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이찬재

수필가·사회교육강사

 올 추석은 '여름한가위'라는 말이 실감날 정도로 일렀다. 대추가 붉어지려면 가을 햇볕을 더 받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풋사과처럼 푸른색 대추를 차례(茶禮)상에 올려야만 했다. 시골길 도로변에는 코스모스가 한들한들 거리지만 가을느낌을 느끼기에는 이른 추석이 지나갔다. 추석날은 날씨가 너무 쾌청하여 파란 하늘에 그림을 그리는 뭉게구름이 너무 아름답게 보였다. 고향 성묘 길에도 가을 정취를 느끼기에는 이른 계절임을 알 수 있었다.

 벌초를 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인지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성묘객도 예년보다 줄어들었다. 밤송이는 아직 알밤을 숨겨놓고 입을 벌리지 않고 있어서 성묘 길에 알밤 줍는 재미도 느낄 수 없었다. 태풍 '링링'이 지나갔지만 큰 피해가 없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린 시절에 보았던 추석민속놀이는 거의 사라져가고 있는 것 같다. 추석 다음 날 초등학교 마당에서는 가을 운동회가 열려서 지역의 축제장으로 정겨운 풍경을 즐겼었는데 이제는 볼 수 없다는 아쉬움도 컸다.

 필자가 다녔던 초등학교는 폐교가 되었지만 건물 일부와 대학찰옥수수권역사업장으로 숙박과 야영장으로 활용되고 있어 동문 어울림 마당으로 사용 할 수 있다는 것만도 다행이라 생각된다. 올해로 33회를 맞이하는 동문체육과 화합하는 행사가 열렸다. 모교에 첫 발령을 받아 가르쳤던 제자들이 행사를 주관하여 개회식부터 참석하였다. 반세기가 되어 만난 제자는 반가움에 눈물을 보였다. 손을 잡고 놓을 줄을 모른다. 당시 6학년 담임을 초청하여 꽃다발과 선물도 안겨주었다. 경향각지에 살면서 원근을 불문하고 달려와서 "친구야! 반갑다"라는 인사를 나누고 어린 시절로 돌아가 하루해가 짧다며 정을 주고받으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시골학교 동문회 치고는 프로그램이 다양했다. 식전 행사로 농악놀이 한마당이 축제분위기를 돋구었다. 수준 있는 난타공연도 돋보였고, 12회 졸업생이 국악단체를 이끌고 있어 우리소리 한 자락에 어깨춤이 절로 들썩였다. 배구, 족구, 2인3각, 바구니 터트리기, 줄다리기, 노래자랑, 경품추첨 등으로 승부보다는 선후배의 화합에 웃음이 떠날 줄 모른다. 점심시간이 지나자 참여 동문가족의 기념 촬영을 하여 행사 책자에 실리고 있다. 하늘에는 드론을 띄워 동영상을 촬영하는 등 풍성하고 짜임새 있는 행사준비에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필자와 함께 공부한 시골학교 2회 졸업생들은 십여 명이 매년 참석하는데 올해는 한명이 병환 중이라 불참하여 아홉 명이 모였다. 횡성에서 참여한 여자동창이 노래자랑에서 대상을 수상하여 저녁을 내면서 흐뭇해하였다. 가난했던 어린 시절 함께 공부했던 동창생을 만나면 70대 중반을 달리는 나이에도 어린 시절처럼 흉허물이 없이 대한다. 서로 마음이 통하고 편하기 때문이란 생각이 들었다. 동창생들 중에는 유명(幽明)을 달리한 친구들도 과반을 치고 올라오고 있고, 졸업 후에 한 번도 나타나지 않는 무정한 친구도 꽤 많이 있다. 한두 번 나왔다가 안 나오는 친구도 있다. 그러나 마음만은 모교에 와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동문들이 일 년에 한자리에 모여 동창과 선후배를 만나 소식을 주고받는 행사는 얼마나 소중한 자리인가? 행사 후에도 사진과 동영상을 동문카페와 밴드에 올려 소통하고 있어 좋다.

 태어나서 어린 시절에 공부하던 고향은 우리들의 뿌리라고 생각한다. 뿌리 깊은 나무는 튼튼한 목재로 자랄 수 있듯이 고향은 삶의 근원이고 뿌리이다. 자연환경과 풍토의 영향을 받고 자란 곳이기 때문에 부모님에게 효를 다하듯이 고향을 잊지 않고 살아가는 것이 사람의 도리라고 생각한다. 추석명절에 만나는 동문가족의 행사 덕분으로 행복했고 가슴 뿌듯한 하루였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