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상당고 교장·교육학박사
[충북일보] 제천의 코로나19 확산세가 멈춤을 모르고 계속되고 있다. 시에 따르면 29일 총 13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추가 발생했다. 전날 검체검사를 받은 검사자는 955명이다. 이로써 제천 김장모임을 매개로 한 코로나19 집단감염은 지난 25일 4명을 시작으로 9명(26일)→13명(27일)→14명(28일)→12명(29일) 등 총 53명으로 집계됐다. 시 관계자는 "첫 전파자가 제천시에 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 나흘간 머물렀으나 불행하게도 그들이 확진판정을 받은 시기는 24일이며 그들과 접촉한 제천시 접촉자들의 확진일은 25일이었다"며 "최초 접촉부터 확진까지 기간이 매우 길어 알 수 없는 감염의 우려가 매우 크고 확산세도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제천시청 직원들의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새롭게 밝혀질 확진자 규모는 물론 기존 확진자와 업무상 접촉한 공무원의 감염 여부 때문이다. 직원 A씨는 "업무상 확진자와 접촉한 공무원이 몇몇 있어 걱정이 크다"며 "공무원의 추가 감염은 행정시스템 마비, 최악에는 부서 폐쇄까지 불러올 수 있어 매우 긴장된다"고 깊은 우려를 표했다. 특
[충북일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191㎞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 강동구 길동, 명일동, 고덕동 일대 지하를 대형 터널을 통해 관통한다는 계획으로 강동구 주민들이 고속도로 우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17년 예산안에 서울~안성 구간의 건설보상비 1천억원이 편성됐으며 전체 예산규모는 6조7천억 원이다. 정부는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서울~안성 구간(71.1㎞)은 도로공사에서 착수 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고, 안성~세종(57.7㎞)은 처음부터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지난 2009년 건설계획이 최초로 제시됐으나 주민 반대와 사업방식에 대한 정부 내 이견으로 수차례 지연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11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가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진행 방식 자체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이는 당장 오는 2017년 관련 예산 편성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착공 자체도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대목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7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책자를 통해 "설계비·공사비
[충북일보] 옥천군의 무분별한 각종 용역사업으로 예산낭비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옥천군의회 행정감사특별위원회는 기획감사실 자료행감에서 이 같이 따졌다. 추복성 의원은 "옥천군의 각종 용역사업 실시현황을 보면 2018년 9건 1억7천여만 원, 2019년 15건 1억7천500여만 원, 2020년 12건 1억9천여만 원으로 예산이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라며 "용역은 설계 등 성과품이 나오기 위한 경비지원인데 실과별로 요구하면 풀로 용역비를 세우게 되며 자체에서 해도 되는 것을 무분별한 용역으로 예산낭비가 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2021년도에도 실과별 용역사업을 풀 예산으로 세웠는지 아직 확인할 수는 없지만 예측불허 한 용역은 이해가 가더라도 그러나 막연히 추측성 아니면 말고 식의 불필요한 용역사업은 안 된다"며 "내년도 옥천군 용역비, 설계비, 공통여비 풀 예산자료를 제출해 달라고 요구하며 회계법준수를 지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재목 의원도 기감실장에게 용역을 하는 이유가 뭐냐고 물은 뒤 "옥천군 19개과 9개 읍면이 거의 다 용역을 한다"며 "용역을 하면서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과업지시서 작성은 누가 하느냐"고 말하고 공모사업에서 탈락
[충북일보] 단풍으로 물든 가을 산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산기슭 도로변을 얼마나 달렸을까. 해발 350m쯤 이르니 '심순섭 할머니 된장'이라고 쓰인 입간판이 눈에 들어온다. 말간 가을 햇살이 600여개의 빼곡한 항아리 위로 뭉근하게 부서져 내린다. 항아리 속 장맛이 궁금해질 즈음 박해순 두리두리영농법인 대표가 환한 미소로 맞이한다. 마침 콩을 삶고 있었다는 박 대표는 커다란 솥 세 개가 있는 작업실로 안내했다. 커다란 나무주걱으로 솥 안을 휘휘 저으니 모락모락 피어나는 김과 함께 구수한 콩 냄새가 코 끝을 자극한다. ◇햇살·바람 맞은 상황버섯 된장 장(醬)맛은 시간의 길이와 비례한다는 말이 있듯 햇살과 바람을 맞으며 인내의 시간을 견딘다. "사람도 오랫동안 관심과 사랑을 받으면 아름다워지듯 된장도 오랜 시간 정성껏 관리하다 보면 맛이 더 깊어지죠. 엄선한 콩을 지하 150m 청석 암반층에서 추출한 물로 씻어내고, 가마솥에 씨된장을 넣고 삶아서 만든 메주를 볏짚으로 띄워요. 그 다음 4년간 간수를 뺀 전남 해남산 천일염으로 된장을 담그고 장독에 상황버섯 추출물을 넣어 5년간 숙성시키면서 3년에 한 번씩 덧장을 해요." 상황버섯 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