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9.07.29 16:51:36
  • 최종수정2019.07.29 16:51:36

이찬재

수필가·사회교육강사

지난 5월에 성균관 유교문화 활성화사업단에서 시행하는"청소년인성교육"공모에서 전국 26개 향교·서원을 선정하였는데 충주향교는 3년째 연속하여 선정되었다. 세 명의 인성교육 자격강사가 충주남한강초등학교 교문을 들어서니 폐교된 학교처럼 조용하여 절간 같은 느낌을 받았다.

80년대 중반에 학생수가 3천명이나 되었던 과밀학교에 필자가 근무 할 때와는 격세지감(隔世之感)을 느낄 수 있었다. 한때는 충북에서 가장 큰 학교였는데, 도시 변두리에 아파트 단지가 생기면서 학생 수가 점차 감소하여 폐교절차를 밟고 있다. 중소도시까지 도심의 인구이동으로 공동화(空洞化)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도심의 큰 학교들은 건물과 운동장만 덩그러니 남겨두고 새로 생기는 아파트단지에 학교를 신설하고 있다.

저 출산으로 어린이는 줄어들고 노인인구는 늘어나는 역삼각형구조로 바뀌어 나라의 앞날이 걱정이 아닐 수 없다. 농산어촌의 인구감소로 70대가 마을의 청년회장을 맡고 있다니 둘만 낳아 잘 기르자던 인구정책이 무상(無常)하기만 하다.

베이비부머(baby boomer)세대인 58년생을 정점(頂點)으로 하향곡선을 그으며 출산율이 계속 떨어지고 있는데 출산장려 정책이 먹혀들지 않고 있어 안타깝다. 유교(儒敎)의 유(儒)자는 사람 인(亻)과, 필요할 수(需)의 합자로 사람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 배워서 실천하는 학문이다. 아이들은 부모의 언행을 보고 배우며 자라기 때문에 가정교육이 인성형성에 매우 중요하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과정에서 인성이 형성되고 굳어지기 때문에 때를 놓친 인성교육은 효과가 미미할 수밖에 없다.

유교경전이나 조선시대의 교과서였던 동몽선습, 계몽편, 천자문, 격몽요결, 명심보감 등의 글속에 성현들의 명언 명구가 어린이들 마음에 감동과 감화를 주고 있다. 유교(유학)를 창시하신 공자님의 말씀을 풀이하고 이야기를 곁들여 설명하면 고개를 끄덕이며 눈빛이 밝아짐을 느낄 수 있어 보람을 얻는다.

인성교육을 할 때마다 느끼는 것인데 요즘 아이들은 눈에 보이는 물질의 풍요 속에서 자라고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마음공부는 소홀히 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가난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들은 근검절약을 모르고 부모의 과잉보호 속에 체격은 좋으나 체력은 떨어지는 아이로 인내력이 부족하고, 자력으로 학습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손발을 사용하는 노작활동을 하지 않아 땀의 소중함을 느끼지 못하고 의지력이 부족한 어린이로 자라고 있기 때문에 자녀교육을 잘 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공부'가 고유어인지 잘못 알고 있는 점도 바로 잡아야 한다. 공(工)자는 만들어가는 것이요, 부(夫)자는 지성과 교양을 갖춘 완벽한 사람을 뜻한다. 한자어인 공부(工夫)의 참뜻을 정리하면'지성과 교양을 갖춘 완벽한 사람으로 만들어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공부는 학교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고 학창시절만 하는 것이 아니라 죽을 때까지 평생을 해야 하는 것이다.

아이들은 우리 것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배우려는 마음가짐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언어는 2/3가 한자어(漢字語)인데 한자를 모르면 독해력 즉 문장해독능력이 떨어져 글을 읽고도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이 되고 만다. 어릴 때부터 쉬운 한자부터 가르치면 그 효과를 바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전통문화를 가르치고 지키지 않는다면 영원히 사라지고 말 것이다. 조상의 전통문화유산을 자라는 세대에게 가르치며 경험하게 해야 한다. 옛 성현의 주옥같은 말씀을 통해 자신의 몸과 마음을 갈고 닦아 바른 인성을 갖춘 학생으로 키워야만 나라의 앞날에 희망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