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09.03 13:47:13
  • 최종수정2015.09.03 13:47:02

변광섭

동아시아문화도시 사무국장

물은 선하고 맑고 향기롭다. 달콤한 행복이자 고단한 삶 속에서 다시 일어나게 하는 힘이며 영원한 청춘이고 사랑이다. 땅 속 깊은 오지에서 젖 먹던 힘을 다해 용솟음칠 때는 하늘보다 더 크다. 우주다, 태양이다. 그리하여 물은 계곡을 따라 폭포수가 되고 처연한 이별이자 지저귀는 산새소리처럼 숲속의 악동이다.

누가 그랬던가. 나이테는 나무가 만들어 낸 역사이고, 나무껍질은 나무가 겪어내는 고난의 무늬라고. 어린 소나무는 껍질이 가볍지만 오래된 소나무는 두텁고 강하며 질기다. "남산 위의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이라는 애국가처럼 한국인의 고단하지만 강인한 생명력을 간직하고 있다. 가을볕이 뜨겁고, 온 생명이 알곡지다. 여름을 견디고, 아픔을 견디고, 욕망과 아집을 견디고, 불면의 밤을 견뎌야 달콤한 열매를 준다. 그 때 비로소 우리는 눈을 뜰 것이다. 사랑이란 견디는 것이라고, 꽃처럼 바람처럼 햇살처럼 나비처럼 그렇게 견디며 사는 것이라고 가르쳐 줄 것이다.

고샅길을 걷다보면 모든 욕망이 덧없어진다. 신화와 전설이 켜켜이 쌓여있는 길, 돌담과 흙담 사이로 오가는 사람들의 구릿빛 풍경, 장독대에서 구순한 장내가 끼쳐오고 느티나무 정자에 앉아 노래하는 소녀들과 빨래하는 여인과 개짓는 낯선 풍경도 오달지고 마뜩하다. 만화방창 꽃이 만발하고 녹음 우거지고 열매 가득하며 다시 비우고 하얀 눈발 휘날리는 고샅길은 정처 없다. 풋풋하고 구순하다. 이 길을 걷다보면 어느 새 욕망의 옷을 벗고 맑은 햇살, 한 줌의 흙처럼 자유의 몸이 된다.

영동 양산팔경은 이처럼 물과 숲과 고샅길의 풍경이 처처에 담겨있다. 숲과 계곡과 천년의 신비와 곡진한 삶의 염원을 간직하고 있는 영국사, 물길을 품고 우뚝 서 있는 절벽에 붉게 빛나는 소나무와 정자와 조선의 시노래가 담겨있는 강선대, 낮은 산이지만 고샅길 마을의 수많은 이야기를 품으며 드넓은 평야를 굽어보는 비봉산, 봉황이 깃들던 곳이라 해서 이름 지어진 봉황대를 보라.

선비들이 시를 읊고 글을 쓰며 풍류를 즐겼던 곳으로 알려진 함벽정, 진한 솔향 가득하고 햇살과 바람도 잠시 쉬어가는 송호관광지와 조선시대 연안부사를 지낸 만취당 박응종이 낙향해 즐겼던 여의정, 대자연을 품으며 학문에 정진했던 자풍서당, 그 아름다움이 빼어나 선녀가 내려와 목욕을 했다는 용암은 또 어떠한가. 양산팔경을 한 바퀴 돌고나니 시간은 어느새 과거에 머물고 알 수 없는 한바탕 꿈속의 잔치는 나를 먹먹하게 한다.

그런데 이 중에서도 비봉산이 있는 가곡리가 나그네의 발목을 잡는다. 오래된 고택과 낮고 느린 골목길 풍경이 한유롭다. 낡고 병든 지붕과 아슬아슬한 담벼락을 보며 가뭇없이 사라진 옛 생각에 젖는다. 방앗간에서는 기름 짜는 고소한 풍경이 밀려오고 여러 개의 낡은 농협창고가 예사롭지 않다. 1910년 조양학당으로 시작해 100년의 역사를 품고 있는 양산초등학교를 들어가니 옛 것의 풍경과 오늘의 이야기와 풍금소리에 맞춰 노래하는 아이들의 모습이 선하다.

고종황제 어의였던 변석홍 선생이 일제 침략이 시작되자 이곳에 낙향해 의술을 가르치고 생명의 가치를 전파했던 제월당은 아름다운 정원과 한방의 풍경과 역사의 맥이 엄연하다. 말의 무덤으로 전해오는 석실분이 있고, 다방과 성당과 교회와 약수터를 지날 때마다 시심에 젖는다.

그리하여 이곳은 생명문화를 간직한 스토리텔링마을이다. 공간이 사라지면 역사도 사라지고 사랑도 사라진다. 이곳은 역사와 자연, 농경문화와 삶의 이야기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곳이다. 영광과 아픔과 상처와 생명의 염원이 깃든 곳이다. 이곳만의 문화를 잘 다듬고 가꾸어 준다면 세상의 보배가 될 것 같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