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올해 들어 '나쁨' 25일
수도권보다 위험도 높아
북서풍 부는 겨울철 더 심각
백두대간 있어 유입 뒤 정체
[충북일보] 충북 부동산 시장의 '찬바람'이 법원경매 시장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유찰된 공공임대아파트에 신규 물량까지 쏟아져 나왔지만 전국에서 가장 낮은 낙찰률을 기록했다. 낙찰가율도 떨어졌다. 12일 법원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10월 충북 도내에서 진행된 경매는 총 902건이다. 이 가운데 201건이 낙찰돼 22.3%의 낙찰률을 보였다. 낙찰가율은 67.8%로 전달(76.4%), 전년 동월(72.3%) 보다 각각 8.6%p, 4.5%p 낮아졌다. 평균 응찰자 수는 2.1명으로 전달 2.2명, 전년 동월 2.6명 보다 각각 0.1명, 0.5명 감소했다. 충북은 주거시설 낙찰률 하락이 두드러졌다. 경매 진행건수는 483건, 낙찰건수는 90건으로 낙찰률은 18.6%에 그쳤다. 전국에서 가장 낮은 낙찰률이다. 충북에 이어 2번째로 낮은 낙찰률을 보인 울산(29.2%)보다도 10.6%p나 낮다. 경매 진행건수는 전달 319개보다 51.4%(164개)가 늘었다. 전년 동월 224개보다는 무려 115.6%(259개)나 증가한 숫자다. 경매 건수가 많아진 이유로는 지속적인 유찰(流札)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난 9월 경매시장에 나와 유
[충북일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191㎞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 강동구 길동, 명일동, 고덕동 일대 지하를 대형 터널을 통해 관통한다는 계획으로 강동구 주민들이 고속도로 우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17년 예산안에 서울~안성 구간의 건설보상비 1천억원이 편성됐으며 전체 예산규모는 6조7천억 원이다. 정부는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서울~안성 구간(71.1㎞)은 도로공사에서 착수 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고, 안성~세종(57.7㎞)은 처음부터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지난 2009년 건설계획이 최초로 제시됐으나 주민 반대와 사업방식에 대한 정부 내 이견으로 수차례 지연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11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가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진행 방식 자체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이는 당장 오는 2017년 관련 예산 편성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착공 자체도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대목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7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책자를 통해 "설계비·공사비
[충북일보] '미세먼지'가 우리 삶 깊숙이까지 침투하고 있다. 심지어 누군가 야외에서 만나기 위한 약속을 잡을 때 "오늘 미세먼지 농도가 어떠냐"는 질문을 하는 실정이다. 미세먼지를 거르기 위한 마스크는 필수품이 돼버렸다. 현시대에 들어 우리나라의 대기 상태는 중국발 스모그·국내 발생 중금속 등으로 인해 미세먼지·초미세먼지로 숨이 막힐 지경이다. 그렇다면 충북은 '미세먼지 안전지역'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니다. 오히려 다른 지역보다 심각한 수준이다. 올해 들어 도내에서 초미세먼지(PM2.5)가 '나쁨' 수치를 보인 것은 '매우 나쁨' 1일을 포함해 모두 25일. 미세먼지(PM10) '나쁨' 일수는 20일이었다. 지난해 초미세먼지 '나쁨' 24일('매우 나쁨' 1일 포함), 미세먼지 '나쁨' 20일과 비슷한 일수다. 지난 3월 27일 미세먼지 환경기준이 '좋음 0~15㎍/㎥'·'보통 16~35㎍/㎥'·'나쁨 36~75㎍/㎥'·'매우 나쁨 76~㎍/㎥' 등으로 강화되면서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미세먼지가 가장 극심한 겨울철이 시작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올해가 더욱 심하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충북이 수도권보다 미세먼지로 인한 위험도가 높은
[충북일보]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이 있다. 지금은 불가능한 시대에 살고 있지만, 50~60대인 사람들은 모두 다 공감하는 말이다. 절실 할수록 더 노력하고, 어려 울수록 뼈를 깎는 인고(忍苦)의 세월을 견딘 CEO들이 적지 않다. 김순구 한국감정평가사협회 회장. 그의 이력과 언변을 보면 어려움을 딛고 성공한 사람들의 표상(表象)이라는 사실을 금세 확인할 수 있다. 김 회장을 만나 고향을 향한 큰 그림이 무엇인지를 들어봤다. ◇한국감정평가사협회 주요 업무는 "국민 재산권 보호와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1989년 설립됐고, 2016년 법정단체가 됐다. 주요 업무로는 감정평가제도 개선, 감정평가사 지도·관리 및 연수, 국토교통부장관 위탁업무 등이 있다. 그리고 올바른 부동산 문화 정착을 위해 부동산 감동교실을 운영하고, 국민에 봉사하고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고자 사회공헌사업도 열심히 수행하고 있다." ◇충북 출신으로 알고 있다. 그동안 어떤 삶을 살아왔나 "저는 '마부작침(磨斧作針)'을 늘 생각하면서 자랐다. 아주 어릴 적 아버님께서 작고하셔서 홀어머님이 저를 어렵게 키웠다. 초등학교 시절 함께 자란 친구들이 아버지 자전거 뒷자리에 앉아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