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8.07.15 16:18:41
  • 최종수정2018.07.15 16:18:41

이정희

수필가

빈터에 민들레가 흐드러졌다. 어느새 여름인데 무더기로 핀 꽃이 폭염에 산뜻하니 곱다. 민들레는 당연히 4월의 꽃이다. 진즉에 피었어야 할 게 이제야 만발한 듯 내심 짠하다. 필연 근방의 건축 사무소에서 공사를 하는 바람에 이른 봄 갓 깨어난 민들레가 자재에 깔려 오랜 날 홍역을 치렀다. 그러다가 얼마 후 자재가 옮겨지면서 일제히 피어났을 것 같은데….

언니네 집에서 바라 본 풍경은 그렇게 특이했다. 해마다 이맘때면 동기간들과 개떡을 쪄먹는다. 초봄에 뜯어 데쳐서 얼려놓고 쓰는데 반죽을 하고 보니 쑥이 약간 부족했다. 아무리 둘러 봐도 마땅한 데가 없다. 야들야들 올라 온 과수원의 쑥은 제초제를 뿌려도 몇 차례는 뿌렸을 테고 밭둑에는 보나마나 너무 쇠었다. 하릴없이 그냥 돌아오던 중 야적장 근처의 움쑥을 보았다. 부랴부랴 뜯어 반죽에 보탠 것이 남다른 향으로 맛을 돋웠다.

공사장 너머에 밭 한 두럭이 있고 빈 터의 끝이 그 밭둑이다. 밭주인은 말 그대로 쑥대처럼 자라는 쑥 때문에 골머리를 앓았을 테고 낫으로 베어내는 바람에 초봄에나 있을 연한 쑥이 지천으로 자랐다. 7월도 중순에 어쩜 이런 쑥이 다 있나 싶을 정도다. 봄에는 연해도 가늘어서 뜯기가 만만치 않은데 오늘 움쑥은 통통하고 연해서 한결 수월했다.

움쑥이라 그런지 반죽을 할 때도 차지다. 갓 쪄 내서 펴 놓으면 쑥 내가 집안에 가득 퍼진다. 참기름을 바른 뒤 잠깐 식혀서 먹는데 쑥 향기 때문에 참기름 냄새도 잠깐 무색해진다. 쑥이 없을 거라고 단념했다면 독특한 향기를 맛볼 수 있었을까. 반죽이 약간 모자라기는 했으나 그냥 해도 무리는 없었는데 아쉬운 마음에 좀 더 보탠 것이 각별한 맛으로 됐다. 더구나 축축이 낫질을 해대는 가운데서 연하고 향긋한 쑥으로 자란 새 순은 대견하기까지 했다. 제 철이 지난 뒤에 핀 민들레 또한 인상적이었던 것처럼.

4월 초 밭둑이 노랗게 핀 민들레는 당연히 고왔으나 지금 이 철 적게 핀 민들레도 나름 예쁘다. 주변은 또 공사 현장이라 온통 지저분하고 어수선해도 그 때문인지 훨씬 더 곱게 보인다. 제 철은 아니어도 버금가는 뭔가는 있고 그런대로 괜찮았던 것처럼. 메뚜기도 한철이라지만 시기를 놓쳤다고 손 놓을 건 아니다. 메뚜기가 한철인 그 때만은 어림없지만 흔할 때는 가당치 않았을 운치가 혹간 있다.

살다 보면 잘려나가는 쑥처럼 또는 민들레가 건축 자재에 깔리듯 하는 상황이 속출한다. 모든 게 끝났다고 절망하지만 기다리다 보면 민들레와 쑥처럼 언젠가 다시 일어난다. 뭔가를 잃었다 해도 싹만 잘려나간 것으로 생각하면 희망은 보인다. 싹만 잘려나가는 줄 모르고 포기하는 것보다 두려운 게 있을까. 건축자재에 파묻혀 있다가 치워지면서 핀 민들레는 뿌리가 남아 있고 살고자만 하면 결코 죽지 않는다는 집념을 나타낸다.
무더기로 피었다고는 해도 솔직히 여남은 포기였는데 쓰레기에 뒤덮인 공터라서 더 푸짐하게 보였다. 움쑥은 또 봄에 나올 때의 향 같지 않아도 얼마나 연하고 통통했던가. 한 물 갔을지언정 이듬으로 거둘 수 있다. 시기를 놓친다 해도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민들레와 쑥이 힘들었던 시절은 나중에 생각하니 전성기였다. 전성기란 생애 최고의 영광이 아닌 어려움 속에서도 앞을 향해 나가는 과정이다. 얼마나 좋은 여건인가보다는 나쁜 여건이지만 어떻게 반전시키느냐의 문제다. 좋고 나쁜 걸 따지기 전에 적응도를 높이는 거다. 힘들어도 내일을 생각하면 구름 속 태양까지 볼 수 있는 안목이 자란다. 먹구름이 지나간 뒤에는 언제나 푸른 하늘이 빛난다는 것, 햇살은 눈부시지만 구름을 뚫고 나오는 태양은 더더욱 강렬하다는 것을 새기고 싶다. 악조건은 때로 활력소가 된다는 생각에 오늘 하루가 무척 희망적이던 기억과 함께.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