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3.04.03 17:42:08
  • 최종수정2023.04.03 17:42:08

이찬재

충주향교 전교·시조시인

봄꽃이 아름답게 피기 시작하는 3월의 마지막 주말에 충주시 주덕읍 당우리 산 30번지에 이장(移葬)안치 된 능양 박종선(朴宗善)선생의 묘소 옆에 건립된 시비(詩碑)제막식에 다녀왔다.

성균관대학교 존경각에 소장하고 있는 능양시집 필사본이 세상에 빛을 보게 된 것은 불과 10년 전인 2013년이다. 후손이 보존하지 못하고 어딘가에 숨겨져 있을 능양 시집이 나타나기를 학수고대하던 중에 대구의 고서점에서 발견하여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고 한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2015년에 구입하여 존경각에 소장하게 되었다고 한다. 학계에서는 2017년에 2천여 수의 시가 실린 16책의 필사본을 영인(影印)하여 시집을 발간하였고 대동문화연구원이 주최한 학술대회를 개최 한 바도 있다.

선생께서는 충주 연원역(連原驛)근처에 사시다가 60세에 돌아가셔서 음성읍 석인촌에 안장(安葬)되셨다. 능양의 묘소를 201년 만에 현 위치로 이장하고 시비를 세우고 제막식을 하게 되었다. 이장을 할 때 그의 관 뚜껑에는 "통훈대부행 음성현감겸 충주진관병마절제도위 박공지구(通訓大夫行陰城縣監兼忠州鎭官兵馬節制都尉 朴公之柩)라 씌어 있었다.

행사를 마련한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이영호 원장, 안대회 문과대학장, 김경호 동아시아학술원장, 서울대국문학과 이종묵 교수, 서예가 김영복, 김보성 책임연구원과 반남(潘南)박 씨 문중 회원과 충주향교의 유림(전교, 유도회장, 유학회장 및 장의), 충주한시협회장, 이종배 국회의원, 충주시장을 대신한 문화예술과장, 충주문화원장과 주덕읍장을 비롯한 지역주민 등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주지역의 유일한 한시 시비가 세워지게 되었다.

고려 때 호장(戶長)을 지낸 시조(始祖) 박응주(朴應珠)의 20대손이신 박종선(朴宗善)선생은 연암 박지원(朴趾源)의 조카이며 박명원(朴明源)의 아들이다. 규장각(奎章閣) 검서관(檢書官)을 지냈고 음성현감(縣監)도 지냈다. 능양시의 특징은 조선적인 정서를 담은 민요풍의 한시가 유행한 18세기 한국한시사의 흐름에 부응하여 박종선은 고락부(古樂府)의 정신을 빌면서도 당대 여성의 구체적인 삶을 때로는 낭만적인 기법으로 때로는 현실적인 기법으로 담았다는 점이다. 조선 후기 최고의 문인 중의 한 분인 연암 박지원은 시집 서문(序文)에 "한 가지 법에 얽매이지 않고 온갖 시체(詩體)를 두루 갖추어 눈부시게 동방의 대가(大家)가 되었다"고 극찬을 하였다.

능양시집의 전문을 보면 중국 연행(燕行)경험과 금강산 유람, 한양의 세시풍속 등 18세기 조선을 조명하는 다양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시비의 전면에는 공(公)의 대표시인 초동(初冬)이 새겨졌고 후면에는 시비건립에 관한 연혁(沿革)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서울대 국문학과 이종묵 교수가 번역한 충주락(忠州樂)을 낭송하여 많은 박수를 받았다. 충주에 사는 즐거움이란 오언시(五言詩)의 일부를 옮겨본다.

"충주에 사는 즐거움 무엇인가? 강마을 아름다워 살기 좋다네, 아침에 달천의 물을 마시고, 저녁에 가흥의 생선을 먹는다네, / 충주에 사는 즐거움 무엇인가? 산골마을 풍미가 좋다네, 봄엔 산에서 고사리 꺾고 가을엔 동산에서 대추를 턴다네. / 이하생략"

시비가 있는 묘역(墓域)은 지방도로 변에서 가까이 위치해 있는데 공간을 더 확보하여 자라나는 세대들이 현장학습을 와서 그의 시세계를 이해하고 특히 충주를 사랑하는 시 내용을 배우는 유익한 공간으로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여건이 마련된다면 전국의 한시를 하는 많은 유림들이 모여서 선생을 추모하는 한시백일장이 열리면 금상첨화(錦上添花)라고 생각한다. 충주지역에 보기드믄 고전 문화유산이 생겼는데 사장(死藏)되지 않고 교육의 장으로 잘 활용되어 충주문화관광과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