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0.10.19 17:11:50
  • 최종수정2020.10.19 17:11:50

이찬재

수필가·사회교육강사

574돌 한글날이 금요일이라서 사흘의 연휴를 만들어주었다. 연휴가 끝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도 1단계로 낮춰져서 정말 다행이다. 코로나로 답답한 가운데 우리의 한글이 2회 세계문자올림픽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세계 문자 학회에 따르면 지난 10월 1일부터 4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린 2회 세계문자 올림픽대회에서 한글이 1위에 올랐다고 발표했다. 이번 세계 문자올림픽 대회에는 한글, 영어, 러시아, 독일 등 27개국의 문자가 경합을 벌였다고 한다. 각국 학자들은 대회에서 30여분씩 자기나라 고유문자의 우수성을 발표했다. 문자 올림픽 심사기준은 문자의 기원, 문자의 구조와 유형, 글자의 수, 글자의 결합능력, 문자의 독립성 및 독자성, 문자의 실용성, 문자의 응용 개발성 등을 기초로 평가됐다고 한다. 세계 문자올림픽은 가장 쓰기 쉽고, 가장 배우기 쉽고, 가장 풍부하고 다양한 소리를 표현 할 수 있는 문자를 찾아내기 위한 취지로 열린다고 한다.

한글은 16개국이 경쟁한 지난 2009년 대회에 이어 또 다시 1위를 차지하여 그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됐다. 이번 세계 문자올림픽에서 1위는 한국의 소리 문자 2위는 인도의 텔루구 문자, 3위는 영어 알파벳이 차지했다. 한민족의 얼이 담긴 한글의 우수성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문화민족의 자부심을 갖게 되었다. 세계의 다양한 문자 가운데서 훈민정음에 밝혔듯이 창제 근거와 이유, 만든 날짜와 만든 사람이 밝혀진 문자는 한글이 유일하다고 한다. 한글을 만드신 세종대왕께서는 스스로 필요한 글자를 만드는 자주(自主)정신, 백성을 사랑하는 애민(愛民)정신, 널리 글을 알려 사람들의 생활을 이롭게 하겠다는 실용(實用)정신이 녹아 있는 자랑스러운 글이다.

오늘날 한국은 한글 덕분에 세계에서 문맹률이 가장 낮은 나라에 속한다. 그렇기 때문에 유네스코에서는 세계문화유산 지정과 함께 세종대왕 탄신일을 세계 문맹퇴치의 날로 정했다. 소리글인 한글의 우수성은 발성기관의 구조를 본 따서 아(牙), 설(舌), 순(脣), 치(齒), 후(喉)로 닿소리를 만들고, ·(하늘), ㅡ(땅),ㅣ(사람)을 홀소리로 조합하여 낱말을 무궁무진하게 만들 수 있는 과학적인 글자라는 것을 세계가 인정하고 있기에 더욱 자랑스럽다. 우리 한글이 훌륭하고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는데도 어려운 외국어를 무분별하게 받아들여 남용하거나 신조어, 비속어 등을 부끄럼 없이 사용하는 것은 한글발전을 저해하는 것이다. 우리 고유어를 많이 사용하고 우리글을 바르게 사용하여 언어를 순화하고 영어를 사용하며 우쭐대서는 안 되겠다. 쓰레기 소각장 시설을'클린 에너지 파크'라고 해야 하는가· 아파트 이름, 거리의 간판, 공공기관명칭 등에 영어를 사용하는 것은 한글을 사랑하지 않는 것이다. 북한은 1월 15일을'조선 글 날'이라고 기념하고 있다. 왕조실록과 훈민정음 해례본에 음력 9월 상한(上澣)으로 기록되어 한글날을 정했다고 하는데 그레고리 역(曆)으로 환산하여 조선시대 사용했던 율리우스 역으로 계산하면 10월 17일이 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으니 정부에서는 역사적 기록을 점검하여 정확한 날짜로 바로 잡아야 후손에게 부끄럽지 않을 것이다. 대부분의 전문용어는 한자어인데 한글로 표기해서 그 뜻을 잘 모르는 것이다. 수많은 학생들이 매일 공부하고 있지만 공부(工夫)의 자의(字意)를 모르고 있다. 공부의 공(工)자는 만들어간다는 뜻이고, 부(夫)는 성인(聖人)에 가까운 학식과 덕망을 갖춘 사람을 뜻하므로 자기수신(修身)을 통해 인격을 완성시켜나가는 과정이 공부라는 것을 알았으면 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