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0.4℃
  • 구름조금강릉 4.5℃
  • 흐림서울 1.4℃
  • 흐림충주 -2.5℃
  • 구름많음서산 3.9℃
  • 구름많음청주 3.9℃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많음추풍령 1.3℃
  • 구름조금대구 4.0℃
  • 맑음울산 4.2℃
  • 구름많음광주 4.7℃
  • 맑음부산 5.4℃
  • 구름많음고창 5.7℃
  • 구름많음홍성(예) 4.8℃
  • 흐림제주 6.7℃
  • 흐림고산 6.2℃
  • 구름많음강화 2.7℃
  • 흐림제천 -3.3℃
  • 구름많음보은 2.3℃
  • 구름많음천안 2.0℃
  • 구름많음보령 6.2℃
  • 구름많음부여 4.9℃
  • 구름많음금산 3.0℃
  • 구름조금강진군 6.8℃
  • 구름많음경주시 3.5℃
  • 맑음거제 4.6℃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0.11.12 15:57:54
  • 최종수정2020.11.12 15:57:54

2창수

아티스트

Naissance는 기원, 발생이나 시작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거기에 re를 더해 Renaissance는 14~16세기 고대 그리스, 로마의 학문과 문화지식을 다시 부흥시키려는 새로운 재생문화활동이다. 동양에도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안다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이 비슷한 뜻이다. 온고(溫故)는 옛것을 익힌다는 뜻이고, 지신(知新)은 새것을 안다는 뜻이다. 이렇게 늘 새로운 것이 쏟아지는 오늘에도 과거의 인류 발자취는 많은 것을 느끼게 해준다.

새롭다는 것은 과거 관습을 깨뜨리며 가치관 변화를 이끄는 것이었다. 르네상스 시대는 우리가 당연하다 느꼈던 벽이 계속 변화되던 시대였다. 여러 획기적 사건들이 즐비했으며 이로인해 사람들은 새로운 소식에 민감했으며 정신적 진화가 거듭되었다.

15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사람들 대부분은 지구는 평평하다고 생각했다. 경험을 통해 사람은 사고가 정해지므로 눈으로 보이는 곳이 평평하며 넘어지지도 않으니 굴곡은 있더라도 당연히 지구는 평평하다 생각했다. 끝없는 지구를 생각하기 어려우니 일정한 곳까지 간다면, 지구의 끝이므로 똑 떨어질 수 있는 지구의 끝도 존재할 것이라 생각 했다. 영화 부시맨이 콜라병을 주워 다양하게 사용하다 마을주민 갈등이 생기니 지구 끝이라 생각되는 곳에 가서 콜라병을 버리는 장면이 나온다. 15세기의 사람들도 이런 생각과 별반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파올로 달 포초 토스카넬리(Paolo dal Pozzo Toscanelli, 1397~1482)는 이탈리아의 수학자겸 천문학자이다. 그는 당시 평평하다는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주장하였고, 유럽 서쪽으로 항해하는 계획을 만들었다. 그를 믿고 새로움에 대한 동경을 가졌던 콜롬버스는 토스카넬리와 서신을 주고 받았다. 지구의 절벽을 믿는 대다수의 사람과 달리 콜롬버스는 지구 구형설에 큰 관심을 보였다. 토스카넬리는 콜롬버스를위해 이런 충고를 하였다.

'콜럼버스씨, 당신의 생각이 옳소. 동양으로 가려면 육지로 가는 것보다 또는 아프리카의 남쪽 끝을 돌아서 가는 것보다 서쪽 바다로 곧장 가는 것이 훨씬 가깝다고 나도 굳게 믿고 있소. 나는 이미 내 생각을 포르투갈 왕 알폰소 5세에게 전하여, 서쪽 항로를 탐험하도록 권한 적이 있으나 왕은 내 말을 믿지 않았소. 당신은 젊으니 계획대로 일을 성공시키기를 진정으로 비오.'

당시 항해술은 갤리선이라 불리우는 노예를 이용한 노 젓는 배였으나 노르만인들이 사용하는 돗이 달린 범선이 개발되었다. 에스파냐 여왕 이사벨라의 후원으로 콜롬버스는 범선을 이용하여 서쪽으로 항해를 할 수 있었다. 지구 끝을 향해가는 용기 있는 시도였지만 식수와 음식문제로 3분의 2의 선원은 괴혈병으로 죽었다. 더군다나 지구의 크기를 잘못 계산하여 무식을 용기로 알고 시작한 일이었다. 그가 도착한 아메리카를 인도로 믿게 되는 결정적 오류는 지구 크기를 너무 작게 계산했기 때문이었지만 그로 인해 새로운 신대륙을 발견하게 되었다. 마르코 폴로가 쓴 동방견문록에는 '지팡구'라는 섬은 황금이 모래처럼 흔하며 건물 벽까지 황금으로 되어있다는 구절을 콜롬버스는 믿었다. 그래서 그가 도착한 아메리카를 인도라 믿었고 그곳에서 '지팡구'의 황금을 찾으려 했으나 실패하였다. 계속된 실패로 왕실의 후원도 끊기고 명예도 잃게 된 콜롬버스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무시를 당하게 된다. 이미 개척된 항로로 1~2달만 항해하면 아메리카로 항해가 가능하자 사람들은 누가 항해를 못 하냐고 이야기하며 그를 비난하자, 콜롬버스는 유명한 달걀 이야기를 한다. 달걀을 세워보시오라는 이야기에 아무도 세우지 못하자 톡 깨뜨린 후 달걀을 세운다. 비웃는 사람에게 그는 처음하는 일이 어렵지 다음에 하는 일은 그 만큼 쉬운 일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주었다.

새로운 일 하는 사람에게 비난보다 찬사가 필요한 이유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