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8.1℃
  • 맑음강릉 17.7℃
  • 맑음서울 18.2℃
  • 맑음충주 16.1℃
  • 맑음서산 17.1℃
  • 맑음청주 16.7℃
  • 맑음대전 18.3℃
  • 맑음추풍령 16.5℃
  • 맑음대구 17.7℃
  • 맑음울산 16.8℃
  • 맑음광주 16.7℃
  • 맑음부산 15.8℃
  • 맑음고창 16.4℃
  • 맑음홍성(예) 17.7℃
  • 맑음제주 16.3℃
  • 맑음고산 13.1℃
  • 맑음강화 16.1℃
  • 맑음제천 15.5℃
  • 맑음보은 16.5℃
  • 맑음천안 17.0℃
  • 맑음보령 16.6℃
  • 맑음부여 16.0℃
  • 맑음금산 17.0℃
  • 맑음강진군 17.8℃
  • 맑음경주시 18.0℃
  • 맑음거제 15.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1.07.26 17:39:03
  • 최종수정2021.07.26 17:39:03

최창중

전 단양교육장·소설가

고전연구가 조윤제 씨는 그의 글에서 말합니다.

<전 하버드대 심리학과 교수 피터슨의 '12가지 인생의 법칙'을 보면, 인생의 중요한 법칙 12가지 중의 한 가지는 '세상을 탓하기 전에 방부터 정리하라'이다. 인생을 좌우하는 중요한 법칙이라기에는 의외로 사소한 일 같지만 찬찬히 책을 읽어보면 인생의 중요한 법칙으로 손색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자신의 불행에 대해 남을 탓하고, 환경을 탓하고, 심지어 환경을 원망하는 사람은 그 불행을 이겨내기 힘들다. 역경을 당할 때 먼저 자신을 성찰하고 자기 삶에서부터 해법을 찾아 나가는 사람은 이겨낼 가능성이 훨씬 높아진다. 공자가 말했듯이 그 어떤 높은 이상도 우리가 발을 딛고 있는 낮은 땅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자기 주변을 정리하지도 못하는 사람이 세상의 환경을 외치는 것은 우스꽝스럽다. 자신은 물론 온 집안이 부도덕한 사람이 사회의 정의를 부르짖는 것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높은 이상도 그 시작은 현실의 자신이다. 일상에서 증명하지 않으면 그 어떤 것도 인정받을 수 없다. 채근담에서도 작은 일을 소홀히 하지 않고,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속이거나 숨기지 않고, 실패했을 때도 포기하지 않는 사람을 진정한 영웅으로 여기고 있다. 세상을 바꾸는 위대한 일을 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루하루의 일상을 그저 충실히 살아가면 된다. 위대한 사람들은 위대한 일이 아니라 작고 평범한 일상을 충실히 쌓아갔던 사람들이다.>

작은 일상에 충실하도록 충고하기는 영국의 첫 여성 총리였던 마거릿 대처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생각을 조심해라. 그건 말이 된다. 말을 조심해라. 그건 행동이 된다. 행동을 조심해라. 그건 습관이 된다. 습관을 조심해라. 그건 성격이 된다. 성격을 조심해라. 그건 운명이 된다.'

그녀가 어릴 때부터 아버지로부터 들었다는 조언입니다. 생각의 차이가 운명을 가른다는 의미가 되겠지요. 컵에 물이 반쯤 들어 있을 때 '물이 반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것과 '물이 반이나 남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천양지차의 결과를 낳기 마련입니다.

영국의 추리작가 코난 도일은 작은 것의 중요성을 이렇게 지적합니다.

'가장 좋은 것들은 조금씩 찾아온다. 작은 구멍으로도 햇빛을 볼 수 있듯, 사람들은 산에 걸려 넘어지지 않지만 조약돌에 걸려 넘어진다.'

'리더가 읽으면 무릎을 치는 옛글'의 저자 오동희 씨도 가슴에 와 닿는 충고를 합니다.

'단풍잎 하나로도 가을이 왔음을 짐작할 수 있고 때로는 사소한 일 하나가 어떤 사건의 전체를 드러내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잎새 하나만 보아도 그 나무가 죽었는지 살았는지를 알 수가 있고 얼굴 한 번 보고도 그가 병들었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으며, 말 한 마디만 들어봐도 그가 알고 있음이 옳은지 그른지 알 수 있고, 한 가지 일만 보아도 그 사람의 마음이 악한지 바른지를 알게 된다. 한 마디 말, 한 가지 일로도 자신의 전체를 간파당할 수 있으니 작은 언행이 바로 자신의 인격을 드러내는 표본이 될 수도 있다. …물방울이 돌에 구멍을 내고(水滴石穿),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들고(磨斧作針), 노인이 산을 옮겨 놓는(愚公移山) 것처럼 작은 일을 결코 멈추지 않고 행하는 것이 바로 근(勤)이다. 성공한 이들의 공통점은 지(志)와 근(勤)을 갖추었다는 것이다.'

끝으로 명심보감의 글을 빌려 작고 사소한 일의 중요성을 마무리합니다.

'큰 부자는 하늘이 내고 평범한 부자는 근면이 만든다는 말은 진리이다. 낙숫물이 돌에 구멍을 내듯 작은 일에도 열심히 노력하면 다른 사람들보다 잘 살 수 있다. 큰 부자는 하늘이 낳고 작은 부자는 근면이 낳는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 대선 주자 공동인터뷰 ④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충북일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 가는 첫 대통령으로 불리고 싶다"고 말했다. 정책·이념을 넘어 서로 감옥 보내려고 하는 정치는 이제 멈쳐야 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세계 추세인 글로벌 마인드·이공계 출신의 대통령이 대한민국에서도 탄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인이 당선돼야 하는 이유는. "이번 탄핵을 겪으면서 대한민국 정치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다. 최근 3~4년 동안의 기간을 보면 여야는 정책이나 이념의 대립보다는 서로를 감옥 보내려고 하고 방탄하려고 하는, 정치가 교착 상태에 빠지는 상황이다. 최근 트럼프발 경제 위기, 중국의 과학기술 강국으로의 부상 등에 대처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국제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된 이후에 자라온 세대의 입장에서 완전히 다른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된다. 그래서 글로벌 마인드가 있고 이공계 출신인 저 이준석이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양극화 문제와 지역균형발전의 해법은. "윤석열 정부 들어 재정이 굉장히 안 좋아진 건 사실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 시절부터 100조원대 재정 적자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이 문제가 고착화됐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