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8.06.18 16:38:51
  • 최종수정2018.06.18 16:38:50

이찬재

수필가·사회교육강사

내가 어린 시절 자란 고향은 산골짜기에 십여 가구가 옹기종기 모여 살았던 산간벽촌 마을이었다. 지금은 중부내륙고속도로 괴산IC가 생겨서 교통이 많이 편리해 졌다. 당시만 해도 단오는 4대명절로 창포물에 머리감기, 그네뛰기, 씨름, 수리취(戌衣翠)떡먹기 등 즐거운 명절로 보냈던 것 같다. 단오의 '단(端)' 자는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 자는 다섯이란 뜻과 통하므로 음력으로 오월 초닷새를 뜻한다. 단옷날을 또 수릿날이라고도 하는데 수리란 '신(神)'이라는 뜻과 '높다'는 뜻으로 이것을 합치면 '높은 신이 오시는 날'이란 뜻이 된다. 그밖에 단오를 가리키는 다른 이름으로는 중오절(重午節, 重五節), 천중절(天中節), 단양(端陽), 오월절, 여아절(女兒節)이라 했다고 한다. 단오 날은 이웃에게 부채를 선물하며 여름을 시원하게 나도록 빌어주었다고 전한다. 내가 어린 시절 집근처에 산골도랑이 있었는데 삼촌께서 나와 동생을 데리고 밤에 가재를 잡으러 가자고 하셨다. 기름 솜방망이를 만들어 주셔서 내가 들고서 어둠을 밝혔고 동생은 가재를 담을 싸리가지로 만든 작은 바구니를 들고 따라나섰다. 어둠을 헤치고 도랑에 다다르자 가슴이 설레었다. 삼촌에게 가재를 낮에 잡지 않고 왜, 밤에 잡느냐고 여쭈었더니 낮에는 돌이나 풀숲 속에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밖으로 나온다고 하셨다. 가재는 1급수에만 사는 물고기이기 때문에 당시의 도랑물은 그냥 식수로 사용했을 정도로 깨끗하였다. 바지를 걷고 도랑물에 들어서자 여기저기서 가재가 기어 다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동생이 가장 신이 나서 첨벙거리며 가재를 잡아 종다래끼에 넣었다. 삼촌은 경험이 많으셔서 여유 있게 가재를 잡아 담았다. 나는 횃불을 들고 있느라 가재를 못 잡으니 삼촌께서 솜방망이를 달라고 하시며 너도 잡아보라고 하셨다. 가재가 너무 많아서 양손으로 잡아넣느라 정신이 없었다. 사람들은 낮에 활동하고 밤에는 잠을 자는데 물고기들은 우리와 정반대로 생활하는 것 같았다. 물고기는 밤이 되면 모두 밖으로 나와 활동을 하였다. 더욱이 불이 밝으면 모여드는 것 같았다. 나하고 동생은 너무 재미있어서 소리를 지르며 가재잡기에 여념이 없었다. 그런데 잡은 가재들은 종다래끼 속에 가만히 있지 않고 밖으로 자꾸 기어 나와서 물속으로 도망가는 놈도 있었다. 그런데 어떤 가재는 물가에 있는 풀잎에 매달려 흔들거리고 있는 놈도 있었다. 삼촌께서 단오가 되어 가재도 그네를 타러 나왔다고 하셨다. 가제도 단옷날 그네를 타는 신기한 모습을 봤던 것이 아련한 추억으로 남아있다. 풀잎에 매달려 사람이 그네를 타듯이 시원한 밤바람을 가르며 더위를 식힌다고 생각하니 영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은 아주 깊은 산골짜기에 가야만 가재를 볼 수 있으니 그 동안 수질오염으로 생태계가 너무 많이 오염 되어서 안타깝다. 요즘 자라는 아이들은 내가 어린 시절 경험했던 밤 가재 잡이나 반딧불 이를 따라가며 밤하늘의 별을 세는 여름철의 아름다운 추억은 맛 볼 수 없게 되었으니 말이다. 자연과 멀어진 생활을 하는 아이들 보다 가난하게 살았어도 우리세대의 어린 시절이 더 행복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농경사회에서 농사일이 힘들 때 음식과 놀이문화를 통해 심신의 휴식을 취하며 씨름과 그네뛰기를 하며 마을 사람들이 모두 한 가족처럼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며 사람의 정을 느끼며 살았던 시절이 그리워지는 단오가 어제 지나갔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