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홍성란

수필가

장롱 깊숙한 곳에서 향수(香水)병이 나왔다. 기억을 해보니 4년 전 여행길에서였다. 그날 향수가게에서 지인이 건네는 장미향에 취해 충동구매 했던 것. 가만히 향을 맡는다. 아직도 향이 살아있다. 은은하면서 고혹적이다. 장미향이 코를 통해 몸속으로 이윽고 폐부까지 들어차 오른다. 이내 향에 빠져드는 기분이다.

향수(香水)라는 단어는 라틴어로 통해서(through)를 의미하는 'per' 와 연기(smoke)에 해당하는 'fumus'에서 유래된 것이다. 향수의 기원은 8000년도 더 전에 종교적인 의식을 치르는 동안 향을 피웠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니까 향수는 오래 전부터 인간의 역사와 함께 있어왔고 현재는 미국에서 연간 10억불에 이르는 거대한 사업의 주인공이 될 만큼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 향수는 휘발성이면서 흡인력이 강하다. 강한 만큼 치명적일 수도 있다.

향(香)에 미쳐 향 하나로 세상을 치명적인 상태로 만든 소설 속 사나이가 떠오른다. 작가 파트리크 쥔슨킨트의 소설 '향수'의 주인공 장바티스티 그루누이이다. 천재적 후각을 가지고 태어난 사생아 그루누이는 그 자신 냄새가 없었다. 그런 그가 사람냄새를 담아 향수를 만들다니 얼마나 아이러니한 얘기인가. 살 냄새가 없는 무취인이 어느 날 맡게 된 매혹적인 여인의 향을 소유하고픈 욕망에 향수제조사에 들어가 최고의 향수를 만들지만 그에 만족치 못한다. 그는 다시 연구를 하면서 25명의 여인을 살해 종내는 그가 소유하고 팠던 여인의 향기를 닮은 향수를 만든다.

그가 만들었던 향수의 재료는 놀랍게도 인간의 땀 냄새, 머리의 기름 냄새, 어떤 기관에서의 비릿한 냄새 옷에 남아있던 냄새 등 이런 것들을 자신만의 비밀 방식에 의해 향수를 만든 것이다. 그러나 그의 최후는 어떻게 되었던가. 이 책의 마지막 부분은 독자로 하여금 끔찍하다 못해 무서운 향수의 치명성을 드러낸다. 무취의 인간이 진정한 사람냄새를 알 수 있었을까. 외톨이에 타인과의 소통을 시도하지 않은 그는 최고의 향수제조사 이기 전에 살인자였다. 그는 생명을 향수라는 물질과 동일시 한 것이다. 오직 자신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한 살인 작업에 집착했을 뿐이다. 욕망이라는 향수를 얻었지만 욕망의 향수에 의해 결국 자취도 없이 사라진다.

"삶에는 나병처럼 고독 속에서 서서히 영혼을 잠식하는 상처가 있다. 하지만 그 고통은 누구와도 나눌 수 없다" 작가 사데크 헤다야트(Ṣādeq Hedāyat)의 인간실존 부조리에 대한 한 구절이다. 눈먼 부엉이라는 책에서 헤다야트가 주로 다룬 테마는, 카프카나 베케트와 마찬가지로, 불가피하고 불가해한 인간 존재의 좌절과 몰락이다. 여기에 인간의 욕망은 중요한 변인의 요인임에 틀림없다. 어찌 보면 보이지 않고 잡을 수 없는 욕망이라는 향기가 물질에만 있는 게 아닐 것이다. 제사에만 엄숙하게 사용되었던 향이 문명사회에 이른 지금은 도처에 욕망의 한 부분으로 변질되어 있다는 점이다. 물질적 욕망보다 더 위험한 게 정신적 몰락 아니겠는가. 어떤 것이든 그럴 것이다. 가벼운 즐김이 집착으로 이어진다면 욕망은 치명적인 향수가 될 것이니 말이다.

향수(香水)병을 물끄러미 바라본다. 향기는 잠시 머물다 사라질 것이다. 향기가 사라지면 이 방안에서 맡게 되는 냄새는 사람냄새이다. 사람냄새는 똑 같을 수도, 만들 수도 없다. 이에 비해 향수는 얼마든지 똑같은 순도의 향을 만들어 낸다. 그렇다면 사람에게는 냄새만 있고 백합 같은 향이 없다는 말인가. 분명히 사람에게도 향기가 있다. 마음의 덕음 질을 통해 피어나는 따듯하고 정겨운 사람의 향기다. 사람냄새가 사람에게는 최고의 향수라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