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2.05.04 16:09:17
  • 최종수정2022.05.04 16:09:17

이재준

역사칼럼니스트

사월초파일 부처님 오신날 청주 무심천(無心川)을 생각하면 조선 최고의 명필이자 경학가인 추사 김정희 선생이 생각난다. 무심천은 선사시대부터 청주의 젖줄이었으며 통일 신라 5소경의 하나였던 서원소경의 치소(治所)였다.

추사는 '무심(無心)'을 가슴에 넣고 산 분이다. '중생이 욕심을 갖고 헛되이 집착하면 번뇌·생사·보리·열반 등 모든 것이 생기게 된다. 무심을 깨치기만 한다면 이 같은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유학자답지 않게 추사는 불자가되어 부처의 가르침을 게송하며 살았다. 해남의 친구 초의선사와 글을 주고받으며 불심을 닦았다.

난을 잘 그리지 않은 추사가 말년에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라는 특별한 작품을 남겼다. 이 그림을 처음에는 부작란(不作蘭)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기존 서법을 전혀 지키지 않고 화제를 쓴 것이어서 일부학자들 사이에는 진작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불이선'은 초의선사의 화두였다. '난과 선이 둘이 아니다'라는 뜻이다. 차(茶) 한잔으로도 선(禪)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고 설법해온 초의는 난을 통해서도 선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추사는 난(蘭)을 즐겨 그리지 않았다. 난을 그리는 것이 어렵고, 그림 속에 인품이 묻어나야 한다고 생각했다. 20년 연하인 대원군 이하응이 추사의 집을 출입할 때 난화(蘭話)를 통해 이 같은 심경을 드러냈다.

불이선란도의 화제를 보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써내려갔다. 서도의 정형을 깬 파격이다. 추사의 작품은 글씨의 품격이 곧고 골격이 준수한데 비해 치기가 엿보인다. 추사의 글씨라고 보기에는 장난 끼가 가득 담겨있다.

그림 하단 왼쪽에 추사는 '달준이를 위해 아무렇게나 그렸으니, 단지 한 번만 있을 수 있고, 두 번 다시 있을 수 없다 (示爲達俊放筆 只可有一 不可有二)'고 적었다. 그리고 선객노인(仙客老人)이라는 낙관을 찍었다.

이 난화의 난 잎은 바람의 반대방향으로 꺾이듯 반전을 이룬다. 10년여를 제주도와 북청에 두 번 유배를 당하고 고통스럽게 살아온 삶에 대한 저항의 표현이 아니었을까.

추사는 만년에 생활고로 어렵게 살았다고 한다. 두 번씩이나 귀양을 갔다 온 터로 사대부들의 발걸음이 끊기고 녹봉이 없어 곤궁했다. 이때 문전에 와서 추사에게 도움을 준 그룹이 바로 청나라를 자주 다녔던 역관(譯官)들이었다. 추사의 그림이나 글씨는 청나라 지식인들에게 인기가 있었으며 역관들은 추사의 유묵을 받아가 진귀한 물건들을 교환했다. 젊고 씩씩한 역관들을 친구처럼 생각한 것이 추사문집에도 나타난다.

'불이선란도'는 추사의 '무심'한 삶을 드러낸 파적의 산물이다. 작품을 받은 달준이라는 인물도 역관으로 보이는데 장난삼아 그려준 그림이 지금 국보적 대접을 받고 있는 것이다. 평소 난을 그리지 않던 추사의 난 그림은 '무심'한 추사의 선문답이자 체제에 대한 지식인의 저항으로 받아들여진다.

사월초파일을 앞두고 무심천에 연등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모두 욕심을 버리고 번민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는 것만 같다.

세계는 지금 핵전쟁의 공포가 엄습하고 있다. 푸틴의 전 근대적 야욕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일으키고 동서가 극한대립으로 치닫고 있다. 어떤 명분이든 인류의 멸망을 가져오는 핵전쟁만큼은 피해야 한다. 청주 무심천의 연등 광명이 전쟁에 광분하는 세력들의 가슴에 까지 닿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