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03.27 13:42:54
  • 최종수정2016.03.27 13:43:00

이찬재

수필가·전 달천초 교장

우리 격언에 이런 말이 있다. '매화를 찾아 천하를 헤매다 돌아오니 내 집 뜰에 매화가 피어 있구나.' 많은 사람들은 행복을 집안에 두고 밖에서 찾아 헤맨다는 비유적인 이야기이다.

인구가 많으면서도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부자나라는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고 한국, 이렇게 일곱 나라이다.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달러가 넘는 세계의 부자클럽으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라고 불린다. 객관적인 조건으로 본다면 대한민국의 모든 국민은 상대적으로 부요(富饒)한 사람들이며 행복하게 살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의 삶의 만족도에서는 OECD 34개 회원국 중 27위이고, 2015년 기준 행복지수는 143개국 중 118위로 최하위권이다.

행복하지 않다는 통계가 더 있다. 세계에서 자살 율이 3위이며, OECD에서는 1위이다. 국민소득은 3만 달러에 육박하고 있지만 행복하게 살고 있지 못하다는 증거들이다. 이런 현상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누리지 못하는 것은 자기 정체성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사고방식의 문제이며 가치관의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행복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절대기준은 없다. 행복에 대한 자기철학이 있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곧 소유라고 생각한다.

원하는 것을 많이 가지면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재물은 소금물과 같다'는 로마의 격언처럼 인간의 소유욕은 끝이 없으며 결코 만족을 모른다. 행복은 소유가 아니기 때문이다.

남과 비교하며 '상대적 박탈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행하다고 생각한다. 행복한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는 감사, 만족감일 것이다. 스스로 자기의 분수를 알고 이를 지키는 사람은 만족과 함께 감사에 이르게 된다. 욕심을 자제할 줄 아는 마음과 균형 감각이 필요하다.

작은 것들이 견고하게 쌓여 기초가 되는데 큰 것을 얻으려고 투기하거나 도박으로 일확천금을 노리다가 불행의 늪에 빠지게 된다.

정말 아름다운 행복은 작은 것들 안에 있는데, 작은 행복을 모르면 큰 행복도 느끼지 못한다. 앞에 있는 행복을 몰라보는 눈으로는 멀리 있는 큰 행복도 찾지 못한다. 행복은 상대적 조건이 아니라 자기만의 절대적 조건에서 느끼는 독특한 감정이다. 우리 모두는 내일 어떻게 될지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오늘이 중요해진다. 오늘, 여기에 있는 내가 중요하기 때문에 행복도 지금 여기에서 느낄 수 있어야 한다. 행복은 멀리 있는 것도 아니며 아주 거창하기만 한 것도 아니다. 행복은 기쁘고, 즐겁고, 만족해하는 느낌이다. 모두에게 적용되는 행복의 절대조건은 없다. 내가 행복하면 그게 바로 행복이다. 그리고 그 행복은 내일이 아닌 오늘에 있는 것이다. 감사하고 만족한 눈으로 찾으면 누구나 쉽게 발견하고 마음껏 누릴 수 있다. 그래서 소박해야 하는 것이다. 거창한 눈에는 행복이 보이지 않는다. 지금 우리 모두는 충분히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일반적인 조건은 가지고 있다. 행복은 마음먹기에 달린 것이다. 소박한 눈만 있으면 가능한 일이다. 우리가 무엇을 기다리는 것은 희망이요 누구를 기다릴 사람이 있다는 것은 그것이 바로 행복입니다. 기다림 뒤에 오는 짜릿한 만남은 평생을 두고 생각해도 행복합니다. 행복은 물질의 소유가 아닌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