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1.07.14 16:11:44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조혁연 대기자

"오늘은 요망한 도적을 소탕하여 종사를 편안히 하겠으니, 그대들은 마땅히 약속과 같이 하라. 내가 깊이 생각하여 보니 간당(姦黨) 중에서 가장 간사하고 교활한 자로는 김종서(金宗瑞) 같은 자가 없다."-<단종실록>

문종은 자신의 단명을 예견하고 김종서, 황보인 등 원로대신에게 어린 왕자(단종)를 잘 보필해 줄 것을 부탁했다.

이 기회를 틈타 수양대군은 1453년 한명회 등 권력에서 소외돼 있던 자들을 포섭, 원로대신을 무력으로 공격·살해했다. 바로 계유정란이다. 세조의 역사는 이들을 정난공신이라고 적었다. '정난'(靖難)은 난을 평정했다는 뜻이다.

'정난의 공을 논하여 세조(수양대군 지칭)·정인지·한확·박종우·김효성·이사철·이계전·박중손·최항·홍달손·권남·한명회를 1등으로 삼고…<단종실록>

인용문 중 박종우(朴從愚··∼1464)라는 이름이 보인다. 그는 이후 평안도 도체찰사로 나가는 등 출세가도를 달렸다. 도체찰사는 왕명에 따라 민정을 총괄적으로 살펴보는 직책으로 정1품의 품계를 지녔다.

박종우의 간접적인 유품인 완문, 계하사목,교첩 등이 우리고장 충주의 운봉박씨 가문에 전해지고 있다. 완문은 충훈부에서 내린 것으로, 정난공신 박종우의 공적을 인정하고 박흥래가 그 자손임을 확인하는 문서다.

계하사목은 충훈부에서 매 식년(式年·3년)마다 공신의 자손을 기록하여 배포하는 책자이다. 그 안에는 박흥래가 세조 때의 정난공신 박종우의 자손임을 알 수 있는 내용이 적혀 있다. 박종우의 후손인 박흥래는 1834~1894년의 생몰 연대를 지니고 있다.

이후 이들 전적류는 종손인 충주시 신니면 마수리 온수골의 박진홍 씨에게 전해졌고, 그는 지난 1892년 일대에 탄약창이 들어서면서 인근 내용 마을로 이사해 살다가 2007년 작고했다.

현재 운봉박씨 가승(家乘) 전적류의 최종 보관자는 박진홍의 아들인 성모씨라고 충주지역 향토사료는 적고 있다. 이처럼 운봉박씨 충주파가 가승 전적류에 애착을 보이는 것은 나름의 이유도 있어 보인다.

밀양박씨의 한 분파로 알려진 운봉박씨는 고려말 도첨의찬성사를 지낸 박중화를 시조로 모시고 있다. 그의 현손(고손)이 바로 박종우로 태종의 서녀에게 장가갔다.

그러나 운봉박씨는 현재 문중세가 다소 위축된 편으로 지난 2천년 조사 때 전국적으로 4백여 가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운봉은 지금의 남원시 안에 위치한다. 이 대목에서 당시 사관이 박종우의 일생을 어떻게 썼는지 궁금해 진다.

'박종우는 성질이 어질고 후하고 너그럽고 커서 대신의 풍모가 있었고, 몸을 가지는 데 삼가고 집에 있을 때에도 근엄하였고, 사람을 대하거나 물건을 접할 때, 자리가 높았으나 더욱 겸손하였다.'-<세조실록>

상당히 후하게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어지는 문장의 내용은 약간 다르다. '四富'와 '집안이 대대로 부호여서'를 동시에 표현, 기계적인 균형을 맞추려 한 흔적이 엿보인다.

'집안이 대대로 부호(富豪)여서 윤사로·윤사윤·정인지와 같이 재물을 모은 것은 서로 비슷하였으므로 4부(四富)라 불렀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