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북도 외자유치 투자액 대비 7.6% 불과"

새정치 진선미 "외국인 직접투자도 0.8% 그쳐"
"제도 개선 통해 유치 힘써야"

  • 웹출고시간2015.09.22 10:12:40
  • 최종수정2015.09.22 20:35:46
[충북일보] 충북의 외자유치와 외국인 직접투자 규모가 미약하고 매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진선미(비례대표) 의원이 충북도에서 받은 '충북 투자유치 및 실행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2012~2015년 7월) 충북도가 국내·외 기업으로부터 투자유치를 이끌어 낸 것은 346개사로부터 17조3천211억원 규모였다.

이 중 국내기업 투자가 92.4%인 16조58억원(324개)이고, 외자유치는 1조3천153억원(22개)으로 7.6%에 불과했다.

국내기업 투자유치 금액 중에서 투자가 완료됐거나 진행중인 것은 74.5%인 11조9천174억원 규모이고, 투자예정이 4조884억원(25.5%)이었다.

반면 외자유치 중에서 투자가 완료됐거나 진행중인 규모는 33.8%인 4천443억원이고, 투자예정이 8천710억원(66.2%)으로 외자의 불확실성이 더 높은 상태였다.

연도별로도 국내외 투자유치 총규모는 줄어들지 않았지만, 외자유치가 줄어들고 있었다.

충북의 외자유치는 2012년 3천57억원(4개)에서 2013년에 6천685억원(4개)으로 2배 증가했다가 2014년에 1천820억원(7개)으로 대폭 줄어들었고, 올 7월까지 1천591억원(5개) 정도였다.

충북의 외국인 직접투자 규모도 미약할 뿐만 아니라 매년 줄어들고 있었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제출한 최근 4년간 외국인 직접투자 규모는 도착액 기준으로 약 386억달러 였고, 충북은 전국의 0.8%인 약 3억달러에 불과했다.

연도별로도 매년 줄어들어 2012년에 비해 작년에 2.5배나 감소했고, 올 상반기까지 1천300만 달러에 불과했다.

충북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광주(0.1%), 세종(0.3%), 강원(0.4%), 대전(0.6%) 다음으로 낮은 규모다.

반면, 서울·경기·인천 수도권이 외국인 직접투자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었다.

한편, 충북은 투자유치 양해각서(MOU)를 채결한 이후에 투자 철회를 한 것은 모두 국내기업 37개사 4천334억원이었다.

진선미 의원은 "MB정부 때부터 시작된 국토균형발전 정책 퇴조와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기조가 지방의 투자유치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큰 틀에서 중앙정부의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정책방향 전환이 필요하지만, 울산·경북·충남 등 비수도권 지자체에서 외국인 투자에 나름 성과를 보이고 있다"며 "이런 만큼, 충북도 외자유치에 걸림돌이 되는 요인을 제거하는 등 제도개선을 통해 외자유치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김동민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