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0.01.13 17:22:56
  • 최종수정2020.01.13 17:22:56

이찬재

수필가·사회교육강사

우리속담에"대한(大寒)이 소한(小寒)집에 놀러왔다가 얼어 죽었다."는 말이 있다. 24절기 중 마지막인 대한이 가장 추워야 하는데 소한추위가 그만큼 매섭다는 말일 것이다. 그런데 지난 6일이 소한이었는데 여름처럼 비가 주룩주룩 내렸다. 어찌 된 일인가· 삼한사온(三寒四溫)현상은 겨울철의 한파(寒波)를 몰고 오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에 의하여 나타나는 동부 아시아 지역의 특징적인 기후현상이다. 겨울엔 하얀 눈이 쌓이고 추워야 겨울기분을 느낄 수 있는데 지구의 온난화현상으로 겨울 스포츠인 스키장이 휴업상태이고 저수지가 얼지 않아서 얼음낚시 축제를 열지 못하고 있다니 계절의 질서가 무너지고 겨울이 사라지고 있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라는 말은 중국기준으로는 대한이 가장 춥지만 우리나라는 소한 때가 가장 춥다는 증거라 할 수 있다. 지구의 모든 동식물은 자연을 이용하면서 살아가지만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을 훼손시키지 않는 동식물에게 인간이 배워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다. 창조의 행위를 인간만이 할 수 있다하여 만물의 영장이라고 한다. 인간은 모든 동물 중에서 가장 뛰어난 두뇌를 가졌고 그걸 이용하면서 사회를 이루고 문명을 이룩하며 살아왔다. 자연을 함부로 다루고 각종 재해를 일으키는 자연속의 바이러스 같은 존재라는 생각도 든다. 동양 사람은 옛 부터 자연과 인간은 하나라는 생각을 가지고 자연의 순리에 따라 살았지만 서양 사람들은 자연의 모든 것은 인간이 사용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여 정복의 대상으로 보고 개척정신으로 살아가고 있다. 그 결과 환경파괴라던가 산업공해 등 많은 부작용이 일어나고 있다. 이대로 가면 지구는 멸망할 것이라는 두려운 생각을 하게 된다. 인간생활에 필요한 자동차나 공장을 만들고 빌딩과 아파트를 지어 편리하게 살고 있지만 지구의 자연 환경을 파괴하며 자원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미세면지와 공해가 발생하여 그 폐해(弊害)에 시달리고 있다. 즉 인간의 욕심이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는 것 중의 하나가 지구 온난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북극의 빙하가 녹아내려서 바닷물의 수면이 높아지고 있어 육지가 점점 침식당하고 있다니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을 인간의 힘으로는 막을 길이 없지 않은가· 사계절이 뚜렷했던 지난날이 그리워진다. 지구의 온난화는 자연의 질서마저 파괴하고 있으니 심각한 지구 이상 기온 현상인 지구온난화 위기를 극복하여 지구촌 살리기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상청은 슈퍼컴퓨터 3호기를 충북 청원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에 설치해 본격 가동한다고 한다. 온난화 현상으로 여름철새가 겨울이 돼도 안 떠나 국내 조류 350종 가운데 64종이 최근 40년 동안 사라졌다고 한다. 공업화 산업화로 우리경제는 성장하였으나 부산물로 공장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자동차 매연에다 중국 발 먼지까지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를 잿빛하늘로 만들고 있다. 숨쉬기도 힘들 정도로 삶의 질은 점점 나삐지고 있으니 어떤 방법으로 해결해야 하는가· 경제가 발전하여 좋은 집에서 잘 먹고 살아도 미세먼지를 마시며 산다면 삶의 질은 떨어지게 됨을 명심해야 한다. 이제 와서 원시시대로 돌아 갈 수도 없는 일이고 하나뿐인 지구를 떠나서 살아갈 수도 없는 일이다. 자연이 주는 맑은 공기와 물과 음식물이 오염되지 않는 세상으로 만들어야 후손들까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음을 늦었지만 깨달아야 할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