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충주 7.4℃
  • 맑음서산 8.3℃
  • 맑음청주 8.8℃
  • 맑음대전 10.1℃
  • 맑음추풍령 8.6℃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홍성(예) 7.7℃
  • 맑음제주 13.0℃
  • 맑음고산 11.0℃
  • 맑음강화 4.8℃
  • 맑음제천 6.9℃
  • 맑음보은 9.5℃
  • 맑음천안 8.5℃
  • 맑음보령 9.2℃
  • 맑음부여 9.6℃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김귀숙

관기초등학교 교장

한 우물을 파야 성공한다. 가다 말면 아니 가느니만 못하다.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매진해야 의미 있는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법이니까 맞는 말이다. 어릴 때 배운 이 격언의 힘은 매우 강력했다. 새로운 것에 호기심이 많고 이것저것 배우는 것을 좋아했지만 오래 깊게 파고들지 못했던 나는 죄책감마저 들었다. 시작한 모든 일을 끝까지 할 수는 없는 법이라고 위안해도 뒤통수는 늘 뜨끔했다.

나이 들어가면서 이 말들이 모든 일에 적용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삶의 곳곳에서 깨달았다. 한 가지만 바라보고 주변을 돌아보지 않을 때 오히려 편협한 시각을 가질 수 있다. 때론 넓고 얕은 지식이 삶의 굴곡을 헤쳐나가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그래서 난 "가다가 말면 간 만큼 이익이다. 얕은 우물을 여러 개 파도 괜찮다"라는 말을 하면서 죄책감을 버렸다.

특히 나와 같은 교육자나 어린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한 번 더 생각해볼 일이다. 적어도 학생들만큼은 다양한 경험을 해야 한다는 생각과 같은 맥락이다. 아직 어린 학생들이 정말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가지 정하고 흔들림 없이 끝까지 매진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고 꼭 그렇지 않아도 된다. 확신에 차서 한 우물만 파다가 그 우물의 결과물이 이제는 세상의 관심이 없는 것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요즘 와서 이 말에 더 힘이 실린다. 세상은 눈이 휙휙 돌아갈 정도로 빠르게 변해가고 어제의 지식이 오늘은 쓸모없게 되는 일도 허다하니 말이다. 한 우물만 파다가 세상을 모른다는 소리 듣기 십상이다. 가다가 아니면 뒤돌아서기도 하고 옆길로 가도 괜찮은 세상이 됐다.

최근까지도 일반적이었던 직업에 대한 견해도 바뀌어 이제는 평생직장이라는 말을 운운하기도 어렵다. 우리 땐 한번 발을 들여놓으면 평생 그 직장에서 뼈를 묻어야 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라. 자주 이직하는 것은 끈기가 없거나 적응을 못 한다 여겨지니 진득하게 버텨야 한다고 했었다. 지금은 누구도 평생직장을 보장할 수도 없고 오히려 이직을 내 가치를 높여 평가받는 기회로 삼는다. 심지어 한 사람이 평생 하나의 직업만을 이어간다는 것 자체가 매력 없는 사람이라고도 한단다.

불과 몇 년 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기 시작했을 때 각종 매체에서 우리 아이들 세대는 평생 5~6가지 직업을 가질 것이 떠들며 준비시켜야 한다고 했다. 그게 먼 얘기가 아니었다. 이미 한 사람이 다양한 일을 하고 있고 직업의 크로스오버도 그리 특별한 일도 아니다. 좀 더 적극적으로 말하는 이는 우리 아이들 세대뿐만 아니라 우리도 또 다른 직업을 준비해야 한다고 한다.

설날이다. 얼마 전 새해를 맞아 사람들은 다양한 결심을 했을 것이다. 그 어렵다는 금연, 내겐 너무 어려운 다이어트, 누구에게나 꿈 같은 부자 되기 등등 말이다. 지금쯤 언제 그랬냐는 듯 잊기도 했을 거다. 작심삼일이라는 말이 괜히 나왔겠는가? 꾸준히 지속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우리는 안다. 그렇다고 아예 계획조차 않는다면 성공할 기회조차 없다. 가다가 말았어도 간 만큼의 과정에서 새로운 생각과 만나고 또 다른 사람과 만날 수 있다. 여러 개의 우물을 얕게 파 보는 과정에 새로운 분야에 대한 관심이 생기고 또 다른 방법을 구안할 수도 있는 것이다.

누가 알겠는가? 그 속에 내 미래를 책임질 새로운 아이디어와 아이템이 숨어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가다 말면 아니 가느니만 못한 것이 아니라 간 만큼 이익이다. 여러 우물을 파다 보면 하나쯤은 펑펑 터질 수도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도민들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은행으로"

[충북일보] "올해도 금융지원 본연의 역할은 물론 지역금융 전문은행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임세빈(55) NH농협은행 충북본부장은 취임 2년차를 맞은 소회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끼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일반 은행과 달리 농협은행은 농민과 고객에 대한 서비스와 책임을 지고 있다. 100% 민족자본으로 설립된 은행으로의 기업가치를 지켜야하기 때문이다. 임 본부장은 "금융의 측면에서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인정받는 리딩뱅크 운영을 목표로 삼고 있다"며 "농협의 기본 가치인 농업·농촌을 살릴 수 있는 지역사회 공헌과 농산물 소비촉진 등 공익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도시와 농촌을 연결할 수 있는 허브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농협은행의 목표는 '금융을 고객 성장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칙을 재정립하고 고객 신뢰를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임 본부장은 은행의 중점 추진사업으로 네 가지를 꼽았다. 먼저 고객과의 동반 성장을 실현한다. 고객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맞춤형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둘째, 규정과 원칙을 확립해 고객이 믿고 거래할 수 있는 금융환경을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