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교통사고 원흉 PM(개인형 이동수단)…청주시 대책 마련 '골머리'

*위기의 PM, 안정적 정착가능할까上
청주시에 배치된 PM 6천300여 대… 20·30대서 수요 높아
PM 관련 교통사고 발생 건수 2년 새 5배가량 증가한 90건
"관련 법이 부재해 지자체서도 뚜렷한 대응책 내기 어려워"

  • 웹출고시간2022.11.09 20:36:03
  • 최종수정2022.11.09 20:36:45

편집자주

전동킥보드·전기자전거 등 PM(개인형 이동수단) 산업이 최근 3년 새 부쩍 성장했다. 하지만 관련 법규와 이용자들의 질서 의식 부재로 인한 불편·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PM 산업 육성과 지자체 질서 확립을 동시에 챙겨야 하는 상황 속에서, 청주시 PM 사업의 현황을 알아보고 건강한 PM 문화 정착을 위한 행정, 기업, 시민의 노력이 무엇인지 짚어본다.

전기 자전거와 전동 킥보드 등 공유 PM(개인형 이동수단)이 증가하면서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9일 청주의 한 인도에 전기자전거가 세워져 있다.

ⓒ 김용수기자
[충북일보]"요새는 이런 일이 잦네요."

좁은 도보 한복판에 방치된 전기자전거를 비켜 가다가 앞서오던 보행자와 마주쳤다. 뒤로 물러서며 고개를 숙이자 그도 익숙한 듯 손을 내저었다.

이대로는 위험하겠다는 판단이 섰다. 자전거를 도로변으로 옮겨 두고자 손잡이를 잡아끌었다. 차체 내부에서 잠금장치가 작동했는지 바퀴가 단단하게 멈춰 섰다.

결국에는 들고 나르는 수밖에 없었다.

최근 2년간 대학가·번화가 등에는 이렇게 누군가 두고 간 PM이 심심찮게 목격된다.

이용법이 간단한 데다 택시보다 저렴하고 대여가 간편해 젊은 층에서 인기몰이하는 덕분이다.

청주대학교 신입생 A(20)씨는 "아무래도 전동킥보드를 이용하는 게 택시나 버스를 타는 것보다 값싸고 시간이 절약된다"며 "어떤 때는 대여를 하고 싶어도 길가에 배치된 킥보드가 없어 이용하지 못한다. 그만큼 또래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라고 말했다.
청주시에는 현재 7개의 업체를 통해 전동킥보드 5천700여 대·전기자전거 600여 대가 운영되고 있다.

'공유 PM'만 총 6천300여 대 가까이 시 곳곳에 배치된 셈이다.

가파른 PM의 증가세만큼 시민 안전 위협과 통행 불편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시민들이 건물 출입문 바로 앞에까지 기대어 세워진 PM 주·정차로 당황을 겪거나 인도와 차도를 넘나들며 주행하는 PM 운전자들로 인해 시시때때로 위협을 받는 상황이다.

무심천에 산책을 나온 사직동 주민 B(67)씨는 "온갖 곳에서 킥보드·자전거가 출몰하니 골치 아프다"며 "나야 잽싸게 비켜나면 그만이지만 시각장애인이나 휠체어 이용자들은 어떡하나"라고 성토했다.

PM 관련 교통사고 발생 건수 역시 오름세다.

충북도경찰청에 따르면 2018~2020년 지역 내 평균 19건에 머무르던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2022년에는 10월 기준 5배가량 급증한 90건으로 확인됐다.
또 지난 2021년 5월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시행된 이후 음주운전·무면허운전·안전모미착용 등으로 경찰의 단속망에 걸린 횟수가 현재까지 무려 6천900여 건에 이른다.

PM의 차량 대수와 이용자 숫자가 늘면서 시민 불만도 덩달아 증대되는 실태지만 시에서는 아직 뚜렷한 방책이 없다.

기껏해야 민원이 접수되면 업체에 수거를 요청하는 것뿐이다.

PM의 구축·관리·안전 등을 지자체에 위임하는 법률안이 2년째 국회에서 계류 중이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업체와 지속적으로 대화하며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중"이라면서도 "행정력을 동원하기에는 관련 법이 미비해 당장 이렇다 할 대응책을 내세우기는 어려운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 김민기자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 "재정 자율화 최우선 과제"

[충북일보] 윤현우 충북도체육회장은 "도체육회의 자립을 위해서는 재정자율화가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윤 회장은 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3년 간 민선 초대 도체육회장을 지내며 느낀 가장 시급한 일로 '재정자율화'를 꼽았다. "지난 2019년 민선 체육회장시대가 열렸음에도 그동안에는 각 사업마다 충북지사나 충북도에 예산 배정을 사정해야하는 상황이 이어져왔다"는 것이 윤 회장은 설명이다. 윤 회장이 '재정자율화'를 주창하는 이유는 충북지역 각 경기선수단의 경기력 하락을 우려해서다. 도체육회가 자체적으로 중장기 사업을 계획하고 예산을 집행할 수 없다보니 단순 행사성 예산만 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선수단을 새로 창단한다거나 유망선수 육성을 위한 인프라 마련 등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달 울산에서 열린 103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충북은 종합순위 6위를 목표로 했지만 대구에게 자리를 내주며 7위에 그쳤다. 이같은 배경에는 체육회의 예산차이와 선수풀의 부족 등이 주요했다는 것이 윤 회장의 시각이다. 현재 충북도체육회에 한 해에 지원되는 예산은 110억 원으로, 올해 초 기준 전국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