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7.08.20 15:17:10
  • 최종수정2017.08.20 15:17:10

이재준

칼럼니스트

청주는 단재(丹齋)를 잊을 수 없다. 단재 신채호 선생의 고향은 낭성 산동이며 그는 민족사학가이자 독립운동가로 한국역사의 영원한 불꽃이다. 산동은 우암 송시열선생도 탐을 냈다는 유학의 본향이 아닌가. 이곳은 한말에 이르러 독립운동의 대표적 산실로 부상한다.

필자는 젊은 시절 단재의 글을 읽으며 눈물을 쏟은 적이 있었다. 차디찬 이역 여순 감옥에서 뼈만 앙상히 남은 몸으로 운명을 맞이한 단재. 선생이 당한 고통과 참혹함을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었던가.

중국의 연호를 쓰고 살던 조선, 한국의 역사를 찾아 제대로 세운 이가 단재였다. 백두산을 여러 차례 오르고 고구려가 웅비하던 만주를 답사하며 민족의 저력과 기상을 찾았다. 그것이 바로 민족사학(民族史學)이다. 동양의 역사는 물론 제자백가의 유서(儒書)까지 섭렵한 박사 단재는 의연한 충청도 선비였다. 오만하게 비쳐졌던 의연함은 일제에 결코 굴복하지 않는다는 불굴의 정신이었던 것이다.

1936년 봄 정주에 있던 오산학교에서 선생의 모습을 본 소설가 춘원 이광수는 잡지 '조광'에 단재의 인상을 이렇게 적고 있다.

-대한매일신보 주필이나 되는 단재는 풍채가 초라한 샌님이나 이상한 눈빛을 갖고 있었다. 세수할 때 고개를 빳빳이 든 채로 물을 찍어다 바르는 버릇 때문에 마룻바닥, 저고리 소매와 바지가랑이가 온통 물투성이가 됐다. 누가 핀잔을 주려 하면 '그러면 어때요'라고 하였다. 남의 말을 듣고 소신을 고치는 인물은 아니었다. 그러면서도 웃고 얘기할 땐 다정스러웠다...-

단재는 당시 의열단의 요청을 받고 '조선혁명선언(朝鮮革命宣言)'을 발표한다.

-강도(强盜) 일본이 우리의 국호를 없이 하며, 우리의 정권을 빼앗으며, 우리의 생존적 필요조건을 다 박탈하여 온간 만행을 거침없이 자행하는 강도정치가 조선민족 생존의 적임을 선언함과 동시에 혁명으로 우리의 생존의 적인 강도 일본을 살벌(殺伐)하는 것이 조선민족의 정당한 수단이다-

산동에 어디 단재 뿐인가. 한말 낭성에서 일본에 저항한 소당(素堂) 김제환 선생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 된다. 일제에 항거하여 그들이 주는 음식을 먹지 않고 단식 절사한 소당은 면암 최익현과 더불어 한국 독립정신의 처절한 상징이다. 소당은 임종 전에 총독에게 일본의 불의를 힐책하는 항일유서를 송부하기도 했다. 이밖에 낭성의 독립운동가는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러나 이들의 후손들은 지금 어디에 살며 제대로 대우를 받는지는 알 수 없다. 40년 전 낡은 사진과 자료를 가지고 신문사를 찾아오던 단재와 소당, 그리고 많은 독립운동가의 후손들은 지금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8.15 광복 기념자리에서 독립운동가의 후손들이 합당한 예우를 받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이 독립 유공자와 유족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가진 격려 오찬 자리에서 여러 독립 운동가 이름을 거명하며 특별한 관심을 표명했다. 그러면서 늦기 전에 독립유공자와 유적을 더 많이 발굴하고 연구해 역사에 기록되게 하겠다고 밝혔다.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다. 대통령도 독립운동의 산실 낭성을 특별히 기억했으면 해서 적어 본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