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홍성란

수필가

늘 그렇듯, 설거지를 마치면 식탁에 앉는다. 그리고 습관처럼 무심히 살림살이들을 둘러본다. 모두 오래 된 것들이지만 세월만큼 정이든 물건들이다. 이 집으로 이사 온 지는 10년. 그간 변화가 있었다. 아이 둘이 결혼을 해서 나갔다. 모두 이 부엌에서 만들어진 밥을 먹고 학교와 직장을 다녔다. 이제 부엌엔 그릇과 그릇소리, 물소리, 가스 켜는 소리, 음식 끓는 소리가 깔깔대던 아이들 대신 혼성 합창처럼 들어서 있다.

요즘이야 부엌을 주방이라 부르지만 아직도 나는 주방이란 명칭보다 부엌이라 말하기 좋아하고 즐겨 사용한다. 부엌, 이 따스하고 아늑한 공간. 내게 부엌은 나의 제단. 꽃무늬 영대를 두른 나는 이곳을 지휘하는 여사제이기도 하다. 그리 화려하지도 가난하지도 않은 나의 제단엔 아궁이 불 대신 가스레인지가 있고 누르면 쏟아지는 수도라는 문명의 샘이 있다. 그리고 싱크대에는 매일 쓰게 되는 살림 도구와 반질반질한 그릇들이 단정한 자세로 포개 있다. 이 모두 나의 제단에 없어서는 안 될 사랑스런 제물들이다.

저녁을 짓는다. 오늘의 제물은 돼지고기와 약간의 푸성귀. 시원스레 트인 북쪽 창, 저녁놀아래 제물을 손질한다. 흐르는 물에 푸성귀와 고기를 깨끗하게 씻고 두툼한 냄비에 고기를 앉힌다. 고기가 익는 동안 파도 송송 나물도 조물조물 무쳐야지. 알곡은 압력솥에서 익혀지고 파란 불이 냄비바닥을 뜨겁게 달군다. 이제 물과 불과 도마와 칼의 4부 혼성합창이 울려 퍼질 것이다.

이윽고 쉭쉭대며 김을 내뿜는 압력솥의 볼레로가 경쾌한 소리로 합창의 서막을 연다. 이어 냄비와 프라이팬과 주전자의 푸가가 혼성 코러스로 분위기를 돋우면 성가는 절정에 이른다. 소리는 고요하지도 요란스럽지도 않다. 이제 접시와 사발들의 화려한 마주르카만 남았다. 오오 성스러운 나의 제단에 설설 끓는 국과 찌개들이 파르티타의 맛처럼 깊어간다. 삶의 싱싱한 비린내와 비루함의 비밀스런 저녁밥. 누군들 일용할 양식 앞에서 흠향하지 않을 수 있을까. 감사의 십자 성호가 그어지면 말없는 혀는 아삭거리는 푸성귀들의 음표를 젓가락으로 집어 맛을 음미하고 숟가락 위에는 밥 한술의 우주가 올려 진다.

부엌, 이곳은 아득할 것도 없는 나의 지평선, 나만의 은밀한 공간. 맵고 쓰리고 짜고 시큼한 나의 삶의 냄새와 자취들이 고스란히 살아 숨 쉬는 곳이다. 한 밤중, 속이 헛헛해지고 마음이 제 모습을 놓친 듯 하면 무의식 속에서 부엌으로 간다. 세 아이가 대학 시험 보기 전 날, 삶이 생각대로 되지 않아 끙끙대는 날 밤, 얼마나 불안하고 초조했던가. 그 마음을 어쩌지 못해 한 밤 중 괜스레 그릇도 만져보고 조심스레 찻잔도 들어보았지. 그래도 눅지 않으면 냉장고를 여닫았고. 그래도 가라않지 않으면 부엌의 창을 열고 내리는 눈발을 하염없이 바라보았다. 그런데 이상하지, 눈발은 우주의 유혹과 허공에게서 어지러웠던 나를 세워 방으로 안내한다. 내가 나온 후 부엌은 아무 일 없다는 듯이 그들의 내적 질서를 은은히 잡아가며 고요 속으로 들어간다. 혼돈의 회오리바람에도 묵묵히 스스로를 정리하며 차분해지는 이 공간에서 날마다 정성어린 제물은 올려지고 감사의 기도를 드린다.

한 해의 마지막을 향해 가고 있는 늦은 저녁. 지난날들을 돌아본다. 어떻게 우리가 이곳에서 머물렀으며 어떻게 떠날 것인가를. 세상 어느 권력과 명예보다도 위대한 궁전 앞에서의 엄숙한 기도는 날마다 이어져 왔다. 어쩌면 이 궁전의 기도가 있었기에 우리는 여기까지 왔는지 모른다. 먹는다는 건 생명을 살리는 길이요 살아있다는 증거. 이곳에서 식구들과 함께 지지고 볶고 때론 삶기도 하고 찌기도 하면서 살아왔다. 생각할수록 삶과 죽음, 우주의 신비가 함께 하는 '부엌의 칸타타'는 그래서 거룩하고 성스럽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