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북 가뭄으로 생활용수 비상급수 인원 637명

강원도 8만5천542명으로 최다, 전국 12만명
이석현 "상수도 보급 사업에 국비지원 필요"

  • 웹출고시간2015.10.07 12:02:30
  • 최종수정2015.10.07 12:02:28
[충북일보] 충북에서 가뭄으로 생활용수를 비상 급수받고 있는 주민이 637명으로 집계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이석현(안양동안갑)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비상급수 자료에 따르면 가뭄 등 취수원의 물 부족으로 인해 불편을 겪은 인구는 지난 2012년 1만2천920명, 2013년 4만5천695명, 2014년 2만2천78명에서 올해 8월말까지 12만2천119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강원이 8만5천54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북 2만4천938명, 인천 8천727명, 경기 1천595명, 충북 637명, 충남 425명, 전북 255명 등의 순이었다.

충북은 지난 2012년 887명을 기록한데 이어 2013년에는 단 1명도 없었다가 2014년 371명에서 올해 8월 말 현재 637명까지 늘었다.

이처럼 물 부족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은 대체로 수도시설이 열악한 것으로 파악됐다.

비상급수 지역의 물 공급 형태를 분석한 결과, 급수인구 100명 미만의 소규모 급수시설이 217곳(52.3%)이었고, 급수인구 2천500명 미만의 마을상수도 138곳(33.3%), 지방상수도 50곳(12.0%) 등이다.

이석현 의원은 "물은 생명과 직결되는 만큼, 깨끗하고 안전한 물 공급은 국가의 책무"라고 전제한 뒤 "그러나 아직도 상수도 보급이 되지 않는 지역의 인구가 200만 명이 넘는다"며 "상수도 업무가 지방사무라는 이유로 국비지원이 되지 않는데, 열악한 지방재정을 고려할 때 국비지원을 통해 상수도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 / 김동민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