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2.03.14 15:23:07
  • 최종수정2022.03.14 15:23:07

이찬재

수필가·사회교육강사

나이가 들면 친구들에게서 오는 전화도 뜸해진다. 더구나 코로나로 만남이 자유롭지 못하니 더욱 두드러진다.

지난 달 한 친구의 전화를 받고 반가운 마음으로 식당으로 나갔다. 세 명은 이미 와 있었다. 모두 잘 아는 사이라 인사를 나누고 자리에 앉았다. 식사가 들어오기 전에 안부를 묻고 이야기가 시작됐다. 음식을 함께 나누며 살아가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음에 감사하는 표정들이었다. 대화의 내용은 건강, 부동산, 친구들의 근황을 묻는 이야기를 하다가 금기(禁忌)시 하는 자녀들 이야기가 관심을 끌었다.

필자가 고교동창회장을 할 때 이색적인 반가운 소식을 들었다. 옆에 앉은 친구의 아들이 서울공대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고 변리사가 되어 결혼도하고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어느 날 충주 집으로 내려와 사법고시 시험공부를 하겠다고 부모 허락을 받으러 왔다고 한다. 친구는 너무 황당해 만류를 하다가 고심 끝에 다음 날 아침에 허락을 했다고 한다. 공대출신이었던 아들이 3년 동안 공부를 하더니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얼마나 자랑스러운 일인가? 필자는 친구 아들의 경사에 감동해 축하 화분을 친구의 아파트로 보냈었다. 뒤에 들은 이야기지만 내가 회장을 맡고 있으니 동창회비에서 보낸 걸로 알고 총회 때 결산서를 살펴보고서 동창회에서 보낸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고 했다.

동기생들보다 5년이 늦었지만 사법연수를 마치고 성적이 좋아서 대전지방법원에 발령을 받아 판사의 길을 걸어오고 있다. 산더미 같은 사건기록을 읽어야 하는 격무를 수행하면서 주경야독(晝耕夜讀)을 하여 3년 전에는 모교에서 법학박사학위까지 취득했다니 너무 대견하지 않은가? 얼마 전에 40대 중후반의 나이인데 판사의 꽃이라 불리는 부장판사로 승진해 3월에 가족이 모여 축하자리를 갖기로 했다고 한다. 이 정도면 아들자랑 할 만하지 않은가?

이렇게 뒤늦게 진로를 바꿔서 정상궤도의 길을 당당히 가고 있는 예는 드물 것이다. 세 친구는 초등학교동창으로 흉허물이 없는 사이라서 시샘보다는 축하의 마음을 전하였다. 부모들은 자식을 잘 키운 보람을 느끼며 어깨가 으쓱해지는데 이게 바로 효도가 아닌가 생각한다.

이는 부모가 어릴 때부터 가정에서 모범을 보이며 가정교육을 잘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부모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여러 곳의 학원을 돌며 아이의 능력에 넘치는 부담으로 진로를 그르치는 경우도 있다. 1등만 강요해 자라는 싹을 시들게 만드는 어리석은 부모도 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녀교육이 어렵고 부모의 뜻대로만 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천재적인 두뇌를 가진 자녀라 해도 모두가 잘 풀리는 것은 아니다. 세계 10대 천재 중 한 명으로 IQ 210 김웅용씨의 사연이 좋은 예이다. 괴테(IQ 190)와 아인슈타인(IQ 180)을 능가하는 대단한 수치이다. 그는 한글을 이틀 만에 뗐고 세 살 때는 그 동안 쓴 글과 그림 등을 모아 책까지 출판했다. 열한 살에는 미국 NASA에 취직했지만 일 외의 부분에서는 언제나 외톨이였다. 김웅용은 "나는 영원한 이방인이자 타인이었다"며 외로운 어린 시절을 회상했다고 한다.

'조국을 위해 큰 인물이 되라'는 말을 귀가 따갑도록 듣고 자랐지만, 지독한 외로움을 이기지 못하고 8년 만에 홀로 귀국했다. 귀국 후에는 어디든 받아주는 곳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학위가 없어 아무 곳에도 갈 수 없었다. 서울을 떠나고 싶어 선택한 충북대학교에서 공학박사학위를 받은 김웅용은 드디어 공부 말고도 재미있는 세상의 즐거움을 알아가며 지금은 신한대학교에서 평범한 교수로 살아가고 있다고 한다. 진로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하는 하루였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