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3.02.05 16:00:14
  • 최종수정2023.02.05 16:44:07

이정희

수필가

엊그제 인근의 식당에서 모임이 있었다. 갈비탕과 해장국 등 다양한 메뉴 중에서 특별히 '추억의 비비고'라는 북스에 자리 잡았다. 양은도시락과 김치와 고사리와 콩나물을 곁들여 놓았다. 추억 속의 장면처럼 김치를 깔고 나물을 넣어 렌지에 올려놓았다. 참기름을 치고 잘게 부순 김과 달걀까지 고명으로 얹어 먹는 맛이 제법 괜찮다.

비바람이 몰아치던 겨울이었다. 눈싸움을 하다 보면 볕 발은 약해져 해름 참이 되고 밥 먹으라는 어머니 소리에 이끌려 들어갔다. 저녁을 먹고는 담요를 들쓰고 이내 잠들었다. 자치기에 사방치기에 해거름까지 놀다가 저녁만 먹으면 솜뭉치가 되어 곯아떨어졌다.

두런대는 소리에 깨 보면 온 가족이 화롯가에 둘러앉아 비빔밥을 먹는 중이었다. 겨울밤은 길어서 한숨 자고 일어나 봐야 초저녁이다. 밤참문화가 나올 수밖에 없고 반찬은 주로 김치였으나 뚝배기에 안친 걸 보면 100% 돌솥비빔밥이다. 언제 먹어도 맛이 있고 겨울 하면 그래서 밤참이 떠오르는 것일까.

그런 비빔밥은 학교에서도 자주 먹었다. 4교시가 끝날 즈음이면 교실 안은 김치 냄새로 뒤덮인다. 등교시간에 지핀 난로가 3교시에는 벌겋게 타오르고 우리는 각자 싸온 도시락을 층층이 올려놓았다. 스무 개 남짓 도시락은 워낙 많아 위에서는 뜨겁기도 전에 밑에서는 눌어붙기 직전이었다.

마침내 점심시간이 되어서 열어보면 약속이나 한 듯 김치가 들어 있고 김이 무럭무럭 나는 게 여간 먹음직스럽지 않다. 제각기 반찬통에 별도로 담아 온 것인데 난로에 안치면서 바닥에 깔고 밥을 얹은 게 우리 먹은 비빔밥의 원조다. 수업시간에 번갈아가며 뒤바꿔 놓아야 했고 옮겨놓을 동안 은근히 데워지고 특유의 맛을 연출한 셈이다.

들기름도 없이 김치만 깔아 익힌 도시락 비빔밥이 특별한 맛으로 다가오는 연유가 뭔지. 생각하니 추억이라는 반찬 하나가 덤으로 들어갔다. 화력이 센 가스레인지에서는 익힐 수 없는 고향의 맛이다. 가스레인지에서 그 때의 난로 비빔밥처럼 노릇하게 익기를 바란 것 자체가 무리였는지도 몰라.

전통한식집이라 그런지 후식으로 도토리묵과 메밀묵까지 나왔다. 사락사락 눈까지 날리던 그 밤 석이버섯과 흑임자를 끼얹은 맛은 환상적이었다. 모처럼 돌솥 비빔밥을 먹으면서 추억의 곳간을 열어본 것이다. 가래떡 또한 김이 무럭무럭 나는 게 이제 막 떡집에서 가져 온 듯하다. 그것을 조청에 찍어 먹는 맛은 누구나 기억할 거다. 어릴 적, 설에 먹고 남은 가래떡을 화롯불에 구워서 조청을 찍어먹으면 똑같이 달고 맛있었는데….

어쩌다 어머니는 팥 앙금을 넣고 노릇하게 구운 수수부꾸미를 밤참으로 추가했다. 먹다 보면 삭풍은 누그러지고 우물 속처럼 깊은 겨울밤도 새벽이 되곤 했다. 음식 또한 맛보다 분위기를 타는 것일까. 밤참을 먹다 보면 눈도 자주 내렸건만 지금은 교통체증 때문에 꺼려한다니 참으로 당혹스럽다.

지금은 건강 때문에 저녁을 일찍 먹는 경향이 돼 밤참이라 해도 무리는 없었다. 가령 고구마를 쪄 먹을 경우 소화가 잘 안 된다지만 동치미를 곁들이기 때문에 걱정은 덜었다. 최근 야식으로 자주 먹는 라면과 후라이드 치킨을 보면 예전보다는 먹거리가 흔한데 토속적인 맛이 없다. 음식 맛이 어릴 때 같지 않다고들 한다. 화롯가에서 공부했던 도시락의 주인공들도 아득히 멀어졌다.

인스턴트 음식이 판을 치다 보니 함박눈처럼 쌓여가던 겨울 밤 얘기와 음식문화가 더욱 애틋해진다. 고향의 겨울이 그리운 것은 겨울밤에 얽힌 서정과 향수 때문이고 추억의 여백에는 밤참의 기억도 오롯이 적혔다. 밤 깊어 사위던 화롯불처럼 세월 강 여울에서 잃어버린 맛을 반추해 본다. 밤참은 기억 속의 맛으로 사라진 걸까. 나로서는 잊지 못할 향수였건만…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