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1.09.13 17:06:50
  • 최종수정2021.09.13 17:06:50

이찬재

수필가·사회교육강사

더위를 피해 계곡을 찾았던 일이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이 성큼 닥아 왔다. 춥지도 덥지도 않은 가을이 가장 좋은 계절이다. 가을 추(秋)자를 자원(字源)풀이 해보면 벼화(禾)+불화(火)를 형상화 했는데 가을은 오곡의 대표라 할 수 있는 벼 이삭을 뜻하여 벼(곡식)가 햇볕(火)에 익어가는 계절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秋자는 '가을'이나 '시기'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秋자의 갑골(甲骨)문을 보면 禾자가 아닌 메뚜기가 그려져 있다. 이것은 메뚜기를 구워 단백질을 보충하던 시기를 표현한 것이다. 그러니까 본래'가을'은 메뚜기를 구워 먹는 계절이라는 뜻이었다. 그러나 소전(小篆)에서 메뚜기가 아닌 禾자로 바뀌면서 수확의 계절인 가을을 뜻하게 됐다고 한다. 한자는 뜻글자이므로 한자를 만들었던 시기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어 가을에 벼이삭에서 볼 수 있는 메뚜기를 구워먹는 민족은 동이(東夷)족 뿐이었다고 한다. 농약으로 지금은 보기 드문 메뚜기를 구워 먹었던 민족은 한자를 처음 만들어 사용했던 동이족이라는 것을 유추(類推)해 볼 수 있다.

'가을'하면 떠오르는 단어들은 결실, 수확, 추억, 코스모스, 소풍, 수학여행, 운동회, 독서, 풍요, 사색, 단풍, 추석, 알밤, 홍시 감, 사과, 낙엽, 등 수없이 많다. 벼이삭이 누렇게 익어가는 황금들판을 바라보며 코스모스가 한들거리는 시골길을 걸어가노라면 파란 하늘에 고추잠자리 떼가 날아다니는 풍경은 너무 아름답고 낭만이 넘쳐난다. 뒷동산을 하얗게 물들였던 밤꽃이 지고 밤송이가 굵어지더니 알밤 삼형제가 세상을 향해 웃는다. 과수원 길을 걷는 사람들에게 풍요를 알리는 사과도 빨갛게 익어가고, 올해는 유난히 많이 열린 대추도 붉게 익어가고 있다. 감나무엔 파란 감이 노랗게 물들어가고 있어 껍질을 벗겨서 주렁주렁 매달아 햇볕에 말리면 호랑이도 겁을 냈다는 맛있는 곶감이 되고, 늦가을이 되도록 나무에 매달려 몰랑몰랑한 홍시가 되면 가을이 무르익었음을 알리게 된다. 가을볕에 시골 마당에는 고추를 말리는 풍경과 초가지붕에는 하얀 박이 달덩이처럼 누워있는 옛날 풍경! 여기저기서는 추수 마당질을 하느라 농부의 일손이 바쁜 가을은 마음까지 풍요로운 아름다운 계절이다.

20여 년 전 우리 오남매가 지금은 모두 작고하신 부모님을 모시고 설악산으로 단풍여행을 다녀 온 것이 추억으로 오버랩 되어 뇌리를 스쳐지나간다. 해외연수를 다녀와서 10월초 나는 새 차를 구입해 부모님을 모시고 굽이굽이 설악산 길을 운전하며 달릴 때 좋아하시던 부모님 모습이 가을이 되면 생각난다. 대포항에서 저녁을 먹고 숙소에 들어가 들뜬 기분에 노래방에 가서 매제들과 놀다가 큰 방에 누워 밤늦도록 이야기를 나누느라 피곤한 줄도 몰랐던 일! 권금성까지 케이블카를 타고 오르니 하늘을 오른 듯이 상기된 표정들이 생생하다. 신흥사를 둘러보고 흔들바위까지 오르며 가족여행 일정을 캠코더에 모두 담았다. 저녁을 먹고 숙소에서 하루 관광을 영상으로 TV에 재생해 부모님께 보여드렸더니 너무 신기해 하시며 좋아하시던 모습이 생생하다. 속초관광을 마치고 낙산사를 거쳐 강릉오죽헌을 둘러보고 한계령을 넘으며 환상적인 단풍구경을 원 없이 했다. 단풍이란 날씨에 따라 아름다움을 자랑하는데 내 평생에 그렇게 화려하고 아름다웠던 단풍은 처음이자 마지막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남매가 부모님과 함께 가을 가족여행을 다녀왔다는 것이 가슴 뿌듯한 감흥으로 가을이 다가오면 떠오르는 아련한 추억으로 남아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