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05.26 13:36:00
  • 최종수정2024.05.26 13:36:00
충청북도 제천시 제천향교는 역사가 오래된 곳이다.

1389년(공양왕 1)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됐다가 1590년(선조 23)에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임진왜란으로 퇴폐된 뒤 1907년 의병장 이강년(李康䄵)이 왜군과 교전 중 소진됐다.

놓아도 좋고 공부를 해도 좋지만 적어도 의미 없는 곳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살아간다. 필자와 가까운 사람도 필자가 없었다면 평생을 생각하지도 않았을 곳 중 하나가 향교와 서원이다.

향교와 서원은 관광지도 아니고 활용사업을 하고는 있지만 잊힌 옛 교육기관인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제천시에 와서 문경의 인물 이강년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된다. 제천과 인연이 있었던지 순국 후 유언에 따라 유해는 서울 방배동의 효령대군 묘소 옆에 임시로 묻어두었던 것을 비밀리에 제천으로 임시 권장(權葬)한 뒤 1910년 경북 상주의 화북면 입석리로 이장해 오늘에 이른다.

제천향교는 문화체육관광부 전국시범향교 선정이 되었던 곳이기도 하다. 시범향교란 전국 234개 향교 중 운영과 교육실적을 심사해 선정한 5개 향교에 예산을 지원해 타 향교의 본보기가 되게 운영하는 제도다.

소진됐던 제천향교는 1909년 대성전 중건을 시작으로 1922년에 명륜당, 1980년에 동재(東齋), 1981년에 서재(西齋) 등을 중건했다고 한다.

현존하는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명륜당, 각 정면 4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동재와 서재, 제기고(祭器庫), 내신문(內神門), 외신문(外神門) 등이다.
보통 지역마다 향교가 있는 곳의 주변을 교동이라고 부른다. 제천향교가 있는 곳도 교동이다. 교동에는 특이하게도 민화마을이 조성 돼있다.

교동에는 2018년 삼국시대 추정이 되는 분명 및 생활유적이 발굴됐다고 한다. 삼국시대 고분군(무덤군)은 현재까지 제천지역을 포함한 주변지역에서도 조사한 사례가 거의 없다고 한다.

낮은 층수의 건물로 채워진 교동은 오래된 마을이다. 오래된 마을에 민화를 채워 오히려 새로운 느낌을 준다. 골목에는 인간 삶의 주제로 한 어변성룡도, 소충도, 장생도, 화첩도, 평생도, 책가도, 춘향이와 이도령, 소망길, 말타기, 추억의 놀이 등 150점이 그려져 있다.
민화는 백성들의 그림이기도 하다. 민화에 대한 글을 여러 번 써서 그런지 민화의 색채들이 익숙하다. 민중 속에서 태어나 민중을 위해 그려지고 민중에 의해 구입되는 그림이라고 정의된 것처럼 소박한 삶의 이야기가 있다. 부귀영화, 현세에서의 행복, 사랑, 농경 사회, 익살, 생활공간에 맞는 크기와 구도, 형태와 색상, 선과 점들을 어울리게 한 것이 민화의 특징이다.
민화 사이사이에 그려진 다양한 화풍의 그림들이 보는 재미를 더한다.

과거는 히스토리이며 미래는 미스터리, 현재는 선물이라고 했던 쿵푸팬더의 대사처럼 히스토리는 기록되며 미래는 알 수 없다. 현재라는 선물을 잘 받아들인다면 과거의 히스토리는 눈에 보이는 민화처럼 다른 색으로 채색될 수 있다.

/ 제천시 SNS 시민홍보단 최홍대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임호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부족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중임을 맡겨주신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총선 승리는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약속드린 미래 비전을 군민들께서 선택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선에 성공한 임호선(61)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증평·진천·음성)은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며 어려운 민생부터 확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라며 "서민경제를 살피지 못하고 국정운영을 독단적으로 하며 과거로 퇴행하려는 정부에 브레이크를 잡으라는 민심이다. 제1야당으로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적극 따르며 민생해결과 지역발전에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앞으로의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활동을 원하고 있다. 임 당선인은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왔고 현재도 농촌에 살고 있다"며 "지역적으로도 증평·진천·음성군이 농촌이기에 누구보다 농업농촌의 현실을 잘 이해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임 당선인은 "농촌이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