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8.04.22 13:41:36
  • 최종수정2018.04.22 13:41:36

김병규

교육학 박사

입간판을 들고 사거리에서 오가는 자동차에게 허리 굽혀 인사하는 것을 보니 바야흐로 선거철이다.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이라지만 여러 가지 명분으로 정계에 진출하려는 사람들을 보면 심사가 복잡해진다. 화장실 들어갈 때와 나올 때의 마음이 다르다고 당선 후 목에 기브스를 하는 사람에, 잘 하는 줄 알았더니 이름 석자 못 지키고 나오는 정치인도 있다. 저들은 어찌 다스리려고 입으로는 봉사한다며 저리 굽실거릴까. 모름지기 정치는 사람이 사람을 다스리는(人治治人)것이며 인사가 만사라는데 저 사람들은 어떻게 사람을 쓰려나(用人).

집사람이 그간의 글을 책으로 내자는데 모시던 직원들이 표제와 표지용 사진은 물론 편집까지 해 주어 아담한 문집이 나왔다. 이 책을 가까운 사람에게만 보이렸더니 그 가까운 사람 분별하기가 청첩장 내기보다 더 어렵다. 친소도 문제려니와 나름 고심한 책을 보지도 않고 처박아두거나, 이딴 걸 글이라고 할까봐 조심스럽다. 친한 사람일지라도 내가 아낀 만큼 글을 잘 대해줄까 염려하게 되니, 퇴계선생의 자명(自銘) 중 아패수완(我佩誰玩-내가 지니던 것을 누가 즐기려나)의 심정이다.

일개 야인의 마음이 이럴진대 권력자의 용인이야 오죽하겠는가. 박 정권의 요직에서 군림했던 인간들이 법정에 선 각하를 위하여 총대를 메긴 커녕 변명이나 심지어 윗사람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구차한 모습에서 저런 사람을 채용한 안목까지도 한심스럽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권력자가 갖추어야 할 최고의 자질로 지인지감(知人之鑑)을 꼽았던 것이다. 용인으로 우리는 인사권자의 마음까지 살피므로 긍긍업업의 심정으로 인사를 해야 한다. 무릇 남자는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고 여자는 자신을 사랑해 주는 사람을 위하여 화장을 한다는데 이 단순한 진리 위에 관계와 능력을 살폈더라면 박정권도 그런 꼴은 안 당했을 것이다. 정은 바르게 하는 것인데 말이다.(政者正也)

춘추시대 제나라의 재상 안영은 대단한 학식과 능력을 겸비하여 후세에 안자(晏子)라 불리며 존경받는 정치가였다. 그런 분도 사람 알아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토로한 일화가 있다.

제나라에 북곽소는 사냥 그물을 짜고 짚신을 삼아 모친을 봉양하다가 너무 고단한 나머지 인자하다고 소문난 안영을 찾아와 도움을 청했다. 안영이 돈과 양곡을 주자 그 사람은 양곡만 받아갔다. 얼마 후 안영이 임금인 경공의 의심을 받아 피신하던 차 북곽소의 집을 지나게 되었다. 북곽소에게 절박한 사정을 말하자 '알아서 잘 하시겠지요'라며 심드렁한 인사만 하였다. 실망한 안영이 '내가 이렇게 사람 볼 줄을 모르니 도망자 신세가 된 것이 당연하다.'고 탄식을 하였다. 그런데 안영이 떠나자마자 북곽소는 친구를 찾아가 '나는 일찍이 안영의 인자함과 의로움을 존경해서 어머님께 드릴 양식을 빌린 적이 있네. 나의 부모를 잘 모실 수 있게 해준 사람을 위해 내 생명을 걸고 옹호해 드려야겠네' 그리고는 의관을 단정히 하고 친구에게 보검과 대나무 광주리를 들게 한 후 대궐로 갔다. 신하에게 안영의 억울함을 살펴달라며 이런 사람을 잃으면 제나라의 크나큰 손실이니 자기의 머리로 증명하겠다 하고는 친구에게 자기의 머리를 벤 뒤에 광주리에 담아 대왕에게 올려 달라 부탁하였다. 친구는 북곽소의 머리를 신하에게 주고는 '이 사람은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쳤습니다. 이제는 제가 이 사람을 위해 죽고자 합니다.'라며 칼로 자신의 목을 베었다. 이 말을 들은 경공이 뉘우치며 교외까지 쫓아가 안영에게 돌아오기를 간청했다. 사정을 들은 안영은 다시 탄식을 한다. '나 안영이 도망자가 된 건 당연하다. 나는 정말 사람을 알아보지 못했구나!'

사람 보기는 어렵고 사람 쓰기는 더 힘들다. 누가 내 사람일까· 나를 얼마만큼 신뢰할까·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인간관계는 어려운 거다. 이래서 용인이 어려운거다. 그래서 정치는 더 무겁고 역사는 더 무서운 거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