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0℃
  • 맑음강릉 1.3℃
  • 박무서울 -2.3℃
  • 맑음충주 -7.2℃
  • 맑음서산 -5.0℃
  • 연무청주 -1.7℃
  • 박무대전 -2.2℃
  • 맑음추풍령 -2.2℃
  • 연무대구 -0.3℃
  • 연무울산 4.7℃
  • 박무광주 0.5℃
  • 연무부산 5.3℃
  • 구름조금고창 -3.3℃
  • 박무홍성(예) -5.9℃
  • 맑음제주 5.5℃
  • 맑음고산 8.2℃
  • 맑음강화 -4.9℃
  • 맑음제천 -9.0℃
  • 맑음보은 -4.8℃
  • 맑음천안 -4.7℃
  • 맑음보령 -2.9℃
  • 맑음부여 -4.6℃
  • 흐림금산 -2.3℃
  • 맑음강진군 -2.2℃
  • 구름많음경주시 0.4℃
  • 맑음거제 1.5℃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청주상의 2023년 상반기 IP나래 프로그램 참여기업 모집

오는 23일까지 접수

  • 웹출고시간2023.02.05 15:02:08
  • 최종수정2023.02.05 15:02:08
[충북일보] 청주상공회의소 충북지식재산센터는 지난 3일부터 오는 23일까지 3주간 도내 창업기업의 지식재산 역량강화 사업으로 추진하는 '2023년 상반기 IP(지식재산)나래 프로그램'신청기업을 모집한다.

2023년 IP나래 프로그램 전체 지원 규모는 32개사이며, 상반기 모집 기업은 17개사 지원 예정이다. 기업당 기업부담금을 포함한 약 2천500만 원 상당의 IP컨설팅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신청기업 중 충북의 지역특화 산업인 '지능형IT부품·바이오헬스·수송기계소재부품'에 해당되는 기업은 최종심사시 가점이 부여될 예정이다.

충북도와 특허청이 주관하는 'IP(지식재산)나래 프로그램'은 도내 창업 7년 미만 중소기업이 대상이다.

창업기업의 R&D단계부터 제품화단계에 이르기까지 지식재산 관련 애로사항을 충북지식재산센터 전문컨설턴트가 진단하고 협력기관의 변리사 등과 협력을 통해 해결방안을 제공한다.

선정된 기업들은 'IP(지식재산)기술 컨설팅'을 통해 △특허동향조사 △강한특허권창출 △유망기술도출 △특허분쟁대응 등의 지원받을 수 있다. 더불어 'IP(지식재산)경영 컨설팅'을 통해 △기업IP관리 △IP활용전략수립 △IP금융 △타기관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제공 △사업계획서 작성에 대한 컨설팅 등도 지원받을 수 있다.

추가로, IP나래 프로그램을 통해 창출된 특허는 출원부터 등록까지 대리인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다양한 컨설팅을 받으면서 특허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장점이 있다.

충북지식재산센터 관계자는 "도내 창업기업의 보유기술을 지식재산으로 보호하고 경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컨설팅 해, 스스로 지속가능한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IP나래 지원사업의 세부내용과 신청은 충북지식재산센터 홈페이지(www2.ripc.org/regional/cheongju)를 통해 확일할 수 있으며, 전화(043-229-2736) 문의도 가능하다.

/ 성지연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더 풍요롭고 행복한 충북 농업·농촌으로"

[충북일보] "사랑하는 고향으로 돌아온 만큼 충북 농업·농촌이 더욱 풍요롭고 행복해질 수 있도록 한 발 더 뛴다는 각오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고향으로 돌아와 더 큰 역할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는 이용선(54) 충북농협 총괄본부장은 앞으로의 각오에 대해 분명하게 이야기했다. 이 신임 본부장은 "많은 농업인께서 영농비용 상승과 소비부진, 자연재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다. 어려운 상황에서 농업인이 정성껏 생산한 농축산물이 더욱 좋은 가격에 판매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충북농협의 운영 방향을 밝혔다. 이 본부장이 꼽은 올해의 농업 관련 숙원 사항은 △영농자재 보조 확대 △농업부문 조세감면 일몰기한 연장 등을 통한 농업인 실익 지원이었다. 지역 농·축협의 어려움 개선과 건전결산을 위한 현장지원 강화와 신용사업·경제사업 동반 성장을 위한 지원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는 올해의 역점 사업으로 '농업소득 3천만 원'의 초석을 다지는 해라고 이야기했다. 이 본부장은 "지역 농축협과 함께 농업인 실익 증진을 위한 기반 확대가 최우선의 목표"라며 '로컬푸드 확대' '농업경영비 절감' '충북 축산업 발전'을 방안으로 삼았다. 그는 "농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