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최창중

전 단양교육장·소설가

<태초에는 제주에 사람이 없었다. 약 4천300년 전 한라산 북쪽 기슭 모흥혈(毛興穴)에서 영롱한 자줏빛 기운이 비추어 세 신인(神人)이 솟아나니 맏이를 양을나, 버금을 고을나, 막내를 부을나, 즉 삼을나라 칭했다. 그들은 가죽옷을 입고 수렵을 하면서 생활했다.

하루는 한라산에 올라 동쪽 바다를 바라보니 붉은 진흙으로 봉한 목함이 떠다니는 것을 발견하고 나가서 열어보니 그 속에 석함과 붉은 띠에 자줏빛 옷을 입은 사자(使者)가 들어있었다. 석함을 여니 말과 소, 오곡 종자, 그리고 푸른 옷을 입은 세 공주가 나타났다. 사자가 말했다.

"나는 벽랑국(일본) 사신입니다. 우리 왕이 세 왕녀를 낳고 이르되 서해 한가운데 있는 산에 신자(神子) 3명이 강생(降生)하여 장차 나라를 세우려는데 배필이 없다 하시고 이에 신(臣)에게 명하여 세 왕녀를 모시게 하였습니다. 부디 배필로 삼아 대업(大業)을 이룩하시옵소서."

말한 후 사자는 홀연히 구름을 타고 떠나가 버렸다. 삼을나는 나이의 차례대로 나누어 배필을 삼고 세 공주와 연못에서 목욕재계한 뒤 연못 옆 동굴에서 신방을 이루어 살았다. 이후, 삼을나는 사시장을악에 올라 활을 쏘아 돌 세 개를 맞추니 양을나가 사는 곳을 제일도, 고을나가 사는 곳을 제이도, 부을나가 사는 곳을 제삼도라 칭하여 제주도를 삼분하여 거처를 옮겨 탐라국을 세웠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화살이 박힌 세 돌을 한곳에 모아 단장했는데, 지금도 제주시 화북동 삼사석지에 삼사석(三射石)이라는 이름으로 현존한다. 그리고 그들은 제주 양씨, 제주 고씨, 제주 부씨의 시조가 되었다.>

제주도 삼성혈에 대한 설명입니다. 삼성혈은 제주시 삼성로에 위치한 화산지형이자 탐라의 건국 신화와 관련된 문화재입니다. 꺼진 지반의 안쪽에 구멍 세 개가 움푹 파였는데, 이 구멍에서 제주의 시조이자 수호신인 양을나, 고을나, 부을나 삼신인(三神人)이 솟아났다고 전합니다. 여타 대륙계 건국 신화에 나오는 신화들과 달리 대지에서 탄생한 신이라는 점이 특이합니다.

얼마 전, 제주 방문 시 무심코 삼성혈의 근방을 지나다 과거 고교 시절 국사책에서 본 기억이 있어 들렀습니다. 그동안 여러 차례 제주를 방문했지만, 그 누구도 '가볼 만한 방문지'로 추천하지 않았습니다. 인터넷상에서도 두드러지게 추천되지 않고 있습니다.

텅 빈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들어서니 이끼 낀 아름드리 수목이 장관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좋이 50년은 넘겼을 수목들은 눈을 들어 둘러보는 곳 모두를 빽빽이 채운 채 유구한 세월을 묵묵히 견디며 역사적인 장소를 지키고 있었습니다. 관람객은 셀 수 있을 정도로 적었습니다. 발길 주는 제주의 관광지마다 잔뜩 들뜬 인파로 넘실거렸는데 그곳은 적막이 흘렀습니다.

삼성혈을 둘러보는 동안 여전히 관광객은 늘지 않더군요. 그런데 전시관으로 드니 일본어가 흘러나오고 있어 슬쩍 들여다보니 한 무리의 일본 단체 관광객이 삼성혈에 대한 영상을 진지하게 시청하고 있었습니다. 아, 아이러니가 느껴졌습니다.

조금 걱정도 되더군요. 누가 압니까.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그들이 먼 훗날 제주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길지도. 삼성혈 설화에서 일본이 거론되기에 잠깐 가져봤던 기우입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