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청주시 SNS서포터즈 - 백성을 사랑하고 시대를 걱정한 조선의 충신

'남한산성의 주인공' 청주의 위인 최명길

  • 웹출고시간2018.02.21 18:37:34
  • 최종수정2018.02.21 18:37:34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대율리 소재 최명길 묘역

[충북일보] 청주에는 다양한 위인들의 터가 많이 있다. 이들이 우리 역사 5천 년을 이어오게 하지 않았나 싶을 정도다.

그런 인물 가운데 지난해 개봉했던 영화 '남한산성'의 주인공인 최명길(이병헌 역) 선생의 흔적도 청주에 있다.

최명길은 지난 1586(선조 19)년에 출생해 1647(인조 25)에 세상을 떠난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이다.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 갇힌 인조가 청나라에 항복하기까지 47일 동안 '주화(主和)'를 주장했다.

영화의 실제 주인공이자 국란 당시 조선의 신하로 백성만을 생각했던 최명길 선생의 묘역을 찾아 여행을 떠났다.

조선의 명신 최명길 선생의 묘역은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에 위치하고 있다. 생각만큼 장대한 모습의 묘역은 아니었다.

아마도 당시 조선의 유교적 개념을 벗어나지 못한 상황으로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렇다면 병자호란 당시 조선의 백성과 시대적 상황을 잘 알고 있었던 영의정 최명길은 구체적으로 어떤 인물이었을까.

영화에서도 보았듯이 최명길은 병자호란 때 주화론(主和論)을 주장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당시 조선의 상황은 정말 암울한 상황으로 국제정세를 하나도 보지 못한 구태연한 대신들로 조선을 가장 치용으로 만들었던 시기였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최명길은 여러 반대와 비난을 받으면서 조선이 살아야 하는 길을 택했던 인물이다.

나라와 백성이 없어지고 죽어가는데 그저 망해가는 중국의 명(明)만을 바라보며 쓸데없는 의리와 명분을 강조한 그들과는 대비를 이룬다.

또한 이런 모습은 대표적인 척화론(斥和論)자인 김상헌과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당시 김상헌은 조선의 대세가 항복하는 쪽으로 굳어지자 최명길이 작성한 항복문서를 찢었다고 전해진다.

최명길은 명문보다 오직 백성만을 생각했던 명신이 아니었나 생각이 든다. 그분이 아니었다면 조선은 어떤 운명으로 결론이 지었을까.

만약 척화론을 따랐다면 아마도 몽고의 집권이래 또 하나의 더 큰 수치가 다가오지 않았나 생각이다.
그래서일까. 최명길과 김상헌의 대조적인 길은 후세에도 나타나고 있다.

김상헌은 조선 후기 세도가인 안동 김씨를 떠오르게 하는 충신으로 그 영화를 누리지만 최명길은 배신자라는 오명으로 그의 문중 역시 많은 쇠락을 보여준 게 사실이다.

그가 인조에게 올린 병자 봉사(丙子奉事)를 보면 그가 어떤 마음으로 주화론을 펼쳐야 했는지를 이유와 대책을 알 수 있다.

"국력은 다 됐는데 오랑캐의 군사는 여전히 강하니, 우선 정묘년의 맹약을 지킴으로써 수년 동안의 화를 누그러뜨리고 그동안에 인정(인정)을 베풀어 인심을 수습하고 성을 쌓고 양식을 저축하여 더욱 변방의 방비를 굳게 하고, 군사는 거두어들여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저들의 틈을 엿봐야 하나, 국가를 위한 계책으로 이보다 나은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훗날 실학의 근본적인 정신이었던 애민과 실용정신은 현실주의자인 그의 면모를 그대로 답습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가장 어려웠던 시기에 조선이란 나라와 왕 그리고 백성을 구한 조선의 명신 최명길이 우리 시대에 다시금 재조명 받길 기대해본다.

묘역 주변은 평이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그분의 묘역은 아직도 지금의 대한민국 형세를 바라보고 있는 듯 하다. 이번 여행은 그분의 삶을 다시 되돌아보는 시간이었다.

/ 청주시SNS서포터즈 한재희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