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7.06.21 13:04:54
  • 최종수정2017.06.21 13:04:54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수필가

수안보면 화천리, 찬물내기라 불리던 사시마을을 지나 고개를 넘어 왼쪽으로 들어서면 연풍 레포츠 공원의 넓은 광장을 지나 새재를 넘는 고갯길이 시작된다. 이곳에 있는 마을이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의 고사리 마을인데 고사리라는 이름과 걸맞게 이화여자대학교 고사리 수련관을 비롯하여 고사리 산장, 고사리 교회, 고사리 식당 들이 늘어서 있고 길 옆에는 마른 고사리를 파는 장사꾼들이 많아서 은연 중에 이곳이 고사리가 많아서 지명도 고사리라는 암시를 주는 것 같다. 박문수 어사가 쉬어가셨다고 전해지는 350년 된 소나무도 이 마을의 자랑거리 중 하나이다.

지금은 연풍면 원풍리의 작은 자연마을에 불과하지만 조선시대에는 수안보 지역을 중심으로 연풍군 고사리면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수안보 지역은 중원군 상모면으로, 고사리 마을은 연풍면 원풍리에 편입되었다.

그러면 고사리라는 이름은 정말로 고사리가 많아서 만들어진 이름일까?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귀래리의 고사리골을 비롯하여 상당구 남일면 두산리의 고사리골, 단양군 영춘면 유암리의 고사리작골, 보은군 속리산면 구병리의 고사리밭골, 보은군 속리산면 만수리의 고사리골, 경남 사천시 곤양면 무고리의 고사리재 들이 모두 고사리가 많아서 생겨난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옥천군 안남면 종미리의 미산리 마을은 마을위의 산이 낮고 고사리같이 퍼져 있다 하여 처음에는 고사리 궐(蕨)자를 써서 궐산리라 부르다가 음이 좋지 않다하여 고사리 미(薇)자를 써서 미산리(薇山里)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늑구리의 고사리에는 고사리역이라는 기차역도 있는데 고사리가 많이 나는 곳이라서 붙인 이름이란 설과 마을 앞산에서 옛날 전쟁 중에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고 하여 '고살(古殺)'에서 유래되어 고사리란 이름이 붙었다는 설도 있다.

전국의 산재한 고사리라는 마을들이 대부분 고사리라는 식물과 연관짓고 있지만 그것은 음이 같기 때문이며 원래의 지명이 생겨난 뿌리는 따로 있다는 것을 다음의 지명들에서 알 수가 있다.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의 고사리는 고새울, 또는 고사촌(古沙村), 고사동(古沙洞)이라 하며,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고사리(姑寺里)도 고사촌, 고사동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고사'라는 말에 행정구역단위가 뒤에 붙어 쓰였다. 따라서 행정구역 단위가 '리(里)'가 되면서 '고사리'가 되어 식물인 고사리와 음이 같게 되므로 서로 연관을 짓게 되었던 것이다.

전남 담양군 담양읍의 백동3리는 현재 '신기'마을이라고 불리는데 이 이름은 1930년대 일본인에 의해 붙여진 것으로 본래 이름은 '고사리등'이었다고 하며 고사리등을 한문으로 풀이하면, 높을 고(高), 선비 사(士), 관리 리(吏), 오를 등(登)으로 '높은 선비와 관리들이 많이 등용되었다'는 뜻이 된다. 즉 이 고을에서 인재가 많이 났다는 의미가 되므로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전설이 전해온다.

"이 마을에서 태어나 과거에 장원급제해 높은 자리에 오른 세 대신이 있었는데, 이상하게도 이들 모두 관직에 있으면서 단 한 번도 웃음을 보인 적이 없었다. 오랫동안 이들을 지켜봐온 윗사람이 궁금함을 참지 못하고 어느 날 잔치를 베풀어 초대하여 웃지 못하는 가슴 아픈 사연을 듣고는 '그대들이 웃지 않는 까닭을 오늘 비로소 이해하게 되었다'며 위로했다고 한다."

이 전설 역시 지명의 한자 표기에 따른 의미를 재미있는 이야기로 꾸며낸 것으로 볼 수가 있는데 식물인 '고사리'와는 연관이 없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그렇다면 고사리라는 말의 어원은 무엇일까?

그것은 지명이 생겨나게 되는 과정을 생각하면 쉽게 찾을 수가 있다. 지명이란 땅의 위치를 구분하기 위하여 그 지역만의 특징을 다른 지형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이름이라고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지형을 표현하는 우리말 중에서 '고사'와 음이 유사한 것을 찾아보면 '고샅'이라는 말이 있다.

'고샅'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촌락의 좁은 골목길' 또는 '좁은 골짜기의 사이'라 설명하고 있으며 '고샅길', '고샅마을', '고샅으로 접어들다'와 같이 흔히 쓰이던 말이었다.

그러므로 '고샅마을'을 행정구역 단위를 붙여 '고샅리'라 하고 한자로 표기하다보니 '고사리(姑寺里,古寺里)가 되어 식물 '고사리'와 같은 음이 만들어져 의미의 혼란이 생긴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으며 '고사리'란 '좁은 골짜기의 사이에 있는 마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