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이정희

수필가

묵정밭에 꽃이 피었다. 노란 달맞이꽃과 연분홍 메꽃이 새초롬하게 곱다. 잡초투성이 땅도 눈길을 끌 때가 있나 싶어 무더위도 잠깐 잊었다. 애기똥풀로 뒤덮일 때는 유채꽃밭 이상으로 화려했었지. 허옇게 바랜 것처럼 피어 있던 망초꽃도 흡사 진초록 덤불 속의 안개꽃이다. 특별히 묵정밭 할 때는 어딘가 황폐한 이미지였건만 마치 고향 마을 뒷산의 해묵은 느티나무 소나무가 떠오르는 것 같던 그 기분.

묵정밭은 오래 버려두어 황폐해진 땅을 말한다. 줄여서 '묵밭'이라고도 하는데, 농사를 짓는 경우 거름은 좋아도 작물을 키우면서 점점 산성화된다. 논 같으면 추경秋耕이라 하여 가을갈이를 하면서까지 돌보는 대신 버려진 자식 같은 묵정밭은 풀만 잔뜩 올라왔다. 그 때문에 오히려 기름진 땅이 되었다고 했지만 한편 모질고 딱딱한 밭이라 노심초사 뿌리박을 동안 탐스럽게 자라 꽃들조차 이쁘게 피었을 것 같은 느낌. 그야말로 묵혀둔 밭이었는데……

술하고 친구가 오래 될수록 좋다는 건 흔한 얘기였으나 아무리 들어도 물리지는 않는 것 같다. 닳고 해져서 볼품없는 것이 아니라 그래서 더 정이 가고 끈끈해지는 것들. 버리려야 버릴 수 없는 그것들은 오래된 만치 묵은 정이 들었다는 의미였을까. 바이올린과 첼로 등의 악기도 오래되면 소리가 더 그윽해진다니 특별하다. 그 외에 들을수록 정이 가는 클래식 음악과 읽을수록 깊은 뜻이 우러나오는 고전문학 등 수없이 많다. 손때가 묻고 정이 들면서 어쩐지 더 예쁘고 정겹게 다가온다면 그만치 깊은 연륜과 정을 드러낸다.

가끔 묵혀 둔 추억의 잡동사니를 꺼내 볼 때가 있다. 너무 오래 되어 알아볼 수도 없이 퇴색해 버린 것도 있고 얼결에 미소를 짓게 되는 기억 또한 많다. 기쁘고 즐거웠던 일이 아름답게 생각나는 것은 당연하지만 생각하는 것조차 싫었던 슬프고 괴로웠던 기억이 아득히 그 때로 다시 돌아가고 싶을 만치 소중하게 떠오르는 것 또한 해묵은 세월에 투영되면서 추억으로 바뀐 때문이었을 것이다. 해묵은 동굴 바위틈에 핀 물망초가 거친 돌산에서 때로는 훨씬 더 선명한 이미지로 전달되는 것처럼 그렇게.

그게 곧 오래 전의 추억 때문이라면 묵은 것이야말로 향수적이다. 어려운 상황도 시간이 지나면 추억이 된다. 묵었다는 것은 지난 일이었으되 지나간 날은 또 수많은 오늘로 이루어졌다. 추억이 곧 삶의 묵정밭에 핀 꽃이라면 오랜 날 묵혀 둔 탓이다. 사는 게 힘들다고 본의 아니게 들쑤시거나 했다면 이따금 옛일을 회상하는 등의 추억에 잠기지는 못했을 터. 가끔 있는 그대로 묵혀야 할 게 많다는 것 또한 그 의미로 타당하다.

가령 더럽고 지저분한 것을 걸러내면서 자연 경관을 정화시키는 갯벌이 있고 울창한 숲은 또 허파의 기능을 하면서 신선한 공기를 만들어낸다. 바다와 강 역시 가능하면 있는 그대로 보존해야 할 것들인데 최근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마구 파헤치는 게 문제였으니 추억 또한 오래 묵은 중에도 소중히 간직할 동안 정서적으로 바뀌면서 윤택한 삶을 만든다. 추억을 생각할 때는 누구나 마음이 따스해지면서 힘겨운 삶을 견디게 되는 것이다. 묵기는 했지만 묵어서 약간 싫증이 날 때라야 갓 나온 게 더 신선하게 느껴지듯 말이다.

말은 또 묵었다고 하나 햇것의 근간이고 뿌리다. 햇것도 좋기는 하나 못지않게 소중할 수 있는 해묵은 것들. 우리들 어쩌다 이룬 꿈 역시 까마득히 잊고 있었던 소망 등이 밑거름으로 된 것일 수 있다. 튼실하게 자라도록 마음 속 깊이 뿌리박아 둔 것인데 우연히 싹이 트면서 꽃이 피고 열매까지 맺는 경우가 숱하게 많다. 어쩜 그래서 더 소중할 수 있는 여지를 보는 것 같다. 오늘 본 달맞이꽃과 메꽃이 별나게 화려한 것도 묵혀 둔 밭에서 핀 그 때문이었던 것처럼.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