는 일이 아니다. 근 몇 년 전부터 전 세계 곳곳에서는 가뭄, 홍수, 태풍, 한파 등 이상 기후로 인한 자연 재해들이 벌어지고 있다. 말로만 듣던 기후변화가 예사롭지 않게 다가오는 요즘, 이러한 문제가 지속되는 원인에 대해 모두가 한 번 쯤 생각해 보아야 할 때가 되었다.

요즘 아침 산책길을 걷노라면 비소식도 없는데 길 위로 기어 나온 지렁이들이 아침 햇살에 미처 몸을 피하지 못하고 말라죽어 있는 것을 보게 된다. 더위에 고생하는 것은 사람뿐만이 아닌 것이다. 우리 밭 밑. 가장 낮은 곳에 살고 있는 이 작은 생명체들에게 무더위는 생사를 가르는 혹독한 재앙과도 같다. 시원하고 축축한 흙 속에서 사는 지렁이는 보통 15~25℃ 사이의 온도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한다. 지온이 30도 이상이 되면 흙 속을 나와 더 시원한 곳을 찾아 이동한다. 요즘처럼 밤 기온도 25도가 넘어가는 열대야가 지속되면 낮 동안 달궈졌던 땅 속의 온도도 쉬이 내려가지 않는다. 때문에 지렁이는 어딘지도 모를 시원한 곳을 찾아 여전히 뜨거운 시멘트 바닥위로 기어 나오는 모험을 하게 된다. 그러나 피부로 호흡을 하는 지렁이에게 햇살은 타오르는 화염 그 자체이고 달궈진 시멘트 바닥은 뜨거운 철판 위에 맨살로 던져진 것과 같은 고통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과연 지렁이의 죽음을 보고 무엇을 생각할까. 어떤 이들에게 지렁이의 죽음은 그저 길을 더럽히는 눈살 찌푸려지는 일이겠지만 사실 지렁이의 죽음은 곧 흙의 죽음과도 같다. 땅 속의 쟁기라고 불리는 지렁이는 인류의 역사보다도 오랜 시간 동안 우리가 밟고 있는 기름지고 보드라운 토양을 만들어왔다. 지렁이는 흙과 함께 유기물을 섭취하여 장 속의 미생물과 함께 소화시킨 다음 똥으로 배출한다. 분변토라고도 알려진 지렁이의 똥은 유기물을 식물이 빨아들일 수 있는 양분의 형태로 만드는 동시에 흙 자체의 성질도 변화시킨다. 흙이 공기와 수분, 영양분을 충분히 머금을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준다. 또한 똥과 함께 배출 된 미생물은 흙 속에서 유해한 세균이 자리 잡을 수 없도록 경쟁하여 토양 생태계를 더 건강하게 만든다. 지렁이는 이렇듯 언제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우리가 버리는 온갖 찌꺼기와 유기물들을 소리 없이 분해하여 우리에게 기름진 흙을 제공해왔다.

이런 지렁이의 죽음은 우리 인간에게 무언의 경고를 보내고 있다. 이제껏 그래온 것처럼 환경을 짓밟아 인간의 편의를 추구한다면 우리의 미래가 어떻게 될 것인가를 죽음으로 알려주고 있는 것이다. 시멘트 포장길 위에 널려있는 수많은 지렁이의 죽음을 바라보면서 우리 인간이 어떻게 해야 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해왔던 작은 행동들, 남의 일처럼 생각했던 수많은 환경관련 이슈들이 이 작은 생명들을 죽음에 이르게 만들고 사람들을 오늘도 여전한 무더위에 잠 못 이루게 만들고 있는지도 모른다. 세상에 원인 없이 벌어지는 결과는 없다. 이제는 우리가 생각을 바꾸고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할 때다. 자연과 환경이 나와 상관없는 것이 아닌 내가 속해 있고 내가 스스로 지켜 내야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지렁이가 없으면 흙도 없고 흙이 없다면 인간도 살 수가 없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