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11.10 13:52:14
  • 최종수정2016.11.10 13:52:14

변광섭

가을이 깊어갑니다. 사람에겐 저마다 저울의 눈금으로 잴 수 없는 존재의 무게가 있습니다. 찬바람 불고 낙엽 흩날리는 지금, 모두가 각자의 시선으로 마음의 풍경을 만들어 갑니다. 가을볕을 따라 자박자박 길을 걷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문화공간을 찾아 허기진 마음을 달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누구는 치열한 삶 속에서 새로움의 가치를 만들어 갈 것입니다. 저는 불 꺼진 옛 청주연초제조창에 문화의 군불 지피는 일을 다시 시작했습니다. 젓가락페스티벌이라는 이름으로 말이죠.

오늘은 한중일 3국이 함께하는 젓가락의 날. 공연, 체험, 전시, 학술, 그리고 경연대회까지 젓가락으로 맺어지는 동아시아 평화의 마당을 펼치는 날입니다. 이 중 담배공장에서 열리는 젓가락특별전 다섯 고개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젓가락이라는 작은 도구로 한중일이 하나 되고 새로운 미래를 여는 곳이니 만추의 계절에 나들이 코스로 강력 추천합니다.

이야기 한 고개. 수저를 들다. 한중일 3국이 2000년을 함께 사용해 온 것이 무엇일까요. 오직 하나, 젓가락입니다. 젓가락은 엄마 젖을 떼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아니 죽은 후에도 함께 해 온 도구입니다. 생명문화를 상징할 뿐만 아니라 신체의 일부나 다름없습니다. 손가락, 발가락, 숟가락, 젓가락…. 준비되셨다면 수저를 들어 보세요. 문화를 집고 세상을 담아 보세요.

이야기 두 고개. 젓가락, 삶을 담다. 관혼상제(冠婚喪祭), 생로병사(生老病死). 인간의 삶을 한 마디로 요약한 단어죠. 젓가락이라는 작은 도구 속에도 생로병사가 있습니다. 한중일 3국이 하나의 문화권을 이루며 수천 년을 함께 해 온 것도 젓가락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그렇지만 젓가락이라고 다 똑같지가 않습니다. 국가별로 다르고, 시대별로 다릅니다. 이를 통해 저마다의 독특한 삶과 문화를 만들어 왔습니다. 탄생, 결혼, 그리고 죽음 등의 이야기와 젓가락의 문화유전자를 다양한 유물과 자료를 통해 만나보세요. 스토리텔링으로 다시 태어난 2016청주젓가락도 있습니다.

이야기 세 고개. 젓가락, 멋을 담다. 젓가락이라는 작은 도구가 있기 때문에 생명을 찬미하고, 문화예술을 즐기며, 아름답고 윤택한 삶을 살 수 있었던 것입니다. 젓가락은 디자인의 엣센스이며 모든 공예의 시작입니다. 우리 고유의 삶과 멋을 담기 위해 진한 땀방울 흘리며 예술의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한중일 젓가락 삼국지라고 해도 좋습니다. 최고 장인들의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작가의 방, 현대 아티스트의 창작품 등을 통해 전통과 현대를 잇고, 문화와 예술을 잇는 특별한 경험을 즐기세요.

이야기 네 고개. 젓가락, 흥을 담다. 젓가락질을 잘 하면 밥도 잘 먹고 건강해지며 두뇌활동이 활발해 진다는 것은 세계가 인정한 사실입니다. 보기도 좋고 성품도 바르며 멋스럽기까지 합니다. 교육, 공연, 스포츠, IT, 자동차와 조선 산업 등 손재주와 관련해서는 세계 으뜸인 것도 젓가락문화 유전자 때문입니다. 한중일 3국의 음식과 상차림, 술 문화, 다도문화, 복식문화, 장단문화를 함께 즐기세요. 한복·치파오·유카타, 청주 신선주·칭다오 맥주·니가타 사케…. 한중일 문화 삼국지가 펼쳐집니다. 마음껏 즐기시고 마음껏 희망하세요.

이야기 다섯 고개. 수저를 놓다. 이제 수저를 내려놓아야 할 시간입니다. 그렇다고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니죠. 새로운 삶, 새로운 꿈, 새로운 미래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젓가락은 가락을 맞추는 생명의 리듬입니다. 젓가락은 짝을 이루는 조화의 문화입니다. 젓가락은 천원지방 디자인 원형입니다. 젓가락은 음식과 인간의 인터페이스입니다. 젓가락은 하드웨어, 젓가락질은 소프트웨어입니다. 젓가락처럼, 올곧게 행복하게 사세요. 만수무강萬壽無疆 하세요. 젓가락이 주는 동아시아 문화성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