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북도 세종역 대응전략 '뒷말'

신설 논란 부상까지 대처 미온
사통팔달 교통망 위상 붕괴 위기
道 지자체·정치권 책임론도 대두

  • 웹출고시간2018.10.29 21:00:32
  • 최종수정2018.10.29 21:00:32
[충북일보] 사통팔달 교통망에서 또 다시 변방으로 내몰릴 처지다.

과거 정권에서 구상됐던 제2경부 고속도로 건설 계획은 '서울~세종 고속도로'로 변경돼 충북을 배제한 채 추진되고 있다.

충청권의 갈등을 야기한 KTX세종역 신설 논란은 오는 2020년 총선을 앞두고 전국적인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고속도로와 고속철도의 X축 중심지라는 충북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는 셈이다.

이런 위기가 도래하기까지 충북도와 정치권의 태도는 다소 미온적이었다.

현재 서울~세종 고속도로로 바뀐 제2경부 고속도로는 지난 2004년 처음 구상된 이후 2008년 이명박 정부가 광역경제권 30대 선도프로젝트 사업에 포함하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때문에 당시 이시종 충북지사가 역점 추진하던 중부고속도로 확장은 제동이 걸렸다. 이에 이 지사는 제2경부 추진에 줄곧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제2경부가 충북의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시기는 2014년 6회 지방선거 때다.

당시 이 지사는 중부 확장을, 경쟁 상대였던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윤진식 후보는 제2경부 청주 경유를 각각 공약했다.

이 지사는 선거에서 승리한 뒤 2015년 9월 충청권 4개 시·도 단체장이 모인 자리에서 서울~세종 고속도로 조기 건설 추진에 합의했다.

'제2경부', '서울~세종'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던 해당 고속도로 명칭도 그해 경제장관회의에서 '서울~세종 고속도로'로 확정됐다.

서울~세종 고속도로의 윤곽이 잡혀가는 단계에서 청주 경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여전히 제기됐지만, 도는 소극적이었다.

중부 확장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급기야 도와 청주시는 공동연구용역을 진행해 서울~세종고속도로의 청주 경유가 중부 확장에 주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결론을 얻고서야 겨우 한목소리를 냈다.

도는 청주시가 주장하는 '청주 경유', '오송 지선' 등의 요구를 정부에 전달했다.

그러나 이미 서울~세종 고속도로 노선은 충북을 경유하지 않은 채 서세종으로 향하는 쪽으로 확정 수순을 밟고 있다.

세종역 논란에 대해서도 충북도는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세종역 신설을 정치권의 이슈 선점용으로 시작됐다.

2014년 지방선거에서 유한식 세종시장이 세종역 신설을 공약하면서 공론화됐지만 그가 낙선하면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이후 더불어민주당 이해찬(세종) 의원은 2016년 총선에서 다시 세종역 설치를 공약했고, 이춘희 세종시장도 동조했다.

충북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거세게 반발했다.

충북도 역시 반대 입장을 피력했지만, 능동적으로 나서지는 않았다.

논란은 지난해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사전 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없다(BC 0.59)는 결론에도 종식되지 않았다.

그러나 충북도는 세종역 신설 배경에 대해 "상황이 변한 게 없다"며 대응을 자제했다.

세종과 충남에서 세종역 설치 주장이 제기된 이후 이장섭 충북도 정무부지사는 지난 9월 13일 간담회를 자청해 "공식적으로 대응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충북도의 소극적 판단은 결국 오판(誤判)이 됐다.

이 부지사의 발언 직후 세종역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됐다.

무소속 이용호(남원·임실·순창) 의원과 바른미래당 주승용(여수을) 의원, 민주평화당 정동영(전주병) 의원 등 호남권 의원들이 앞 다퉈 세종역 신설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부랴부랴 정치권과 정부, 국회를 상대로 세종역 신설 반대 의사를 전달하기 바빴지만 선제적 대응과는 거리가 멀었다.

현재 세종역 논란은 전국적 확산 분위기에 휩싸여 총선의 최대 쟁점으로 부상해 버렸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충북은 고속도로와 고속철도의 중심지라는 위상을 갖춰나가고 있었지만, 세종에 집중되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대응이 능동적이지 못해 사통팔달의 기능이 약화될 처지"라며 "그에 따른 충북 지자체와 정치권의 책임론도 대두되고 있다"고 말했다.

/ 최범규기자 calguksu@naver.com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