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2.03.08 18:13:00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변광섭

청주공예비엔날레 부장

충북 괴산군 괴산읍에 자리하고 있는 김득신의 옛 집인 취묵당에는 독수기讀數記가 걸려있다. 그가 평생 1만 번 이상 읽은 글 36편의 목록이 가득 적혀 있는데 사기의 <백이전>은 무려 1억1만3천 번이나 읽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의 서재를 '억만재億萬齋'라고 지은 것도 글을 읽을 때 1만 번이 넘지 않으면 멈추지 않는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 아닐까. 이보다 앞서 조선시대에 독서로 불우한 삶을 이겨낸 인물로 실학자 이덕무가 있었다. 그는 '간서치看書痴(책만 보는 바보)'라 할 정도로 책을 끔찍이 좋아했다. 서얼 출신이라는 신분적 제약을 독서로 극복했으며 그 결과 정조 임금의 신임을 얻어 규장각에 들어갈 수 있었다. 화양동에 있는 암서재는 우암 송시열이 낙향, 학문에 몰두하면서 100여권의 문집을 남겼다.

조선시대 서당에서는 책 한 권을 뗄 때마다 어김없이 했던 예식이 있었는데 바로 세책례洗冊禮다. 스승과 동문수학하던 벗들에게 음식을 차린 뒤 감사를 표하던 조촐한 잔치였는데 오랫동안 학문에 정진하라는 뜻으로 국수를, 학문을 가득 채우라는 뜻으로 송편을 준비했다. 스승은 게으른 학생에겐 부지런할 근勤, 성미 급한 학생에겐 참을 인忍이라는 글씨를 써서 봉투에 담아 선물했다. 이름하여 단자수신單字修身이다. 학업보다 인성과 배움의 자세를 먼저 생각했던 선조의 교육철학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환경이 사람을 만든다는 것은 서양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영국의 처칠은 아버지가 애독하던 <로마제국 쇠망사>를 군 복무 중에도 하루 5시간씩 탐독할 정도로 평생 이 책을 삶의 교훈으로 삼았다. 가난한 아일랜드 이민자에서 100년 만에 미국의 존경받는 대통령을 탄생시킨 케네디家J.F.케네디 형제들 모두 하버드대학에 다닐 수 있었던 것도 어머니의 현명한 자녀교육 때문이었다. 식사시간을 활용해 토론을 하고 신문의 중요한 내용을 읽도록 함으로써 통찰력을 키웠다.

현대에 와서는 책을 통한 국가브랜드 사업과 연계시켜 성공한 사례를 종종 볼 수 있다. 독일의 프랑크푸르트도서전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역사가 깊은 책 견본시장이며 축제의 장이다. 이탈리아 볼로냐는 크고 작은 도서관이 200여 개나 달하고 국제 아동도서전 등을 통해 책의 도시라는 명성을 얻고 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는 매년 4월 '책과 장미의 축제'를 개최하고, 프랑스 퐁피드 전 대통령은 도서관과 미술관 등의 공간이 집적화된 퐁피드센터를 만들어 세계적인 명소가 되기도 했다.

올해가 국민독서의 해라고 한다. 우리나라 국민의 독서율은 66.8%로 국민 1인당 일주일에 3시간, 한달에 8천원을 책 사는데 투자하고 있다.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라고 한다. 이 때문에 정부는 책 읽는 사회 풍토를 조성하고 국민의 독서력을 향상시키겠다며 독서치료 프로그램, 독서왕선발대회, 독서토론대회, 독서마라톤대회, 2012프로젝트(하루 20분, 1년에 12권 읽기) 등을 올 한 해 추진하기로 했다. 그런데 정작 자치단체나 교육기관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을 앞두고 선심성 공약이 남발하고 포퓰리즘이 기승하면서 대한민국의 본질과 우리의 미래에 대한 고민이 부족한 것 같다. 되레 이처럼 어수선한 분위기를 이용해 우리의 영혼을 혼미하게 만들고 있으니 이 나라의 미래가 있기는 한지 아리송하고 몽매할 뿐이다.

책은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자신의 꿈을 디자인하고, 자신의 열정을 담으며,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고 세상과 소통하는 프라임이다. 더 나아가 번잡하고 막막한 회색도시에 아름다운 벗이자 동반자가 되기도 한다. 이참에 눈으로, 귀로, 몸으로, 마음으로 책을 읽고 다양한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하이브리드형 독서문화를 만들면 어떨까. 책과 미술과 공예와 예술이 만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인문학과 역사와 생태가 조화로운 콘텐츠를 개발하며, 책과 함께 떠나는 즐거운 소풍길을 만들고, 건물마다 북카페·북갤러리·북레스토랑 등을 만들면 좋겠다. 책과 문화가 물결치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어보자는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